-
조선 시대 천안 출신의 무신. 황세득(黃世得)[1537~1598]은 임진왜란 당시 이순신(李舜臣)의 막하 장수로 무공을 세웠다. 본관은 성주(星州), 자는 사구(士求)이다. 아버지는 감찰을 지낸 황종식(黃鍾植)이며, 어머니는 강위빙(姜渭聘)의 딸 진양 강씨(晋陽姜氏)이다. 부인은 방인(方寅)의 딸 상주 방씨(尙州方氏)로, 이순신의 부인 방씨의 사촌 언니이다. 아들은 임진...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북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 때 통폐합 대상인 상사리와 사담리(沙潭里) 중 사담리의 이름을 따서 붙인 이름이다. 조선 시대에는 목천군 북면 지역이었는데,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 때 사담리라 하고 충청남도 천안군 북면에 편입되었다. 1963년에 충청남도 천원군 북면 사담리로, 1991년에 충청남도 천안군 북면 사담리로,...
-
충청남도 천안시에 있는 조선 시대에 선현을 추모하고 유덕(遺德)을 기리기 위해 제향을 드리던 공간. 사우(祠宇)는 조선 시대에 선현(先賢)을 제사하기 위해 건립된 제향처(祭享處)이다. 사우는 유현이나 충절인의 가향(家鄕), 거주지, 근무지, 유배지, 순절지[전승지], 타계지 등에 세워졌다. 사우의 건물 구조는 대개 제사를 지내는 사묘(祠廟)의 형식을 갖추고 있었다. 만약...
-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성환읍에 속하는 법정리. 성환읍사무소 동쪽 2㎞, 국도 1호선과 경부 고속 국도 사이, 성산[사산성]의 동북쪽 용안치(龍鞍峙) 능선에 있다. 1950년 이후 지금까지 군사 지역으로 방공포가 설치되어 접근하기가 어렵다. 2011년 백제 초도 위례성 관련 지표 조사 시 이곳에서 기왓장이 다수 발견되어 건물이 있었음이 확인되었다. 1914년...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원성동에서 전해 오는 억울한 머슴의 송사 이야기. 「사또 아들의 명판결」은 머슴이 주인에게 세경과 맡겨 둔 돈과 아내를 빼앗긴 것을 사또에게 송사하자 사또의 아들이 명판결로 해결한 이야기이다. 송사 설화 가운데 아지(兒智) 설화에 속한다. 「사또 아들의 명판결」은 상명 대학교 구비 문학 연구회에서 1991년 유종호[79세, 남...
-
충청남도 천안시에 전해 내려오는 원한을 품은 구렁이의 이야기. 「원수 갚으러 아들로 태어난 구렁이」는 구렁이가 자신을 죽인 사람에게 복수하기 위해 그 사람의 아들로 태어났다는 전생 설화이다. 「원수 갚으러 아들로 태어난 구렁이」는 2010년 1월 25일 단국 대학교 교수 강영순과 구비 문학반 학생들이 유용현[74세, 여,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직산...
-
충청남도 천안시 성거읍에서 전해 내려오는 여우로 변신한 누이동생의 이야기. 「사람으로 태어난 여우」는 여우가 누이동생으로 태어나 집안을 망하게 하고 막내아들마저 죽이려다가 실패한 이야기이다. 여우 누이가 쫓아올 때 막내아들은 봉지 세 개를 던져서 위험에서 벗어났고, 끝내 여우 누이를 죽이고 살아남는다. 「사람으로 태어난 여우」는 1989년 6월에 상...
-
충청남도 천안시에서 전해 내려오는 사람의 혼이 쥐로 나타난다는 이야기. 「혼 쥐 이야기」는 사람의 혼이 잠들면 생쥐로 변해 콧구멍을 통해 들락거린다는 이야기이다. 혼 쥐의 주체는 잠에서 깬 후 꿈을 꾼 것으로 인식하며 혼 쥐를 본 사람은 혼 쥐를 따라가 요행을 얻었다는 신이담이다. 「혼 쥐 이야기」는 상명 대학교 구비 문학 연구회에서 1989년 조광...
-
충청남도 천안시 목천읍 덕전리에 있는 지적 장애인 보호 시설. 사랑과 평화의 집은 지적 장애인 생활 시설로 한글 및 숫자 교육, 신앙 교육을 실시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97년 5월 20일 설립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사랑과 평화의 집은 지적 장애인 생활 시설로 다양한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한글 및 숫자 교육, 신앙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북면 전곡리에 있는 노인 복지 시설. 독거노인, 무의탁 노인에게 만족·평안·휴식·즐거움을 제공하며, 영혼 구원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사랑의 마을은 1998년 8월 21일에 설립되었으며, 2002년 7월에 인가를 받았다. 사랑의 마을은 양로 시설로서 보호를 필요로 하는 노인, 무의탁 노인을 수용하여 보호하고 있다. 시설 이용...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목천읍 동리에 있는 독립 운동가 이동녕의 생가터. 이동녕[1869~1940]은 천안 목천에서 태어났으며, 본관은 연안(延安), 호는 석오(石吾), 자는 봉소(鳳所)이다. 1940년 72세 때 급성 폐렴으로 중국 쓰촨성 기강에서 순국할 때까지 독립 운동에 전 생애를 바쳤다. 1962년 건국 공로 훈장 대통령장에 추서되었다. 이동녕 선생 생...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북면 납안리와 서북구 성거읍 천흥리를 연결하는 고개. 고개의 모양이 새끼를 사리어 놓은 모양이기 때문에 사리목 고개라고 한다. 사리목의 ‘목’은 항(項)을 뜻하는 것으로서 고개가 휘돌아가는 것을 의미한다. 사리현[사리峴]이라고도 한다. 사리목 고개의 해발 고도는 약 350m이고, 좌표는 북위 36도 51분, 동경 127도 13분이다. 성...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북면 납안리와 서북구 성거읍 천흥리를 연결하는 고개. 고개의 모양이 새끼를 사리어 놓은 모양이기 때문에 사리목 고개라고 한다. 사리목의 ‘목’은 항(項)을 뜻하는 것으로서 고개가 휘돌아가는 것을 의미한다. 사리현[사리峴]이라고도 한다. 사리목 고개의 해발 고도는 약 350m이고, 좌표는 북위 36도 51분, 동경 127도 13분이다. 성...
-
조선 시대 천안의 목천 지역에 우거했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사명(士明), 호는 송암(松巖)이다. 고려 말 판서를 지낸 한철충의 6대손이다. 할아버지는 현감을 지낸 한팽조(韓彭祖), 아버지는 한민(韓敏), 형은 참봉 한응기(韓應箕)이다. 목천현(木川縣) 근동면(近東面) 반계(磻溪)에서 형인 한응기와 함께 처음으로 살아 목천과 인연을 맺었다. 아들 한덕해(韓德海)는 16...
-
충청남도 천안시 목천읍에 전해 오는 목주녀 이야기를 배경으로 한 신라의 가요. 「목주가(木州歌)」는 신라의 가요(歌謠)로 알려져 있으나 작자와 정확한 연대는 알 수 없다. 조선 시대에 편찬된 『고려사(高麗史)』[1449~1451] 악지(樂志)에는 「목주」로, 『증보 문헌 비고(增補文獻備考)』[1903~1908] 악고((樂考) 17권과 『대동운부군옥(大東韻府群玉...
-
조선 후기 천안 출신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자는 수부(秀夫), 호는 사봉(沙峰)이다. 아버지는 통정대부(通政大夫) 서충우(徐忠佑)[또는 徐忠祐]이며, 동생은 서정지(徐挺之), 부인은 정민(鄭旻)의 딸이다. 서정연(徐挺然)[1588~?]은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희암(希菴) 현덕승(玄德升)에게 사사(師事)하고 1612년(광해군 4) 생원시를 거쳐 1625년(인조...
-
충청남도 천안 지역에서 활동한 미국인 감리교 선교사. 앨리스 해먼드 샤프(Alice Hammond Sharp)는 남편 로버트 샤프 목사와 함께 1904년 감리교 선교사로 한국에 파송었다. 앨리스 해먼드 샤프 선교사는 천안뿐 아니라 공주와 강경·연산·은진·노성 등을 순회하면서 사회 복지 활동과 교육 활동을 하였다. 한국 이름은 사애리시(史愛理施)이고, 사 부인(...
-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직산읍 군동리에 있는 산. 성산(城山)은 성거산(聖居山)의 지맥이며 직산의 진산이다. 해발 176m로 충청남도 유형 문화재 제 42호인 직산현 관아에서 약 300m 서쪽 방향에 위치하고 있다. 1894년 청일 전쟁 때 청나라 진지였던 성환의 월봉산에서 약800m 떨어진 남쪽에 위치하고 있다. 성환-진천 간[성진로] 국도 34호선이 지나는...
-
충청남도 천안 지역에서 활동한 미국인 감리교 선교사. 앨리스 해먼드 샤프(Alice Hammond Sharp)는 남편 로버트 샤프 목사와 함께 1904년 감리교 선교사로 한국에 파송었다. 앨리스 해먼드 샤프 선교사는 천안뿐 아니라 공주와 강경·연산·은진·노성 등을 순회하면서 사회 복지 활동과 교육 활동을 하였다. 한국 이름은 사애리시(史愛理施)이고, 사 부인(...
-
조선 후기 천안 출신의 문신. 남공철(南公轍)[1760~1840]은 조선 후기 정조와 순조, 헌종 등 3대에 걸쳐 왕을 보좌한 학자 겸 정치가, 문장가이다. 1778년(정조 2) 정조가 아버지 남유용의 시문을 모아 간행할 때, 남공철이 직접 왕명을 받아 이를 수행하였다. 1824년에 목천이 승지(勝地)이고 선비들이 많아 후진을 양성할 만한 곳으로 인식하여 동헌 가까운 곳...
-
충청남도 천안시에 있는 조선 시대에 선현을 추모하고 유덕(遺德)을 기리기 위해 제향을 드리던 공간. 사우(祠宇)는 조선 시대에 선현(先賢)을 제사하기 위해 건립된 제향처(祭享處)이다. 사우는 유현이나 충절인의 가향(家鄕), 거주지, 근무지, 유배지, 순절지[전승지], 타계지 등에 세워졌다. 사우의 건물 구조는 대개 제사를 지내는 사묘(祠廟)의 형식을 갖추고 있었다. 만약...
-
충청남도 천안시에 묘소가 있는 조선 전기의 문신. 한명회(韓明澮)[1415~1487]는 계유정난(癸酉靖難) 때 수양 대군(首陽大君)을 보좌하여 왕위에 오르는 데 공을 세웠으며, 사육신의 단종 복위 운동을 좌절시켰다. 세조의 즉위에 공을 세워 공신으로 책봉된 이후 성종 조까지 정국 운영의 주도권을 행사하였던 조선 전기의 대표적인 훈구 대신이다. 본관은 청주, 자...
-
조선 후기 천안 출신의 효자이자 문신. 본관은 강릉(江陵), 자는 사장(士章)이다. 증조할아버지는 김일우(金一宇), 할아버지는 김수경(金壽慶)이다. 아버지는 선전관을 지낸 김성구(金聖耈), 어머니는 청송 심씨(靑松沈氏)이다. 김도혁(金道赫)[1713~1784]은 열여섯 살 되던 해에 선전관으로 있던 아버지가 남의 허물을 원통하게 뒤집어쓰고 멀리 유배되자, 고생하시는 아버...
-
조선 후기 천안 지역에 우거한 문신·학자.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사정(士精), 호는 남봉(南峰)·심곡(深谷)이다. 증조할아버지는 김석(金錫), 할아버지는 헌납을 지낸 김충갑(金忠甲)이다. 아버지는 부사를 지낸 김시회(金時晦)이며, 어머니는 양언개(楊彦漑)의 딸 청주 양씨(淸州楊氏)이다. 임진왜란 때 진주 대첩의 전공을 세우고 순국한 충무공 김시민(金時敏)에게 입양되었다. 조선...
-
개항기 천안 출신의 유학자. 이유흥(李裕興)[1859~1923년]은 근대 개항기에 활동하였던 유학자이다. 동학 농민 운동 당시 다른 집들은 모두 약탈을 당하거나 위협을 받았지만, 이유흥의 집은 참된 학자의 집이라고 하여 침탈당하지 않았다고 한다. 당시 이유흥은 나라의 변란을 미리 예견하고 사람들에게 피난처를 알려 주기도 하였다.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사중(思中),...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에 있는 법정동. 조선 시대에 천안군의 사직단(社稷壇)이 있던 곳으로 그 이름을 따라 붙여졌다. 고려 때는 천안부에 속했다. 조선 시대에 천안군 상리면(上里面)에 속했다가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에 따라 동리, 중리, 옥후리, 하리면 객사전, 서리, 정거장을 병합하여 읍내리(邑內里)라 하고 영성면(寧城面)에 속했다. 1917년 영성면이 천안면으로...
-
충청남도 천안 지역에서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물의 형태를 영구적으로 기록하고 표현하는 예술 활동. 사진은 빛을 매체로 하여 물체의 상을 감광성 기록 재료 위에 기록하는 방법 또는 그 방법으로 얻은 화상을 말한다. 즉 가시광선·자외선·적외선·감마선·전자선 등의 작용을 이용하여 감광층(感光層) 위에 물체의 반영구적 영상을 만들어 내는 것이다. 그러나 넓은 의미로 사진은 빛으로...
-
충청남도 천안시에서 부처를 숭상하고 불법을 익히는 장소. 사원, 사찰, 가람 등이라고도 하며, 우리말로는 절이라고 한다. 사찰은 본래 인도에서 수행자들이 우기를 피해 한 곳에 모여 공동 생활을 하는 전통에서 비롯되었으나, 현재는 수행·교육·포교 등 다양한 종교 의례를 행하는 성스러운 장소로 변모하였다. 사찰에서는 신앙 대상인 탑과 불상을 모신 불전이 중심을 이루며, 이...
-
충청남도 천안시에서 시행되고 있는 주민의 생활 향상과 사회 보장을 위한 광범위한 사회 정책. 변화하는 천안시의 지역 특성을 새롭게 반영하고 지역 주민의 새로운 욕구, 정부 정책 변화에 부응하는 시행 계획을 수립함으로써 4개년 계획의 현실성과 실천성을 담보하고자 한다. 또한, 지역 사회 복지 비전 “시민 삶의 질 세계 100대 도시 천안”을 실현하기 위해, 모두가 체감하는...
-
충청남도 천안시에서 사회 문제를 해결하거나 사회 체제를 바꾸기 위해 대중이 조직적, 집단적으로 벌이는 운동. 천안은 일제 강점기 시대에 점차 도시의 면모를 갖추어 가다가 8.15 해방을 맞이하였으나 정치적인 혼란과 6·25 전쟁 등으로 다른 도시처럼 특이한 진취적인 개발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러다가 전국적으로 파급되기 시작한 새마을 운동이 점화되면서 천안도...
-
조선 후기 천안 지역에서 활동한 문인·학자. 본관은 성주(星州), 자는 사흥(士興)이다. 통덕랑(通德郞) 이식(李埴)의 아들이다. 이종렬(李鍾烈)[1734~?]에 대한 기록은 자세하지 않다. 1734년(정조 10)에 태어났으며, 거주지는 천안(天安)이고, 16세 되던 해인 1809년(순조 9) 증광시(增廣試)에서 생원(生員) 3등(三等) 54위로 합격하였음을 알 수 있다...
-
충청남도 천안시에 분포되어 있는 주변에 비해 높이 솟은 봉우리. 천안시 중앙에는 북동~남서 방향의 차령산맥이 지나고 있다. 차령산맥은 태백산맥의 오대산에서 갈라져 나와 남서 방향으로 뻗어 충청북도의 북부와 충청남도의 중앙을 지나는 산맥으로, 평균 고도는 600m 정도이다. 천안시는 동남구 유량동과 목천읍의 경계에 있는 태조산을 중심으로 동서로 지역이 분리된다....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목천읍 석천리와 북면 전곡리를 연결하는 고개. 석천리에 있는 산방 마을의 이름에서 유래하였다. 산방이 고개라고도 하는데 산방이 마을은 석천리의 원석천 마을이다. 상뱅이 고개라는 이름도 있다. 삼뱅이 고개의 해발 고도는 약 240m이며, 좌표는 북위 36도 50분, 동경 127도 15분이다. 지질은 흑운모 편마암과 화강암질 편마...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목천읍 송전리에서 발원하여 운전리와 북면 연춘리 경계에서 병천천에 합류하는 하천. 산방천(山方川)은 금강 수계의 본류인 금강의 제1 지류 미호천의 제2 지류 병천천으로 흘러드는 지류 하천으로서, 유역 면적은 31.67㎢이며, 하천 연장은 8.8㎞, 유로 연장은 11.61㎞이다. 산방천의 지류로는 소하천인 원석천·마검천·상역골천·천성천·동...
-
충청남도 천안 지역 성불사와 각원사, 보명사 등에서 실시하는 산사 음악회. 음악과 어우러진 산사의 운치를 한껏 드러내며 시민들과 함께하는 불교계 음악의 향연이 천안 지역의 성불사[천안시 동남구 안서동], 각원사[천안시 동남구 안서동 산98-83], 보명사[천안시 서북구 성거읍 송남리 산40] 등에서 해마다 열리고 있다. 2003년부터 시작한 성불사의 산사 음악회는 매년...
-
충청남도 천안시에서 음력 정월 또는 시월에 집집이 떡시루를 준비하여 신에게 무사태평을 기원하는 고사 또는 그 시루. 천안 지역에서 마짐시루는 주로 산간 마을의 산신제에서 확인된다. 마을에 따라 산시루, 마중시루, 마주시루, 마루시루 등으로 불린다. 마짐시루는 산신제를 진행하는 제관의 집에서 먼저 찌는 산제시루에 대응하여 각 가정에서 산신을 마중하려고 준비하는...
-
충청남도 천안시에서 아이를 점지하거나 아이의 건강과 수명장수를 관장한다고 여기는 신. 삼신은 삼신할머니라고 하여 여신(女神)으로 여긴다. 삼신은 아이를 점지하고 돌보아 주는 좋은 신의 이미지도 있지만, 반대로 삼신에 대한 외경심이 없으면 아이를 죽일 수도 있기에 두려운 신으로 여기기도 한다.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광덕면 광덕 4리 만복동 마을에서는 혼례를 하...
-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입장면에 속하는 법정리. 입장면사무소 북서쪽 약 5.5㎞ 지점에 위치한다. 경부 고속 도로가 동쪽 인근을 지나고, 입장천이 북동쪽을 흐른다. 조선 시대에 직산현(稷山縣) 삼동면(三東面) 산정리(山井里), 차중리(次中里) 지역으로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으로 산정리(山井里)[산우물]가 되었다. 산 밑에 좋은 우물이 있어서 이 물을 마시...
-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입장면에 속하는 법정리. 입장면사무소 북서쪽 약 5.5㎞ 지점에 위치한다. 경부 고속 도로가 동쪽 인근을 지나고, 입장천이 북동쪽을 흐른다. 조선 시대에 직산현(稷山縣) 삼동면(三東面) 산정리(山井里), 차중리(次中里) 지역으로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으로 산정리(山井里)[산우물]가 되었다. 산 밑에 좋은 우물이 있어서 이 물을 마시...
-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입장면 산정 1리에서 매년 정월 초이튿날 농사의 풍년과 안녕을 기원하며 지냈던 우물 제사. 천안시 서북구 입장면 산정 1리의 산우물 마을에서는 마을 안에 있는 공동 우물을 대상으로 매년 정월 초이튿날 새벽에 마을의 안녕과 농사의 풍년을 기원하는 제를 지낸다. 이 제사를 정제 또는 우물제라고 한다. 산정리 산우물...
-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입장면 산정 1리에서 매년 정월 초이튿날 농사의 풍년과 안녕을 기원하며 지냈던 우물 제사. 천안시 서북구 입장면 산정 1리의 산우물 마을에서는 마을 안에 있는 공동 우물을 대상으로 매년 정월 초이튿날 새벽에 마을의 안녕과 농사의 풍년을 기원하는 제를 지낸다. 이 제사를 정제 또는 우물제라고 한다. 산정리 산우물...
-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입장면 산정 2리에서 정월 초이튿날에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천안시 서북구 입장면 산정리의 차중 마을에는 우물이 총 여덟 개에 이르렀다. 사람들은 자기 집에서 가까운 곳에 있는 우물을 사용하였다. 그래서 두세 집이 사용하는 우물부터 대여섯 집이 사용하는 우물까지 그 크기도 다양하였다. 평상시 우물의 관리는 가까운 곳에...
-
충청남도 천안 지역 성불사와 각원사, 보명사 등에서 실시하는 산사 음악회. 음악과 어우러진 산사의 운치를 한껏 드러내며 시민들과 함께하는 불교계 음악의 향연이 천안 지역의 성불사[천안시 동남구 안서동], 각원사[천안시 동남구 안서동 산98-83], 보명사[천안시 서북구 성거읍 송남리 산40] 등에서 해마다 열리고 있다. 2003년부터 시작한 성불사의 산사 음악회는 매년...
-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직산읍에 속하는 법정리. 직산읍사무소의 동북쪽 약 4.5㎞ 지점에 위치한다. 국도 34호선이 중앙부를 남북으로 지난다. 동쪽으로 경부 고속 도로가 지나고 북 천안 인터체인지가 판정리에 인근한 남쪽에 있다. 백제 건국 시조 온조의 사당[온조 묘(溫祚廟)] 옛 터가 산직촌(山直村)에 남아 있다. 조선 시대에 직산현 동변면 산직리, 판정리(板...
-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직산읍에 속하는 법정리. 직산읍사무소의 동북쪽 약 4.5㎞ 지점에 위치한다. 국도 34호선이 중앙부를 남북으로 지난다. 동쪽으로 경부 고속 도로가 지나고 북 천안 인터체인지가 판정리에 인근한 남쪽에 있다. 백제 건국 시조 온조의 사당[온조 묘(溫祚廟)] 옛 터가 산직촌(山直村)에 남아 있다. 조선 시대에 직산현 동변면 산직리, 판정리(板...
-
충청남도 천안시에서 불리는 잡가. 전라도 소리로 첫손을 꼽는 「육자배기」는 남도 소리조로서 가락이 아름답고 가사도 정교한 시로 된 것이 많다. 본디 콩밭을 매는 아낙네나 김을 매는 농부들, 나무꾼들이 부르던 소박한 소리였으나 소리꾼들 손에 가락과 가사가 가꾸어져 세련되었다. 선소리 산타령을 부르던 소리꾼들이 부르면서 「산타령」이라는 별명도 붙었다. 육자배기라는...
-
충청남도 천안시 광덕면에 서식하고 있는 천연기념물 제398호로 지정된 호두나무. 호두나무는 중국이 원산지이며 양지바른 곳에서 잘 자란다. 우리나라에서는 황해도 이남 지역에 주로 분포하며, 약 20m까지 자란다. 천안 광덕사 호두나무는 오랜 세월 동안 조상들의 관심과 보살핌 가운데 살아온 나무로서 문화적·생물학적 자료로서의 가치가 높아 천연기념물...
-
충청남도 천안 지역에서 액운이 낀 사람의 살을 풀어 주는 무속 의례. 사람은 태어날 때부터 자신의 운명에 살이 끼었거나 성장하면서 액운이 들면 이를 풀어야 잘 살 수 있게 된다. 주부가 섣달 또는 정월에 점쟁이나 무당을 찾아가서 가족들의 한 해 신수를 살펴본 후에 식구들 중에 액살이 있는 이가 있으면 살풀이를 해 준다. 살풀이는 액살이 낀 사람의 머리 위로 화...
-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직산읍에 속하는 법정리. 현재 직산읍사무소가 소재한다. 국도 1호선이 삼은리 서쪽 지역을 남북으로 가로질러 지나고, 봉주로가 동서축으로 지난다. 경부선 전철 직산역이 인접해 있으며, 삼은 초등학교가 있다. 조선 시대에 직산현 서변면(西邊面) 삼거리(三巨里)와 자은방리(自隱防里) 지역으로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으로 삼거리의 ‘삼(三)’ 자와 자...
-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성거읍에 속하는 법정리. 성거읍사무소 북서쪽 약 3㎞ 지점에 위치한다. 경부 고속 도로와 북 천안 인터체인지가 있다. 동쪽으로 흐르는 한천(漢川)[한내[大川]]은 일제 강점기 때 사금(沙金)을 채취하던 곳이다. 삼곡리(三谷里)는 세 골짜기에서 흘러드는 하천이 만나는 곳이라 풀이하기도 한다. 직산읍 판정천은 한천으로 합류하고 한...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대흥동에 있는 쇼핑센터. 1970년도를 거쳐 1980년도에 천안역을 중심으로 삼도 종합 상가 주변에 시외 버스터미널, 자유 시장 등이 유동 인구를 끌어들여 최고의 상권을 형성했다. 특히 천안 북부 4개 읍면의 통로 역할을 했던 삼도 종합 상가 일대는 대흥동 상가와 더불어 천안의 중심 상권을 형성해 오랜 세월 도시 기능의 거점 역할을 했다. 볼거리,...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대흥동에 있는 쇼핑센터. 1970년도를 거쳐 1980년도에 천안역을 중심으로 삼도 종합 상가 주변에 시외 버스터미널, 자유 시장 등이 유동 인구를 끌어들여 최고의 상권을 형성했다. 특히 천안 북부 4개 읍면의 통로 역할을 했던 삼도 종합 상가 일대는 대흥동 상가와 더불어 천안의 중심 상권을 형성해 오랜 세월 도시 기능의 거점 역할을 했다. 볼거리,...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삼룡동에서 천안 삼거리 공원의 장승을 모신 제사. 천안시에서는 1970년대에 삼룡동에 천안 삼거리 공원을 조성하였다. 천안 삼거리는 북쪽으로는 서울, 서쪽으로는 전라도, 남동쪽으로는 경상도와 나뉘는 분기점에 자리 잡아 길손의 발길이 끊이지 않았고 삼거리 부근에는 주막이 즐비하였다. 천안 삼거리는 이러한 지리적인 접근성에 덧붙여 능수버들의...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목천읍 석천리와 북면 전곡리를 연결하는 고개. 석천리에 있는 산방 마을의 이름에서 유래하였다. 산방이 고개라고도 하는데 산방이 마을은 석천리의 원석천 마을이다. 상뱅이 고개라는 이름도 있다. 삼뱅이 고개의 해발 고도는 약 240m이며, 좌표는 북위 36도 50분, 동경 127도 15분이다. 지질은 흑운모 편마암과 화강암질 편마...
-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직산읍에 속하는 법정리. 현재 직산읍사무소가 소재한다. 국도 1호선이 삼은리 서쪽 지역을 남북으로 가로질러 지나고, 봉주로가 동서축으로 지난다. 경부선 전철 직산역이 인접해 있으며, 삼은 초등학교가 있다. 조선 시대에 직산현 서변면(西邊面) 삼거리(三巨里)와 자은방리(自隱防里) 지역으로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으로 삼거리의 ‘삼(三)’ 자와 자...
-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성성동에 있는 삼성 에스디아이의 공장. 1970년 1월 삼성-NEC 주식회사가 설립되었고, 1974년 3월에 삼성 전관 공업 주식회사로 상호를 변경하였다. 1984년 2월에 삼성 전관 주식회사로 다시 상호를 변경하였다. 1995년 8월 천안 사업장이 설립되어 1997년 6월 컬러 필터가 출하되기 시작하였다. 1999년 12월 삼성 에스디아이 주식회...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신부동에서 서북구 성성동까지 연결되는 도로. 천안시는 2012년부터 도로명 주소 제도를 시행하면서 천안시에 개설되어 있는 전체 도로들 가운데 고속 도로를 제외한 나머지 도로들을 대로, 로 및 길의 3계층 도로망으로 분류하였다. 대로로는 삼성 대로를 비롯하여 서부 대로, 남부 대로, 쌍용대로, 불당 대로, 천안 대로, 동서 대로 등 7개가...
-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성성동에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생산하는 공장. 삼성 디스플레이는 국내에 천안시, 아산시, 용인시 3곳에 사업장이 위치하고 있으며, 해외에 6개의 생산법인과 16개의 판매법인을 보유하고 있다. 아산 사업장에는 대형 LCD와 중소형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양산 라인이 있고, 천안 사업장에는 중소형 OLED와 노트북/모니터용 LCD...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목천읍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 당시 병합된 마을 중 삼층리의 ‘삼’ 자와 신성리의 ‘성’ 자를 따서 삼성리라 하였다. 1914년 이전에는 목천군 서면 지역으로 삼층리, 도리티리, 신성리, 산곡리 일부가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에 따라 삼성리로 병합되어 목천면에 편입되었다. 1963년 천안읍이 천안시가 되면서 천원군 목천면...
-
충청남도 천안시에서 아이를 점지하거나 아이의 건강과 수명장수를 관장한다고 여기는 신. 삼신은 삼신할머니라고 하여 여신(女神)으로 여긴다. 삼신은 아이를 점지하고 돌보아 주는 좋은 신의 이미지도 있지만, 반대로 삼신에 대한 외경심이 없으면 아이를 죽일 수도 있기에 두려운 신으로 여기기도 한다.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광덕면 광덕 4리 만복동 마을에서는 혼례를 하...
-
충청남도 천안시에서 삼신에게 아기의 점지를 바라는 의례. 삼신은 주로 ‘삼신할머니’ 또는 ‘삼신할아버지’라고도 불리며, 아이의 점지에서부터 출산과 육아까지 관장하는 신이다. 천안 지역에서는 삼신을 주로 ‘할머니 신령’으로 여기기에 여신으로 인식하지만, 더러는 ‘할아버지 신령’으로 생각하기도 한다. 이러한 삼신은 집안마다 한 신령씩 있는 것으로 여긴다. 또한, 삼신이 그...
-
충청남도 천안시에서 삼신에게 아기의 점지를 바라는 의례. 삼신은 주로 ‘삼신할머니’ 또는 ‘삼신할아버지’라고도 불리며, 아이의 점지에서부터 출산과 육아까지 관장하는 신이다. 천안 지역에서는 삼신을 주로 ‘할머니 신령’으로 여기기에 여신으로 인식하지만, 더러는 ‘할아버지 신령’으로 생각하기도 한다. 이러한 삼신은 집안마다 한 신령씩 있는 것으로 여긴다. 또한, 삼신이 그...
-
충청남도 천안시에서 아이를 점지하거나 아이의 건강과 수명장수를 관장한다고 여기는 신. 삼신은 삼신할머니라고 하여 여신(女神)으로 여긴다. 삼신은 아이를 점지하고 돌보아 주는 좋은 신의 이미지도 있지만, 반대로 삼신에 대한 외경심이 없으면 아이를 죽일 수도 있기에 두려운 신으로 여기기도 한다.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광덕면 광덕 4리 만복동 마을에서는 혼례를 하...
-
충청남도 천안시에서 아이를 점지하거나 아이의 건강과 수명장수를 관장한다고 여기는 신. 삼신은 삼신할머니라고 하여 여신(女神)으로 여긴다. 삼신은 아이를 점지하고 돌보아 주는 좋은 신의 이미지도 있지만, 반대로 삼신에 대한 외경심이 없으면 아이를 죽일 수도 있기에 두려운 신으로 여기기도 한다.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광덕면 광덕 4리 만복동 마을에서는 혼례를 하...
-
충청남도 천안시 성거읍 소우리에 있었던 삼양사의 천안 사료 공장. 삼양사는 1927년 10월 설립된 삼수사에서 시작되었으며, 1931년 삼양사로 회사명을 변경하였다. 삼양사는 1976년 삼화 사료 주식회사를 인수, 목포의 공장을 분공장으로 발족시킴으로써 배합 사료 분야에 진출하였다. 1978년 목포 공장 분공장이 목포 사료 공장으로 승격하였고, 1984년에 울...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에 속하는 법정동.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 당시 천안 삼거리와 용마산(龍馬山)의 이름을 따서 삼룡리(三龍里)라 한 것에서 기원한다. 고려 때는 천안부에 속했고 조선 시대에는 천안군 군남면의 지역이었다.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 때 조동, 삼거리, 무상리, 둔지리를 병합하여 삼룡리라 하고 환성면(歡城面)에 편입하였다. 1963년 천안시에 편입...
-
충청남도 천안시 삼룡동 삼거리 공원에 있는 고려 시대 삼층 석탑. 삼용동 삼층 석탑(三龍洞 三層 石塔)은 고려 시대 삼층 석탑으로, 1961년 안서동에 사는 주민이 밭을 갈다가 유려왕사(留麗王寺) 터에서 발견하였다. 1984년 5월 17일 충청남도 문화재 자료 제11호로 지정되었다. 삼용동 삼층 석탑은 발견된 위치로 보아 『영성지(寧城誌)』의 “천안...
-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직산읍 삼은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삼은 초등학교는 생각과 행동이 바른 학생, 스스로 공부하는 학생, 새로움을 창조하는 학생, 몸과 마음이 튼튼한 학생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튼튼하게 바르게 새롭게’이다. 1969년 12월 19일에 직산 국민학교 삼은 분교장으로 설립되었으며, 1973년 3월 27일에 삼은 국민학교로...
-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직산읍에 속하는 법정리. 현재 직산읍사무소가 소재한다. 국도 1호선이 삼은리 서쪽 지역을 남북으로 가로질러 지나고, 봉주로가 동서축으로 지난다. 경부선 전철 직산역이 인접해 있으며, 삼은 초등학교가 있다. 조선 시대에 직산현 서변면(西邊面) 삼거리(三巨里)와 자은방리(自隱防里) 지역으로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으로 삼거리의 ‘삼(三)’ 자와 자...
-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직산읍 삼은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삼은 초등학교는 생각과 행동이 바른 학생, 스스로 공부하는 학생, 새로움을 창조하는 학생, 몸과 마음이 튼튼한 학생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튼튼하게 바르게 새롭게’이다. 1969년 12월 19일에 직산 국민학교 삼은 분교장으로 설립되었으며, 1973년 3월 27일에 삼은 국민학교로...
-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쌍용동에 있는 보육 시설. 천안의 인물이며 3·1 운동 때의 순국열사인 독립운동가 유관순 열사를 사모하는 마음에서 삼일 육아원이라고 이름을 붙이게 되었다. 법인의 운영 철학은 부지런히 몸을 움직여 신성한 노동을 하며, 이 사회가 필요로 하는 인간을 양성하는 것이다. 급속히 변화하는 사회적 흐름 속에서 가정 해체로 인하여 보호가 필요한 아...
-
1919년 3월부터 4월까지 충청남도 천안 지역에서 전개된 만세 운동. 천안에서 전개된 독립 만세 운동 중 대표적인 것은 1919년 4월 1일에 천안군 갈전면 아우내 장터에서 일어난 독립 만세 운동이다. 이화 학당의 여학생인 유관순(柳寬順)[1902~1920]과 그 집안 인물 등이 주도한 아우내 장터 만세 운동에는 군중 약 3,000여 명이 독립 만세를 크게 외쳤다. 일...
-
충청남도 천안시에서 삼재가 드는 해의 음력 1월에 액운을 막고 한 해의 복을 빌고자 행하는 풍속. 삼재풀이는 삼재가 드는 사람의 액운을 막고 행운을 부르려는 주술 행위이다. 이를 ‘삼재막음’이라고도 일컫는다. 삼재란 수재(水災), 화재(火災), 풍재(風災) 등 세 가지 재앙을 지칭하는데, 민간에서는 누구에게나 9년 만에 닥치는 환란을 뜻한다. 사람에게 드는 삼...
-
충청남도 천안시에서 삼재가 드는 해의 음력 1월에 액운을 막고 한 해의 복을 빌고자 행하는 풍속. 삼재풀이는 삼재가 드는 사람의 액운을 막고 행운을 부르려는 주술 행위이다. 이를 ‘삼재막음’이라고도 일컫는다. 삼재란 수재(水災), 화재(火災), 풍재(風災) 등 세 가지 재앙을 지칭하는데, 민간에서는 누구에게나 9년 만에 닥치는 환란을 뜻한다. 사람에게 드는 삼...
-
충청남도 천안시에서 전해 오는 명풍수와 명당 이야기. 「삼정승 육판서가 나는 묏자리」는 명풍수 큰아버지가 잡아 준 삼정승 육판서 나오는 명당 자리에 조카가 아버지의 묏자리를 써서 크게 발복하였다는 풍수담이다. 「삼정승 육판서가 나는 묏자리」는 상명 대학교 구비 문학 연구회에서 1990년 6월 26일에 신형수[75세, 남,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성남...
-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성환읍에 있는 주철 주물 제조업체. 삼천리 금속은 1973년 2월 주식회사 삼천리 기계 주물 사업부 사업이 개시되면서 출발하였다. 1992년 1월에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성환읍으로 공장을 이전하였고, 1998년 5월에 주식회사 삼천리 금속으로 법인 전환하였다. 2009년 9월 제2 공장을 준공하였다. 1995년 5월 한국 선급 협회로부...
-
충청남도 천안시를 상징하는 나무로 버드나무과의 낙엽활엽교목. 능수버들은 한국이 원산지이며, 중국과 만주 등지에 분포한다. 삼춘류(三春柳)·수사(垂絲)·정류(檉柳)라고도 부르며, 버드나무 꽃을 버들개지, 버들강아지라 부른다. 능수버들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버드나무인데, 천안 삼거리와 인연이 되어 능수버들 하면 ‘천안 삼거리의 능수버들’을 떠올리게 되었다. 충청남도 천안시...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풍세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 때 대상지인 삼태리, 학계리, 원당리 중 삼태리의 이름을 따서 삼태리(三台里)라 부른데서 붙여진 이름이다. 삼태는 들인데 고려 시대의 삼태사가 태어난 곳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삼태사는 전성안(全成安), 이숭인(李崇仁), 전윤장(全允藏)의 세 명을 일컫는다 한다. 조선 시대에 천안군 원서면 지...
-
충청남도 천안시 풍세면 삼태리에서 매년 음력 11~12월에 농사의 풍년과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산신제는 매년 가을걷이를 마친 동짓달이나 섣달 중에 산신이 내려온다는 산신 하강일(山神下降日)로 길일을 택하여 모신다. 산신제는 동계(洞契)가 주관하여 거행된다. 예전에는 마을에서 식견이 있고 통솔력이 있는 사람을 동유사(洞有司)로 선정하여 그가 제삿날의 택일,...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풍세면 삼태리에서 매년 음력 2월 초하룻날 농사의 풍년과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본래 삼태리 원당·학계 산신제는 매년 정월 초이튿날에 학계와 원당, 이 두 마을이 공동으로 제를 지냈으나 1980년대 후반부터 2월 초하룻날로 날짜를 옮겼다. 때로는 마을에서 부정한 일이 있거나 제를 주관하는 주당(主堂)이 부정한 것을 보게 되면 예정된 산...
-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직산읍에 속하는 법정리. 직산읍사무소 북쪽 약 3㎞ 지점에 위치하며, 진산(鎭山)인 성산(城山)[사산성(蛇山城)]과 직산 향교, 관아 호서계수아문(湖西界首衙門)이 있다. 옛 직산현 읍치(邑治)의 중심지이다. 조선 시대에 직산현 서변면 지역으로 고을의 서쪽에 있다 해서 서리(西里)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 때 직산군 서변면...
-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직산읍에 속하는 법정리. 직산읍사무소 서북쪽 약 3㎞ 지점에 위치한다. 수도권 전철과 국도 34호선이 남북으로 통과하고, 지방도 624호선이 동서로 지난다. 산호 아파트 단지가 크게 자리 잡고 있다. 조선 시대에 직산현(稷山縣) 일서면(一西面) 지역으로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 때 상남리(上南里)와 ‘상(上)’ 자와 덕령골[德令谷]의...
-
충청남도 천안시에서 음력 시월에 전하여 내려오는 풍습. 음력 시월은 한 해 농사를 마무리하고 겨울을 나려고 준비하는 시기이다. 그래서 가정마다 수확하느라 분주한 시기이지만, 조상과 집안을 지켜 주는 여러 신령에게 햇곡식을 올려서 한 해 수확에 대하여 감사하는 고사를 지내기도 한다. 그래서 시월을 ‘햇곡식을 신에게 올리기에 가장 좋은 달’이라는 뜻에서 상달이라고 한다. 또...
-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직산읍에 속하는 법정리. 직산읍사무소 서북쪽 약 3㎞ 지점에 위치한다. 수도권 전철과 국도 34호선이 남북으로 통과하고, 지방도 624호선이 동서로 지난다. 산호 아파트 단지가 크게 자리 잡고 있다. 조선 시대에 직산현(稷山縣) 일서면(一西面) 지역으로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 때 상남리(上南里)와 ‘상(上)’ 자와 덕령골[德令谷]의...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북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 때 통합 대상인 상량리, 만지리, 동곡리 및 문현리 중 상량리의 ‘상’ 자와 동곡리의 ‘동’ 자를 따서 상동리(上東里)라 부른 데서 붙여진 이름이다. 조선 시대에는 목천군 북면 지역이었는데,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 때 상동리를 개설하여 충청남도 천안군 북면에 편입하였다. 1963년에 충청남도...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북면 상동리에 전해 내려요는 장터갱변에 대한 이야기. 천안시 동남구 북면 상동리의 장터갱변은 병천천과 산방천이 합쳐지는 지역이다. 장터갱변은 원래 냇가에서 장이 섰다 하여 붙은 이름이다. 「상동리 장터갱변 이야기」는 장터갱변의 유래와 이곳에서 출몰하여 사람을 해치던 이무기에 대한 이야기이다. 「상동리 장터갱변 이야기」는 천안...
-
충청남도 천안시에서 전해지는 상여꾼들이 상여를 메고 가면서 부르는 상례 의식요. 「상엿소리」는 일반적으로 「향두가」, 「향도가」 등으로도 지칭하는데, 향도(香徒)[상여꾼]가 원래는 불교를 신봉하는 집단을 이르는 용어이기에 불교 의식에서 유래된 노래임을 알 수 있다. 불교에서 법요식(法要式)을 행할 때 요령을 흔드는 것도 「상엿소리」의 선창자가 요령을 흔드는 것...
-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성환읍에 속하는 법정리. 성환읍사무소 동북쪽 약 6㎞ 지점 안성시 경계 소사벌에 있다. 안성천(安城川)과 입장천(笠場川)이 합수(合水)하는 뾰족한 곶(串)의 지형이다.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 때 중령리(中令里), 하령리(下令里)를 합쳤다 하여 양령리(兩令里)가 되었다. 중령리은 상령(上令)이라 불리고, 하령리은 ‘하(下)’ 자가 좋...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구성동에 있는 사회 봉사 단체. 박애와 봉사를 통하여 국가에 헌신하고 자연 환경 보전과 사회 환경 개선 활동을 통하여 나라와 인류 공영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설립했다. 한국 상록회는 국가와 지역의 발전을 위해 자립, 자조, 자존의 구호를 외치며, 41명의 발기인들이 모여 1970년 10월 28일 이정웅을 초대 회장으로 선출하여 12명의...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안서동에 있는 사립 대학교. 상명 대학교 천안 캠퍼스는 진리·정의·사랑을 바탕으로 문화 창조와 인류 복지에 이바지할 유능한 인재 양성이라는 교육 이념을 가지고 조화로운 인격을 함양하는 교양 교육, 협동과 봉사를 중시하는 시민 교육, 창의와 실용을 지향하는 전공 교육, 미래 사회를 선도하는 세계화 교육을 목표로 하고 있다. 상명...
-
조선 후기 천안 군수를 역임한 문신. 정지경(鄭之經)[1586~1634]은 천안 군수였던 정근(鄭謹)의 아들로 부자가 모두 천안 군수를 지냈다. 천안 군수 재임 시 전임 군수 손여성(孫汝誠)이 지은 『문헌록』을 바탕으로 『속문헌록』을 간행하고, 고을의 효자와 열녀를 포상하였다. 본관은 동래(東萊), 자는 상백(常伯), 호는 기은(機隱)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정구(鄭球)이고...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목천읍 석천리와 북면 전곡리를 연결하는 고개. 석천리에 있는 산방 마을의 이름에서 유래하였다. 산방이 고개라고도 하는데 산방이 마을은 석천리의 원석천 마을이다. 상뱅이 고개라는 이름도 있다. 삼뱅이 고개의 해발 고도는 약 240m이며, 좌표는 북위 36도 50분, 동경 127도 15분이다. 지질은 흑운모 편마암과 화강암질 편마...
-
충청남도 천안시에서 전해지는 상여꾼들이 상여를 메고 가면서 부르는 상례 의식요. 「상엿소리」는 일반적으로 「향두가」, 「향도가」 등으로도 지칭하는데, 향도(香徒)[상여꾼]가 원래는 불교를 신봉하는 집단을 이르는 용어이기에 불교 의식에서 유래된 노래임을 알 수 있다. 불교에서 법요식(法要式)을 행할 때 요령을 흔드는 것도 「상엿소리」의 선창자가 요령을 흔드는 것...
-
일제 강점기 천안 출신의 독립운동가·교육자. 황봉선(黃鳳善)[1908~1982]의 본관은 창원(昌原), 자는 순서(舜瑞), 호는 상산이며, 본적지는 충청남도 천원군 목천면 교천리 18번지이다. 1926년 여름에 조직된 수원 고등 농림학교의 항일 학생 비밀 결사인 건아단(健兒團)에 참가하여 활동하다가 일본 경찰에 체포되어 퇴교를 당하고 18개월의 옥고를 치렀다....
-
충청남도 천안시에서 부모 혹은 직계 가족의 초상이 났을 때를 대비하여 상부상조를 목적으로 조직한 계. 천안 지역의 연반계는 주로 부모의 장례를 효율적으로 치르려고 결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마을에 따라서는 상여계(喪輿契)·위친계(爲親契)·상포계(喪布契)·친목계(親睦契)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연반계는 한 마을 또는 왕래가 빈번한 인접 마을의 구성원들이 계를 만...
-
충청남도 천안시에서 전해지는 상여꾼들이 상여를 메고 가면서 부르는 상례 의식요. 「상엿소리」는 일반적으로 「향두가」, 「향도가」 등으로도 지칭하는데, 향도(香徒)[상여꾼]가 원래는 불교를 신봉하는 집단을 이르는 용어이기에 불교 의식에서 유래된 노래임을 알 수 있다. 불교에서 법요식(法要式)을 행할 때 요령을 흔드는 것도 「상엿소리」의 선창자가 요령을 흔드는 것...
-
충청남도 천안시에서 음력 1월 15일에 행하는 세시 풍속. 대보름은 상원(上元)이라고 하며 한국의 대표적인 세시 명절 중 하나이다. 음력 1월 15일을 대보름, 음력 1월 14일은 작은 보름이라고 부른다. 대보름 시기에는 마을 전체가 잔치 분위기에 휩싸이는 때이다. 마을 공동 신에게 제사도 지내고 마을 공동체의 구성원이 모두 함께하는 대동 놀이 등도 많다. 또...
-
충청남도 천안시에서 음력 시월에 전하여 내려오는 풍습. 음력 시월은 한 해 농사를 마무리하고 겨울을 나려고 준비하는 시기이다. 그래서 가정마다 수확하느라 분주한 시기이지만, 조상과 집안을 지켜 주는 여러 신령에게 햇곡식을 올려서 한 해 수확에 대하여 감사하는 고사를 지내기도 한다. 그래서 시월을 ‘햇곡식을 신에게 올리기에 가장 좋은 달’이라는 뜻에서 상달이라고 한다. 또...
-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입장면에 속하는 법정리. 입장면사무소 동쪽 800m 지점에 있다. 국가 지원 지방도 23호선이 중심부를 남북으로 관통한다. 예전 직산현(稷山縣) 이동장(二東場)이 매 4일과 9일에 열렸는데, 이동장터 위쪽이므로 윗장터라 하고, 한자로 상장(上場)이라 했다. 웃장터, 윗입장이라고도 한다. 조선 시대에 직산현 이동면(二東面) 상장리(上場里)...
-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직산읍에 전해지는 상좌승 골린 행자승 이야기. 「상좌승을 골린 행자승」은 상좌승이 어린 행자승에게 물심부름을 반복하여 시키자 행자승이 아주 뜨거운 물을 떠다 주어 상좌승을 골렸다는 이야기이다. 「상좌승을 골린 행자승」은 2010년 2월 3일 단국 대학교 교수 강영순과 구비 문학반이 이재성[76세, 남,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직산읍에 전해지는 상좌승 골린 행자승 이야기. 「상좌승을 골린 행자승」은 상좌승이 어린 행자승에게 물심부름을 반복하여 시키자 행자승이 아주 뜨거운 물을 떠다 주어 상좌승을 골렸다는 이야기이다. 「상좌승을 골린 행자승」은 2010년 2월 3일 단국 대학교 교수 강영순과 구비 문학반이 이재성[76세, 남,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
조선 전기 천안 출신의 문신. 본관은 목천(木川)이다. 자는 기부(起夫), 호는 송현(松峴)·범허재(泛虛齋)·향일당(嚮日堂), 시호는 성안(成安)이다. 찰방(察訪) 상보(尙甫)의 아들이며, 어머니는 연안 김씨(延安金氏)로 박사(博士) 김휘(金徽)의 딸이다. 상진(尙震)[1493~1564]은 조실부모하여 큰누이의 집에서 자랐는데, 매부는 하산군(夏山君) 성몽정(成夢井)이다...
-
충청남도 천안시에서 부모 혹은 직계 가족의 초상이 났을 때를 대비하여 상부상조를 목적으로 조직한 계. 천안 지역의 연반계는 주로 부모의 장례를 효율적으로 치르려고 결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마을에 따라서는 상여계(喪輿契)·위친계(爲親契)·상포계(喪布契)·친목계(親睦契)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연반계는 한 마을 또는 왕래가 빈번한 인접 마을의 구성원들이 계를 만...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병천면에 있는 자동차 부품 제조업체. 새론 오토 모티브는 1989년 12월에 대동 브레이크로 시작하여 1999년 3월 17일에 새론 오토 모티브 주식회사로 법인 전환하였으며, 1991년 9월에 공장을 준공하였다. 2005년 10월 19일에 한국 거래소에 신규 상장 승인을 받아, 2005년 10월 21일부터 유가 증권 시장에서 유가 증권의...
-
충청남도 천안시에서 새마을 운동의 민간 주도 기능 수행과 새마을 역량을 결집해 가기 위해 설립된 시민 사회 단체. 새마을 운동 중앙회는 국민 화합과 높은 도덕성을 추구하는 국민 정신 함양과 애향·애국심으로 지역 사회 및 국가 발전에 기여하며, 더불어 사는 복지 공동체 및 경제 살리기 분위기 조성, 그리고 유관 기관과 협력 강화로 사회 선진화에 역량 집중을 통한...
-
충청남도 천안시에서 새마을 운동의 민간 주도 기능 수행과 새마을 역량을 결집해 가기 위해 설립된 시민 사회 단체. 새마을 운동 중앙회는 국민 화합과 높은 도덕성을 추구하는 국민 정신 함양과 애향·애국심으로 지역 사회 및 국가 발전에 기여하며, 더불어 사는 복지 공동체 및 경제 살리기 분위기 조성, 그리고 유관 기관과 협력 강화로 사회 선진화에 역량 집중을 통한...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원성동에 있는 새마을 운동 중앙회 충남 지부 소속의 산하 조직. 건전한 가정 육성과 여성의 자질 향상, 생활 개선 계몽 사업, 불우이웃 돕기, 소득 증대 사업 등을 통해서 지역 사회 발전에 이바지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75년 부녀 교실 조직 확대 5개년 계획 수립이 강력히 추진되면서 지도부의 상충, 중복 등 여러 가지 혼란과 부작용이 발생하자...
-
충청남도 천안시 목천읍 독립 기념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스포츠 유물. 새미 리(Sammy Lee)[1920~ ]는 한국계 미국인 다이빙 선수로 1948년 런던 올림픽 다이빙에 출전하여 플랫폼에서 금메달, 스프링보드에서 동메달을 땄다. 이를 통해 미국에서 아시아계로는 처음으로 금메달을 딴 선수가 되었다. 1952년 헬싱키 올림픽에서 다시 플랫폼 금메달을 따며 올림...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신방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스스로 공부하는 실력인, 심신이 건강하고 감성이 풍부한 건강인, 고운 마음을 갖고 예절을 실천하는 예절인, 예술을 사랑하고 개성을 창조하는 문화인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샘이 깊은 물’로 끊임없이 지속적으로 솟아나는 사람의 지혜를 뜻한다. 2006년 10월 23일에 천안 새샘 중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았...
-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성환읍에 속하는 법정리. 성환읍사무소 북서쪽 약 2㎞ 지점에 있으며, 국도 34호선과 경부선 철도가 지난다. 서쪽에 국립 축산 과학원 축산 자원 개발부가 있다.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때 우헐리(牛歇里)의 ‘우(牛)’ 자와 신대리(新垈里)의 ‘신(新)’ 자를 합쳐 우신리(牛新里)라고 이름을 붙였다. 조선 시대에 직산현(稷山縣) 이서면...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목천읍 동리에 있는 독립 운동가 이동녕의 생가터. 이동녕[1869~1940]은 천안 목천에서 태어났으며, 본관은 연안(延安), 호는 석오(石吾), 자는 봉소(鳳所)이다. 1940년 72세 때 급성 폐렴으로 중국 쓰촨성 기강에서 순국할 때까지 독립 운동에 전 생애를 바쳤다. 1962년 건국 공로 훈장 대통령장에 추서되었다. 이동녕 선생 생...
-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성거읍에 있는 화장품 제조업체. 생그린은 1987년 3월 3일에 설립되어 1987년 12월 21일 화장품 제조 허가 및 의약 외품 제조 허가를 취득하였다. 1991년 4월 18일 KGMP[우수 의약품 제조 시설 기준] 허가를 취득하였으며, 1991년 12월 30일 건강 보조 식품 제조업 허가를 취득하였다. 2000년 10월 27일 생그린...
-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입장면 홍천리에 있는 중소기업 전문 연구 기관. 한국 생산 기술 연구원은 중소기업이 실용화할 수 있는 첨단 핵심 기술의 개발 및 지원과 산업 원천 기술 확보 등을 통한 중소기업 육성 지원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한국 생산 기술 연구원은 1989년 10월 12일 ‘생산 기술 연구원’이라는 명칭으로 서울특별시 구로구 구로동에서 상...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목천읍 서흥리에 있는 노인 복지 시설. 무의탁 노인과 부득이한 사유로 가족의 보호를 받을 수 없는 심신이 허약한 노인과 장애 노인을 보호하여 안정과 휴양, 장애에 따른 사회적 고립 예방, 질병이나 장애에 대한 재활 서비스를 제공하여 자립 생활과 심신 기능이 저하되지 않도록 예방하여 신체적·정신적으로 일상적인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설립...
-
조선 전기 천안 출신의 효자.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문수(文叟), 호는 서곡(西谷)이다. 세조(世組)의 아들 덕원군(德源君) 이서(李曙)의 증손자이다. 이란수(李鸞壽)[?~?]는 10살에 아버지가 죽자 어린나이임에도 초상에서 장례까지 예법을 다하여 몸소 주관하였다. 어머니가 병들자 두 번이나 손가락을 잘라 피를 넣어 드리고 허벅지의 살을 도려내어 약으로 쓰는 등 어...
-
충청남도 천안 지역에서 활동한 현대 교육자. 서광벽(徐光璧)[1908~1996]은 천안 고등학교와 계광 중학교의 설립자로, 천안 지역에서 활발한 교육 사업을 전개하였다. 1932년 세브란스 의학 전문학교를 졸업한 뒤 1933년 삼정 병원을 개원하였다. 1946년부터 삼정 병원의 병실을 비워 야학을 운영하다가 1947년에 남산 국민학교의 교실을 빌려 중학 과정의...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북면 운용리와 서북구 입장면 양대리를 연결하는 고개. 백제 온조왕이 처음 도읍한 위례성에 대해서 광주 위례성설과 직산 위례성설이 있다. 이곳은 직산 위례성설의 위례성과 가까운 곳으로 온조왕이 처음 도읍하였을 때 이곳에 문을 세웠기 때문에 부소문이 고개라고 한다. 부수문이 고개, 서낭당이 고개, 부소문령(扶蘇門嶺), 부소령(扶蘇嶺), 부소...
-
충청남도 천안시 지역의 고갯마루나 마을 입구에 있는 서낭당에서 가정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제사. 민간에서 전승되는 서낭제는 크게 두 가지의 형태로 구분된다. 하나는 마을 차원에서 정결한 제관을 선정하여 주관하는 동제의 형태이고, 다른 하나는 부녀자들이 개별적으로 날을 잡아 가정의 안녕을 기원하는 의례가 그것이다. 천안 지역에서는 동제로 서낭제를 지내는 마을은 거의 없...
-
일제 강점기 충청남도 천안 출신의 독립운동가. 서단파(徐檀坡)[1891~1937]는 충청남도 천원군 수신면 해정리 413을 본적지로 한다. 1931년에 제87사단 군의처장으로 복무 중 1937년 12월 남경(南京) 대회전에서 전사하였다. 서상덕(徐相悳)이라는 이름으로 불리기도 하였다. 1914년 북간도(北間島)로부터 국내에 들어와 내외 연락 등의 활동을 수행하다가, 데라...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목천읍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 때, 목천군 읍내면의 서쪽에 위치하여 서리라고 하였다.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에 때 목천군 읍내면 서지리, 서당리, 중보리 일부를 병합하여 서리라 하고, 천안군 목천면에 편입하였다. 1963년 천안읍이 천안시가 되면서 천원군 목천면 서리가 되었으며, 이후 본 마을 이름 찾기 일환으로 199...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동면 수남리에 전해 내려오는 장수 경합담. 국사봉(國師峰)[360m]은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동면과 충청북도 진천군 문백면 계산리의 경계를 이루고 있는 산이다. 국사봉을 국수봉이라고도 하는데, 이는 국사봉의 와전인 듯하다. 월성산의 정확한 소재는 알려져 있지 않다. 서림산(徐林山)[317m]은 천안시 동남구 동면 수남리와 충청북도 청원...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동면의 서림산과 관련된 지명과 인물 유래담. 서림산(徐林山)[317m]은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동면과 충청북도 청원군 오창읍 두릉리 경계에 위치한 산이다. 산꼭대기에 옛 토성을 비롯해 장대(將臺)와 우물이 남아 있다. 「서림산 전설」은 산 이름에 관한 지명 유래담과 인물 유래담이 몇 가지로 갈라져 있다. 상명대 구비 문학 연...
-
충청남도 천안시 동면 수남리에 있는 백제 시기부터 조선 시대의 산성. 서림산성(徐林山城)은 충청남도 천안시 동면 수남리에 있다. 동면사무소에서 21번 도로를 타고 병천 방향으로 가서, 화계교에서 남쪽인 좌측으로 돌아가다 보면 송연 1리 삼한 마을이 나온다. 이곳에서 남동쪽으로 길을 따라 약 1.2㎞ 정도 가면 서림산이 나오는데, 산 정상부[330m]에 서림산성...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구룡동에 있는 기독교 대한 감리회 소속 교회. 하늘샘 교회의 모태는 서릿말 기도처이고, 이 기도처를 설립한 윤치호는 한국인 최초의 기독교 세례인이자 민족의 선각자로 꼽힌다. 1903년 7월 윤치호가 천안 군수로 부임하면서 가정 예배를 시작하였고, 1905년 4월 5일에 서릿말 기도처가 설립되었다. 1916년 안창호 목사가 충청남도 천안군...
-
조선 전기 천안 출신의 효자. 서만(徐萬)은 목천군 북면 사담리[현 천안시 동남구 북면 사담리] 출신이다. 부모가 살아 계실 때 효도해야 한다는 생각으로 삭망[음력 초하룻날과 보름날]에는 술과 음식을 갖추어 봉양하였다. 집안이 넉넉하지 않았으나 평생을 한결같이 이행하였다. 부모가 먹고 싶은 것이 있다고 하면 천리 길을 가서라도 구해다 드렸다고 한다. 서만의 효...
-
조선 시대 천안 출신의 무신. 김응상(金應祥)[?~1583]은 조선 선조 때의 무관으로, 1578년(선조 11) 종계변무(宗系辨誣)의 임무를 띠고 명나라에 간 주청사(奏請使) 황림(黃琳)의 종사관이 되어 연경에 다녀왔다. 그 뒤 왕으로부터 비변사에 ‘인재 천거령’이 내렸을 때 곽흘(郭屹)에 의해 추천되었으며, 뒷날 병마절도사에 올라 함경도 지방을 노략질하던 여진족의 침략...
-
일제강점기 천안 출신의 독립운동가. 서병순(徐秉舜)[1885~1920]은 1885년 1월 3일 충청남도 천안군 병천면 병천리 164번지에서 출생하였다. 그 외 가계나 학력 등은 알 수 없으며, 1919년 아우내 장터 만세 운동에 참가하였다. 아우내 장터의 독립 만세 운동은 유관순의 서울 3·1 운동 보고 이래 수신면(修身面)·성남면(城南面) 계통과 동면(東面)...
-
일제강점기 천안 출신의 독립운동가. 서병순(徐秉舜)[1885~1920]은 1885년 1월 3일 충청남도 천안군 병천면 병천리 164번지에서 출생하였다. 그 외 가계나 학력 등은 알 수 없으며, 1919년 아우내 장터 만세 운동에 참가하였다. 아우내 장터의 독립 만세 운동은 유관순의 서울 3·1 운동 보고 이래 수신면(修身面)·성남면(城南面) 계통과 동면(東面)...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신방동에서 서북구 성성동까지 연결되는 도로. 천안시는 2012년부터 도로명 주소 제도를 시행하면서 천안시에 개설되어 있는 전체 도로들 가운데 고속 도로를 제외한 나머지 도로들을 대로, 로 및 길의 3계층 도로망으로 분류하였다. 대로로는 서부 대로(西部大路)를 비롯하여 동서 대로, 남부 대로, 쌍용 대로, 불당 대로, 천안 대로, 삼성 대...
-
충청남도 천안시에 속하는 행정 구역. 서북구(西北區)는 천안시의 북서부에 위치해 있고, 동쪽으로는 경기도 안성시 서운면, 충청북도 진천군 백곡면, 서쪽으로는 충청남도 아산시 탕정면·음봉면·둔포면, 남쪽으로는 천안시 동남구 신안동·문성동·중앙동·봉명동·일봉동·신방동, 아산시 배방읍, 북쪽으로는 경기도 평택시 팽성읍·가천동, 안성시 공도읍·미양면 등과 각각 접하고...
-
충청남도 천안시에 있는 교육 지원 단체. 향토애 진작과 지역 사회 발전에 기여할 우수 인재를 양성하고 기업 이윤의 사회 환원을 목적으로 설립된 교육 지원 단체이다. 1990년 서산 지역에서 창립된 서산 장학 재단의 천안 지역 조직으로 2006년 김평산을 지부장으로 창립되었다. 주요 사업에는 장학 사업, 교육 사업, 문화 사업, 교육 사업 등이 있다. 2006년 9월 30...
-
일제 강점기 충청남도 천안 출신의 독립운동가. 서단파(徐檀坡)[1891~1937]는 충청남도 천원군 수신면 해정리 413을 본적지로 한다. 1931년에 제87사단 군의처장으로 복무 중 1937년 12월 남경(南京) 대회전에서 전사하였다. 서상덕(徐相悳)이라는 이름으로 불리기도 하였다. 1914년 북간도(北間島)로부터 국내에 들어와 내외 연락 등의 활동을 수행하다가, 데라...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봉명동에 있는 사립 중학교. 심신의 조화를 이루는 건강한 인간, 바른 품성을 지닌 예절 바른 인간, 미래 사회를 주도할 지혜로운 인간, 행복한 선진 사회를 이끌어갈 창의적인 인간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성실’이다. 1970년 2월 19일에 학교 법인 천광 학원으로 설립 인가를 받고 1971년 1월 29일에 천안 서 중학교 6학급...
-
충청남도 천안 지역의 학문과 제향을 위한 조선 시대 사설 교육 기관. 서원(書院)과 사우(祠宇)는 조선 시대 중요한 사설 교육 기관이자 선현(先賢)을 제사하는 제향처(祭享處)로서 후진을 교육시키고 선비 정신을 고양시키는 데 크게 기여하였다. 고려 말 안향(安珦)에 의해 성리학이 처음 전래된 이후 성리학은 조선의 정치 지도 이념으로서 기능하였고, 민간에는 문풍(文風)을 진...
-
충청남도 천안 지역에서 활동했던 미국인 감리교 선교사. 윌버. C. 스웨러[1871~1916]는 한국에 파견된 감리교 선교사로, 한국 이름은 서원보(徐元輔)이다. 부인은 천안 지역 여성 교육 사업을 돕고, 공주 영명여학교 교장을 지낸 한국 이름은 서사덕(徐思德)이다. 충청남도 공주 및 천안 지역에서 선교 활동을 전개하였다. 1898년 공주·천안 지역에 파송되어...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병천면 병천리에서 발원하여 병천리와 탑원리의 경계에서 광기천에 합류하는 하천. 서원천은 금강 수계의 본류인 금강의 제1 지류 미호천의 제2 지류인 병천천으로 흘러드는 광기천의 지류 하천으로, 유역 면적은 5.57㎢이며, 하천 연장은 3.9㎞, 유로 연장은 9.95㎞이다. 서원천으로 유입하는 지류로는 선발천이 있다. 서원천의 시점은 병천면...
-
조선 후기 천안 출신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자는 수부(秀夫), 호는 사봉(沙峰)이다. 아버지는 통정대부(通政大夫) 서충우(徐忠佑)[또는 徐忠祐]이며, 동생은 서정지(徐挺之), 부인은 정민(鄭旻)의 딸이다. 서정연(徐挺然)[1588~?]은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희암(希菴) 현덕승(玄德升)에게 사사(師事)하고 1612년(광해군 4) 생원시를 거쳐 1625년(인조...
-
조선 전기 천안 출신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이며, 자(字)는 서초(恕初), 호(號)는 구암(龜岩)·오죽산인(悟竹山人)이다. 증조할아버지는 김수형(金壽亨)이고, 할아버지는 종사랑을 지낸 김언묵(金彦黙)이며, 아버지는 진사 김석(金錫)이다. 외할아버지는 기형(奇逈)이며, 부인은 창평 이씨(昌平李氏)이다. 아들은 김시회(金時晦)와 김시민(金時敏)인데, 김시민은 임진왜란 때 진주성...
-
조선 시대 천안 출신의 효자. 본관은 남양(南陽), 자는 경직(敬直)이다. 적순부위(迪順副尉) 서혼(徐混)의 아들이며, 효자 서충필(徐忠弼)의 동생이다. 서충좌(徐忠佐)는 아이 때부터 성품이 순정(純正)하여 효성과 우애가 깊었다. 열두 살에 할머니 상을 당하여 고기를 먹지 않았으며, 아버지를 따라 시묘하면서 교대로 제사를 받들었고 탈상한 뒤에도 게으름이 없었다. 1571...
-
조선 시대 천안 출신의 효자. 본관은 남양(南陽), 자는 언직(彦直)이다. 적순부위(迪順副尉) 서혼(徐混)의 아들이며, 효자 서충좌(徐忠佐)의 형이다. 서충필(徐忠弼)은 타고난 자질이 순후(醇厚)하고 효성과 우애가 깊었다. 아버지가 병에 걸려 자리에 눕자 여러 해 동안 동생 서충좌와 함께 봉양하며 잠시도 곁을 떠나지 않았다. 아버지의 병이 위독해지자 변의 맛을 보고 상태...
-
조선 후기 충청남도 천안 출신의 효자. 본관은 남양, 자는 우천(于天)이다. 효자 정려를 세운 서충필(徐忠弼)과 서충좌(徐忠佐)가 종조할아버지이다. 장령공(掌令公) 서정연(徐挺然)의 아들이다. 서한장(徐漢章)[1640~1677]은 천안 원일면[지금의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광덕면 매당리] 사람이다. 어릴 때부터 총명하고 지혜로워 겨우 7세 되었을 때 절구시를 지었다. 1...
-
조선 후기 천안 출신의 문인. 본관은 남양(南陽), 자는 군석(君石), 호는 복재(復齋)이다. 아버지는 선무랑(宣務郞)을 지낸 서정지(徐挺之)이며, 큰아버지는 사봉(沙峯) 서정연(徐挺然)이다. 서한주(徐漢柱)[1622~?]는 조선 후기 성리학의 대가인 포저(浦渚) 조익(趙翼)의 문인이다. 1646년(인조 24)에 생원시에 2등 1위로 합격한 후 교관·주부·좌랑·정랑·사평...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목천읍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 때, 동쪽은 산이고 서쪽은 들이므로 서쪽으로 마을이 발전해야 흥한다고 하여 서흥리라 하였다 한다. 충청남도 천안시 목천읍 서흥리는 목천군 읍내면 일덕지리·이덕지리·와룡리·상림리·동막리가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에 따라 병합되어 이루어진 마을로, 목천면에 편입되었다. 1963년 천안...
-
충청남도 천안시에서 음력 4월 초여드렛날에 행하는 세시 풍속. 초파일을 석가 탄신일, 부처님 오신 날이라고도 한다. 천안 지역에서는 이날 주로 절에 가서 연등을 다는 공양을 한다. 연등은 가족의 건강과 보호를 기원하는 마음을 담은 것이다. 특히 천안시 동남구 수신면 해정 1리 엄정말에서는 이를 ‘등 공양’이라고 부른다. 천안 지역에서는 초파일 밤이...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성남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 때 통폐합 대상인 정곡리, 석천리, 도모리, 평리, 대양리, 세성면 용산리, 봉명리 중 석천리의 ‘석’ 자와 정곡리의 ‘곡’ 자를 따서 석곡리(石谷里)라 부른 데서 붙여진 이름이다. 조선 시대에 목천군 남면 지역이었는데,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 때 목천군 남면 정곡리, 석천리, 도모리, 평...
-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직산읍에 속하는 법정리. 직산읍사무소 서북쪽 약 5.5㎞ 지점에 위치한다. 석곡 낚시터가 유명하며 인근에 경부 고속 철도가 통과한다. 조선 시대에 직산현(稷山縣) 일서면(一西面) 석곡리(石谷里)였으며, 순 우리말로 돌실이라 한다. 돌실을 한자 지명으로 바꿔서 석곡(石谷)이라 했다. ‘실’은 골짜기를 뜻하는 고대어이며, 용례로 닭실-유곡(...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성남면 석곡리에서 매년 정월 초에 마을의 평안을 위하여 지내는 제의. 오랜 옛날에 어느 고승이 지금의 석곡리 방죽안 마을[정곡 마을]을 지나가다가 이 마을이 조래미[조리] 형국이라서 조리에 쌀이 차면 밑으로 빠지듯 한동안 동네가 부유하다가도 어느 시기가 되면 저절로 빈곤해지는 곳이라고 했다. 고승은 제를 지내면 마을에 좋을 것이라고도 일러 주었고...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성남면 석곡리에 있는 청동기 시대 유적. 석곡리 청동기 유적(石谷里 靑銅器 遺蹟)은 동산 C&G 공장부지 조성 과정에서 확인되었다. 청동기 시대 주거지, 토광 및 소형 수혈 유구, 시대 미상 유구 등이 확인되었다.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성남면 석곡 4리 산24-1에 있다. 유적은 해발 210m의 정양봉에서 북동쪽으로 뻗어 내...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성남면 석곡리에서 매년 정월 초에 마을의 평안을 위하여 지내는 제의. 오랜 옛날에 어느 고승이 지금의 석곡리 방죽안 마을[정곡 마을]을 지나가다가 이 마을이 조래미[조리] 형국이라서 조리에 쌀이 차면 밑으로 빠지듯 한동안 동네가 부유하다가도 어느 시기가 되면 저절로 빈곤해지는 곳이라고 했다. 고승은 제를 지내면 마을에 좋을 것이라고도 일러 주었고...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성남면 석곡리에 있는 청동기 시대 유적. 석곡리 청동기 유적(石谷里 靑銅器 遺蹟)은 동산 C&G 공장부지 조성 과정에서 확인되었다. 청동기 시대 주거지, 토광 및 소형 수혈 유구, 시대 미상 유구 등이 확인되었다.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성남면 석곡 4리 산24-1에 있다. 유적은 해발 210m의 정양봉에서 북동쪽으로 뻗어 내...
-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성거읍 석교 1리에서 매년 정월 초사흗날에 동네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석교 1리는 구억말이라는 이름보다 ‘돌다리’라는 이칭(異稱)이 더욱 많이 알려진 곳이다. 예전에 석교리에 흐르던 개천에 큰 바위 하나가 있었는데, 비가 많이 와서 물이 불면 이 돌을 밟고 건너다녀, 이 돌을 돌다리라고 불렀다. 지금은 고속 도로의 개통이...
-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성거읍에 속하는 법정리. 성거읍사무소 남쪽 약 2.6㎞ 지점에 위치하며, 경부 고속 도로와 국가지원 지방도 23호선이 중심부를 남북으로 통과한다. 폐선된 안성선(安城線) 철도 석교역(石橋驛)이 있었다. ‘석교’는 우릿말로 돌다리라 한다. 마을에 예전 암반 같은 돌로 다리를 놓았다 하여 돌다리라고 하며 현재는 묻혀 버렸다고 한다. 조선 시...
-
충청남도 천안시 성거읍 구억말에서 매년 정월 초사흗날에 농사의 풍년과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석교리 구억말 산신제와 정제는 대동계의 주관으로 거행된다. 제관은 이장, 반장, 새마을 지도자 등이 맡는다. 본래는 부정이 없고 가족이 단출한 가정에서 길일인 생기복덕일(生氣福德日)이 닿는 정결한 제관을 선출하여 제를 주관하였으나, 언제부턴가...
-
충청남도 천안시에서 석기를 도구로 사용하던 시기. 일반적으로 우리나라 구석기 시대는 전기·중기·후기로 구분되고 있는데, 전기는 12만~10만 년 전, 중기는 10만 년 전에서 3만 5000년 전까지, 후기는 그 이후부터 1만 2000년 전까지로 보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시기 구분은 절대적인 것이 아니고, 중기를 25만 년 전까지 소급시켜 보는 견해도 있다. 구석기 유적...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목천면 동리에 있는 독립운동가 이동녕의 기념관. 석오 이동녕 기념관은 이동녕 생가 주변에 위치하고 있다. 이동녕은 1869년 9월 2일[양력 10월 6일] 태어나 1885년 한성부 종로로 이사할 때까지 목천면 동리에서 생활하였다. 독립 협회에 가입하여 개화 운동을 시작으로 1940년 72세로 서거하기까지 항일 구국 및 민족 독립운동에 전...
-
일제 강점기 천안 출신으로 대한민국 임시정부에서 활동한 독립운동가. 본관은 연안(延安), 자는 봉소(鳳所), 호는 석오(石吾, 石五, 石梧)·암산(巖山)이다. 1869년 10월 6일 충청남도 천안에서 영해 군수를 지낸 아버지 이병옥(李炳鋈)과 어머니 광주 안씨 사이에서 큰 아들로 태어났다. 1. 구한말 애국계몽운동 이동녕(李東寧)[1869~1940]은 고향에서 서당을 다...
-
일제 강점기 천안 출신으로 대한민국 임시정부에서 활동한 독립운동가. 본관은 연안(延安), 자는 봉소(鳳所), 호는 석오(石吾, 石五, 石梧)·암산(巖山)이다. 1869년 10월 6일 충청남도 천안에서 영해 군수를 지낸 아버지 이병옥(李炳鋈)과 어머니 광주 안씨 사이에서 큰 아들로 태어났다. 1. 구한말 애국계몽운동 이동녕(李東寧)[1869~1940]은 고향에서 서당을 다...
-
일제 강점기 천안 출신으로 대한민국 임시정부에서 활동한 독립운동가. 본관은 연안(延安), 자는 봉소(鳳所), 호는 석오(石吾, 石五, 石梧)·암산(巖山)이다. 1869년 10월 6일 충청남도 천안에서 영해 군수를 지낸 아버지 이병옥(李炳鋈)과 어머니 광주 안씨 사이에서 큰 아들로 태어났다. 1. 구한말 애국계몽운동 이동녕(李東寧)[1869~1940]은 고향에서 서당을 다...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목천읍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 때, 냇물이 돌 사이로 맑게 흘러내려 간다고 하여 석천(石川)이라 하였다 한다. 목천군 읍내면 사기점리, 먹방이, 산방리 일부가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 때 석천리로 병합되어, 목천면에 편입되었다. 1963년 천안읍이 천안시가 되면서 천원군 목천면 석천리가 되었으며, 이후 본 마을...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북면 양곡리와 병천면 봉황리를 연결하는 고개. ‘돌목이’는 일반적으로 돌이 많은 곳을 나타내는 지명이지만, 지역에 따라서는 돌아가는 목임에도 ‘돌 회(回)’ 자가 아닌 ‘돌 석(石)’을 붙이는 경우가 있다. 돌목이 고개도 그런 경우 중 하나이다. 돌목이 고개의 해발 고도는 약 300m이며 좌표는 북위 36도 51분, 동경 127도 19분...
-
충청남도 천안시에서 지역 주민이 국가 및 지방 자치 단체의 공직에 임용될 사람을 직접투표를 통해 선출하는 행위. 선거의 종류는 대통령 선거, 국회 의원 선거, 지방 자치 단체장 선거, 지방 의회 의원 선거 등이 있다. 대통령 선거는 2012년 현재 5년마다 시행되고 있고 나머지 선거는 4년마다 실시되고 있다. 천안 지역에서의 대통령 및 부통령 선거는 1952년 8월 5일...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병천면에 있었던 사립 대학교. 교육, 목회, 복지, 의료 분야 등 인류를 위한 선교 지도자 양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1997년 7월 16일에 학교 법인 대정 학원의 설립 인가를 받았으며, 2002년 11월 16일에 성민 대학교 설립 인가를 받아 2003년 3월 1일에 성민 대학교를 개교하였다. 2004년 3월 1일에 성민 고등 경영 대학원으...
-
충청남도 천안시 쌍용동 미륵골[미라골]에 있는 선돌. 쌍용동은 봉서산(鳳瑞山) 남쪽에 자리한 마을로 미라골은 쌍용동에서 인구가 가장 많은 중심 마을이었다. 2013년 현재로써는 그 흔적조차 확인하기 어렵지만 ‘미륵사(彌勒寺)’라 불리는 절 있었다 하여 ‘미륵골’ 또는 ‘미라골’로 불리게 되었다. 일설에는 절이 없어지면서 석불을 마을 입구로 옮겨 놓았는데 바로...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동면 장송리 초석골의 설렁 바위와 관련한 암석 유래담. 천안시에는 태조산(太祖山)을 비롯하여 유왕골 등 고려 태조(太祖) 왕건(王建)[877~943]과 관련된 지명 전설이 많이 전한다. 천안시가 후백제와의 격전지였던 까닭이다. 「초석골 설렁 바위」는 선랑과 꽃사슴을 기르는 낭자 사이의 비극적인 사랑과 관련된 암석 유래담이자, 고려 건국...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삼룡동에 있는 사립 대학교. 애천(愛天), 애인(愛人), 애국(愛國)의 건학 이념 아래, 진리를 탐구하고 실천하는 인격자, 심정 문화를 이룩하는 세계 시민, 창의력으로 사회에 봉사하는 전문인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1979년 2월 1일에 선문 대학교 설립 추진 위원회를 구성하였고 1983년 4월 4일에 학교 법인 성화 학원 설립 인가를 받...
-
충청남도 천안 지역에서 역사적 사실을 문자로 기록하기 이전의 시대. 선사 시대(先史時代)는 문자로 역사적 사실을 기록하기 이전의 시대로 역사 시대라는 용어와 대칭되는 개념이다. 우리나라는 구석기 시대, 신석기 시대, 청동기 시대가 선사 시대에 속하며, 초기 철기 시대는 원사 시대로, 그 이후부터는 역사 시대로 구분된다. 우리나라 선사 시대는 각 시대별로 시기를 세분하고...
-
충청남도 천안 지역에서 선사 시대에 점토를 불에 구워 만든 용기. 토기(土器)는 신석기 시대부터 사용되었는데, 정착 생활에 따른 저장 용기의 필요로 출현하였다. 토기는 보통 500~1,000℃ 이하에서 구워지지만 그 이상에서 구워진 것은 도기(陶器), 유약을 바른 것을 자기(磁器)라고 부른다. 토기는 제작이 쉽고 파손이 많아 선사 시대 유물 가운데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
-
충청남도 천안시에서 매년 정월 초하루에 새해를 맞아 행하는 세시 풍속. 설날에는 추석과 함께 우리나라 최대의 명절이다. 이날은 아침 일찍 일어나 차례를 지내고 웃어른들을 찾아뵙고 세배를 하며 덕담을 나누는 풍습이 있다. 또한 이날은 묵은해를 보내고 새해의 첫날을 맞아 새로운 몸가짐을 한다는 의미에서 새 옷을 즐겨 입는다. 이렇게 새로 장만한 옷이나 신발 따위를...
-
조선 후기 천안 지역에서 활동한 문인·학자. 본관은 경주(慶州). 고려 때 대제학을 지낸 설장수(薛長壽)의 후예이다. 설약순(偰若純)은 시율(詩律)이 뛰어나 『동문선(東文選)』에 수록될 정도였다고 한다. 직하 이선생의 만사에 ‘이월 강남에 봄기운 생동하니, 매화 끝 혼령은 새싹을 돋우도다[二月江南春氣生梅梢魂返草心萌].’ 같은 구절이 유명하다. 충청도 유생들과 함께 179...
-
충청남도 천안 지역에서 옛날부터 민간에 구전되어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설화란 20세기에 태동한 학술적 용어로 ‘민간 서사’, ‘옛날이야기’ 등의 개념이다. 입에서 입으로 전해 온 일정한 구조를 지닌 이야기이다. 일상사나 역사적 사실 등은 설화에 포함되지 않는다. 전승자의 인식과 주인공에 따라 ‘신화’, ‘전설’, ‘민담’으로 구분하나 서로 넘나들며 바뀌기도 한다. 말하...
-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입장면에 속하는 법정리. 입장면사무소 서북쪽 약 2㎞ 지점에 위치한다. 국도 34호선이 중북부를 동서로 관통하며, 경부 고속 도로가 서쪽 인근을 지난다. 조선 시대에 직산현(稷山縣) 삼동면(三東面) 신두리(薪頭里)이다. 우리말 ‘섶머리’, ‘섬머리’를 한자로 음차한 것으로, 반도(半島)처럼 생긴 뾰족한 하천의 삼각주(三角洲), 곶(串)...
-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성환읍에 속하는 법정리. 성환읍사무소 북쪽 약 5.5㎞ 지점이며, 평택과의 경계에 있다. 경부선 철도와 국도 1호선이 지나고, 성환천(成歡川)의 수구(水口)와 안성천(安城川)이 합수(合水)한다.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으로 때 신리(薪里)의 ‘신(薪)’ 자와 가동리(佳東里, 可洞里)의 ‘가(佳)’ 자를 합쳐 신가리(薪佳里)라고 이름을...
-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의 입장면과 성거읍에서 생산되는 특산 과실류. 우리나라에서 포도가 처음 재배된 것은 고려 시대 이전에 중국에서 전래된 때부터라고 하나 이것은 확실치 않다. 조선 시대 백자(白磁)에 포도 그림이 있고 또한 홍만선의 『산림경제(山林經濟)』, 다산 정약용이 쓴 『소림 경제(小林經濟)』에 여러 가지 포도 품종이 기재되어 있는 것을 보면 적어도 그때부터 포도...
-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성거읍 송남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성거 초등학교는 건강한 몸과 마음으로 개성의 발달과 진로를 개척하는 학생, 기초 기본 교육의 충실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창의적인 학생, 문화를 이해하고 향유하는 태도로 품격 있는 삶을 영위하는 학생, 글로벌 리더의 자질을 함양하고 바른 품성을 갖춘 학생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사랑...
-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성거읍 천흥리와 동남구 북면 남안리·목천면 석천리의 경계에 있는 산. 성거산(聖居山)은 차령산맥의 주봉이 지나는 곳으로 높이는 579m이며, 천안시 성거읍 천흥리와 북면 남안리·목천면 석천리의 경계가 된다. 서쪽 산기슭으로는 안성천의 지류인 입장천, 남쪽 산기슭으로 산방천, 동쪽 산기슭으로 은석천이 발원한다. 『해동지도(海東地...
-
충청남도 천안시 북면 성거산에 있는 조선 후기 천주교 신자들이 거주하던 교우촌과 관련된 사적지. 천안(天安) 성거산(聖居山) 천주교(天主敎) 교우촌(敎友村) 터는 조선 후기 천주교 신자들이 거주하던 교우촌(敎友村) 터와 두 곳의 순교자 묘지로 이루어져 있다. 천안 성거산 천주교 교우촌 터는 ‘성거산 성지’ 또는 ‘성거산 일대 교우촌’으로도 불린다. 1998년...
-
충청남도 천안시 성거산 천주교 성지에서 개최되는 음악회. 성거산 성지 음악회는 매년 10월 충청남도 천안시 성거산 8부 능선에 위치한 천주교 성지에서 열리는 음악회이다. 음악회라는 이름으로 개최되고 있지만 문학, 미술, 국악, 무용, 연극 등 여러 장르의 문화 프로그램을 함께 진행한다. 조선 시대 천주교 박해 때 가톨릭을 믿던 선조들이 박해를 피해 성거산에 숨...
-
충청남도 천안시 성거산 천주교 성지에서 개최되는 음악회. 성거산 성지 음악회는 매년 10월 충청남도 천안시 성거산 8부 능선에 위치한 천주교 성지에서 열리는 음악회이다. 음악회라는 이름으로 개최되고 있지만 문학, 미술, 국악, 무용, 연극 등 여러 장르의 문화 프로그램을 함께 진행한다. 조선 시대 천주교 박해 때 가톨릭을 믿던 선조들이 박해를 피해 성거산에 숨...
-
충청남도 천안시 북면 성거산에 있는 조선 후기 천주교 신자들이 거주하던 교우촌과 관련된 사적지. 천안(天安) 성거산(聖居山) 천주교(天主敎) 교우촌(敎友村) 터는 조선 후기 천주교 신자들이 거주하던 교우촌(敎友村) 터와 두 곳의 순교자 묘지로 이루어져 있다. 천안 성거산 천주교 교우촌 터는 ‘성거산 성지’ 또는 ‘성거산 일대 교우촌’으로도 불린다. 1998년...
-
충청남도 천안시 성거읍 천흥리 천흥사지에서 발견된 고려 시대 동종. 성거산 천흥사명 동종(聖居山 天興寺銘 銅鍾)은 국내에 남아 있는 고려 시대 종 가운데 가장 큰 종이다. 종의 높이가 133㎝, 종 입구 지름은 96㎝로서, 현재 남아 있는 신라 상원사 동종, 성덕대왕 신종 다음으로 크다. 제작 기법이나 양식이 고려 범종을 대표하는 종이라고 할 수 있다....
-
충청남도 천안시 성거읍 성거산 정상에 있는 삼국 시대의 산성. 성거산성(聖居山城)은 충청남도 천안시 성거읍 천흥리에 있다. 성거읍사무소에서 입장 방면인 천흥 저수지의 남쪽 상류로 가면 만일사가 있고, 그 배산에 동북쪽으로 성거산이 있다. 성거산성은 성거산의 정상부에 축조되어 있다. 성거산성은 성거산[해발 579m] 정상부에 둘러쌓는 테뫼식 산성으로...
-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에 속하는 법정읍. 천안시청 북동쪽에 위치한다. 남쪽으로 동남구 신안동과 서북구 부성동, 북쪽으로 입장면, 서쪽으로 직산읍, 동쪽으로 목천읍 송전리·석천리와 경계이다. 고려 태조 왕건, 조선 태조 이성계, 세종 대왕 등이 성거산에 제사를 올렸던 지역으로 산자수려(山紫水麗)하며, 위례산성이 사리목 고개 위에 있고, 성거산에 성거산...
-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성거읍 봉주로에 있는 성거읍 관할 행정 기관.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를 구성하고 있는 11개 읍·면·동 가운데 성거읍 주민들의 생활과 관련한 행정 업무 및 성거읍의 문화 산업 발전을 위해 힘쓰는 행정 기관이다. 성거읍사무소는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성거읍의 행정, 민원 및 주민의 복리 증진과 관련된 업무를 총괄하기 위해 설립되...
-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성거읍 송남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성거 초등학교는 건강한 몸과 마음으로 개성의 발달과 진로를 개척하는 학생, 기초 기본 교육의 충실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창의적인 학생, 문화를 이해하고 향유하는 태도로 품격 있는 삶을 영위하는 학생, 글로벌 리더의 자질을 함양하고 바른 품성을 갖춘 학생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사랑...
-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입장면 기로리에 있는 전시관. 성경 풍물관은 천안 골드힐 카운티 리조트 내에 있다. 성경 속에 등장하는 지역의 역사와 문화, 지리, 생활용품 등을 눈으로 보고 간접 체험할 수 있는 곳으로 2007년에 개관하였다. 역사의 시작, 예수의 생애, 풍물이라는 세 가지 주제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제에 맞는 다양한 풍물들이 각 요소마다 복원되어 있...
-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부대동에 있는 대한 성공회 대전 교구 산하의 교회. 대한 성공회 천안 부대동 교회는 1907년 8월에 설립되었으며, 대한 성공회 대전 교구에서 제일 먼저 창설된 교회다. 1906년 수원 교회의 브라이들(G. A. Bridle)[한국 이름 부재열] 신부와 전재익[요한] 전도사의 천안 지역 선교로 초기 2명이 입교하였으며 1907년 8월에...
-
충청남도 천안 지역에 있는 침입이나 재해로부터 스스로 보호하기 위한 인위적 시설. 성(城)이란 보통 성벽을 말하는 것이지만, 그 의미는 매우 넓다. 처음에는 흙을 파서 도랑을 만들거나 흙으로 쌓았으나 사람들의 지혜가 발달하면서 나무로 만든 목책(木柵)과 돌로 쌓은 석축(石築), 벽돌로 쌓은 전축(塼築)도 생겼다. 전형적인 성곽은 네모꼴로 쌓은 성과 다시 그 바깥에 네모꼴...
-
일제강점기 충청남도 천안 출신의 독립운동가. 유중무(柳重武)[1875~1956]는 1919년 4월 1일 갈전면(葛田面) 아우내 장터 독립 만세 운동을 주도한 사람 중의 한 명이다. 본관은 고흥(高興). 유관순(柳寬順)의 작은아버지이다. 자는 성관(盛寬)이고, 유중용(柳重容)이란 이름으로 불리기도 했다. 유중무는 일찍이 기독교로 개종하여 교사로 있으면서 천안군...
-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백석동에 있는 제약 회사. 퍼슨은 1957년 5월 28일에 설립된 성광 약 화학 연구소에서 출발하였다. 1988년 1월 20일에 성광 제약 공업사로 상호를 변경하였으며, 1997년 1월 1일 성광 제약 주식회사로 법인 전환하였다. 1994년 10월 15일에 KGMP[한국 우수 의약품 제조 기준] 공장인 부천 공장을 준공하였다. 천안 공장...
-
충청남도 천안시 제헌 의원.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성광(星光), 호는 죽산(竹山)이다. 구한말 정3품 의관(議官)을 지낸 김정기(金精氣)의 아들이다. 김용화(金鏞化)[1902~1970]는 함경남도 흥남시 상수리 51번지 태생으로, 일본 중앙 대학 법학부, 일본 대학 정치학부, 북경 대학 정치학부를 졸업하였다. 1939년 현 천안시 방죽안 마을에 이주하여...
-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백석동에 있는 제약 회사. 퍼슨은 1957년 5월 28일에 설립된 성광 약 화학 연구소에서 출발하였다. 1988년 1월 20일에 성광 제약 공업사로 상호를 변경하였으며, 1997년 1월 1일 성광 제약 주식회사로 법인 전환하였다. 1994년 10월 15일에 KGMP[한국 우수 의약품 제조 기준] 공장인 부천 공장을 준공하였다. 천안 공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