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고지도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500167
한자 古地圖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충청남도 천안시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김명진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특기 사항 시기/일시 1682년 - 『동여비고』의 「충청도 조죽령 이북 제주군도」제작
특기 사항 시기/일시 1861년 - 김정호 『대동여지도』 제작
특기 사항 시기/일시 1871년 - 『호서읍지』의 「천안군 지도」·「목천현 산천 강역 지 총도」 제작
특기 사항 시기/일시 1872년 - 『지방 지도』의 「천안군 지도」·「직산현 지도」제작
특기 사항 시기/일시 1895년 - 『호서읍지』의 「천안군 지도」·「목천현 산천 강역 지 총도」·「직산현 지도」제작

[정의]

조선 시대 천안 지역이 나타나 있는 옛 지도.

[개설]

충청남도 천안 지역을 그려 놓은 고지도(古地圖)에는 전국 지도와 군현 지도가 있다. 전국 지도에는 모든 군현을 표기하기 때문에 천안 지역을 간략하게 그려 놓을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하지만 군현 지도는 개별 군현만 그려 놓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전국 지도에 비해 보다 풍부한 당시 상황을 기록하고 있다. 지도라는 것은 정치·사회·문화적 모든 현상을 한눈에 알아볼 수 있도록 새긴 그림이다. 비록 현대지도에 비해 정밀도가 떨어지지만 고지도도 여기에서 예외적이지 않다.

현 충청남도 천안시는 원래 천안·목천·직산이라는 3개 군현이 모여서 이루어진 것이다. 이들 지역과 관련된 고지도를 지도책에 포함된 지도와 읍지에 포함된 지도, 그리고 단독 지도로 나누어 살펴보고자 한다.

[지도책에 포함된 지도]

1. 『동여비고(東輿備攷)』의 「충청도 조죽령 이북 제주군도(忠淸道鳥竹嶺以北諸州郡圖)」

『동여비고』는 1682년(숙종 8)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1998년에 경북 대학교 출판부에서 영인해 발간하였다. 『동여비고』에 도별 총도의 하나로써 실려 있는 것이 「충청도 조죽령 이북 제주군도」이다. 충청도의 모든 군현을 그려 놓았는데, 목천·천안·직산이 제 위치에 주요 산과 함께 그려져 있다.

2. 『해동지도(海東地圖)』의 「충청도 지도(忠淸道地圖)」

『해동지도』는 18세기에 제작된 것으로, 현재 서울 대학교 규장각에 소장[도서 번호: 古大4709-41]되어 있다. 전 8책으로 되어 있는데, 충청도는 제6책에 수록되어 있다. 1995년에 서울 대학교 규장각에서 영인본 상·하 2권을 발간하였다. 이 『해동지도』에 「충청도 지도」가 수록되어 있다. 오른쪽 상단에 ‘충청도(忠靑道)’라는 굵은 글씨가 세로로 적혀 있다. 충청도의 각 군현 이름을 둥근 원 안에 써서 해당위치에 표시해 놓았다. 천안 지역은 목천·천안·직산이 눈에 띠며, 성환[역]이 직산 아랫부분에 적혀 있다.

3. 『해동지도(海東地圖)』의 「천안군 지도(天安郡地圖)」

『해동지도』에 「천안군 지도」가 수록되어 있는데, 오른쪽 상단에 ‘천안군(天安郡)’이라는 굵은 글씨가 세로로 적혀 있다. 읍치의 주요 시설들을 산천과 함께 그려 놓았다. 아사, 객사, 수선정, 향교 등이 도로와 함께 그려져 있다. 태조봉(太祖峯)이 향교의 북서쪽에 적혀 있는데, 현재 천안시에서는 태조산이라 부르고 있다.

4. 『해동지도(海東地圖)』의 「직산현 지도(稷山縣地圖)」

『해동지도』에 「직산현 지도」가 수록되어 있는데, 오른쪽 상단에 ‘직산현(稷山縣)’이라는 굵은 글씨가 세로로 적혀 있다. 읍치의 주요 시설들을 산천과 함께 그려 놓았다. 객사, 아사, 향교 등이 도로와 함께 그려져 있다. 온조묘기(溫祖廟基)와 연못 3개가 그려져 있는 것이 특이하다. 온조묘기는 백제 시조 온조의 사당 터라는 것을 뜻한다.

5. 『해동지도(海東地圖)』의 「목천현 지도(木川縣地圖)」

『해동지도』에 「목천현 지도」가 수록되어 있는데 오른쪽 상단에 ‘목천현(木川縣)’이라는 굵은 글씨가 세로로 적혀 있다. 읍치의 주요 시설들을 산천과 함께 그려 놓았다. 흑성산(黑城山) 아래에 객사·아사·사마소 등이 위치해 있고, 흑성산의 동편에 향교가 그려져 있다.

6. 『대동여지도(大東輿地圖)』의 「천안·직산·목천 부근도(天安·稷山·木川 附近圖)」

1861년(철종 12)에 고산자(古山子) 김정호(金正浩)가 제작한 『대동여지도』 중에서 천안·직산·목천 3개 군현 부근 지도이기 때문에 편의상 「천안·직산·목천 부근도」라고 이름하였다. 직산 아래에 천안이 있고, 천안 옆에 목천이 그려져 있다. 3개 군현은 선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 선은 도로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10리마다 점을 찍어 거리를 표시하였다.

[읍지에 포함된 지도]

1. 『여지도서(輿地圖書)』의 「천안군 지도」

『여지도서』는 18세기에 간행된 전국 읍지인데, 각 군현의 첫머리에 해당 군현의 지도를 수록하였다. 「천안군 지도」는 오른쪽 상단에 ‘천안군 지도(天安郡地圖)’라는 굵은 글씨가 세로로 적혀 있다. 읍치의 주요 시설들을 산천과 함께 그려 놓았다. 객사, 관사, 수선정, 향교 등이 기와집 모양과 함께 표기되어 있다. 또한 관할 면(面)들도 표기되어 있다.

2. 『여지도서』의 「직산현 지도」

『여지도서』의 「직산현 지도」는 오른쪽 상단에 ‘직산현 지도(稷山縣地圖)’라는 굵은 글씨가 세로로 적혀 있다. 읍치의 주요 시설들을 산천과 함께 그려 놓았다. 아사, 객사, 영소정, 사창, 향교 등이 기와집 모양과 함께 표기되어 있다. 「천안군 지도」에 비해 기와집을 더 크고 선명하게 그려 놓은 점이 다르다. 직산현 관할 면(面)들도 표기되어 있다.

3. 『여지도서』의 「목천현 지도」

『여지도서』의 「목천현 지도」는 오른쪽 상단에 ‘목천현 지도(木川縣地圖)’라는 굵은 글씨가 세로로 적혀 있다. 읍치의 주요 시설들을 산천과 함께 그려 놓았다. 흑성산의 동편에 객사·동헌·청원정을 배치해 놓았고 객사 북쪽에 향교를 배치해 놓았다. 건물을 기와집 모양과 함께 그 명칭을 표기하였다. 「천안군 지도」에 비해 기와집을 더 크고 선명하게 그려 놓은 점이 다르다. 목천현 관할 면(面)들도 표기되어 있다.

4. 『충청도 읍지(忠淸道邑誌)』의 「천안군 지도」

『충청도 읍지』는 영조~헌종 연간에 편찬된 충청도 각 읍의 읍지인데, 여기에 『천안군지』가 수록되어 있다. 『천안군지』의 첫머리에 「천안군 지도」가 있다. 「천안군 지도」는 오른쪽 상단에 ‘천안군 지도(天安郡地圖)’라는 굵은 글씨가 세로로 적혀 있다. 군의 치소는 원안에 ‘군(郡)’이라는 글씨만 크게 표시되어 있을 뿐 치소의 시설들은 보이지 않는다. 산천의 모양과 함께 관할 면들의 이름이 보인다.

5. 『충청도 읍지』의 「직산현 지도」

『충청도 읍지』에 『직산현지』가 수록되어 있다. 『직산현지』의 첫머리에 「직산현지도」가 있다. 「직산현지도」는 상단에 ‘직산현 지도(稷山縣地圖)’라는 굵은 글씨가 가로로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적혀 있다. 읍치의 주요 시설들은 산천과 함께 그려 놓았다. 세로로 된 직사각형 안에 글씨 또한 세로로 썼는데, ‘읍치(邑治)’라고 적혀 있다. ‘읍치’라는 글씨 주변에 동헌, 객사, 현사, 작청, 향청, 향교 등이 기와집 모양과 함께 표기되어 있다. 직산현 관할 면(面)들도 표기되어 있다.

6. 『충청도읍지』의 「목천현 산천 강역 지 총도(木川縣山川疆域之總圖)」

『충청도 읍지』에 『목천현지』가 수록되어 있다. 『목천현지』의 첫머리에 「목천현 산천 강역지 총도」가 있다. 「목천현 산천 강역지 총도」는 상단 오른쪽에 지도의 명칭이 굵은 글씨로 세로로 적혀 있다. 산을 그려 놓고 그 아래에 산 이름을 적었다. 산 사이로 하천의 모습도 그려 놓았다. 흑성산 옆에 향교를 써 놓았으며, 향교 아래에 ‘읍치·객사·동헌·쌍청정’이라는 글씨를 써 놓았다.

7. 『호서읍지(湖西邑誌)』[1871]의 「천안군 지도」

『호서읍지』는 1871년(고종 8)에 편찬되었는데, 충청도 각 군현에서 작성한 읍지를 합하여 만든 충청도지이다. 현 천안시에 해당하는 3개 군현인 천안·직산·목천 지역이 수록되어 있다. 천안 지역은 『영성지(寧城誌)』라는 이름으로 실려 있다. 영성은 천안을 말한다. 이 『영성지』의 첫머리에 「천안군 지도」가 자리하고 있다. 지도의 오른쪽 상단에 ‘천안군 지도(天安郡地圖)’라는 굵은 글씨가 가로로 적혀 있다. 글씨의 방향은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써 놓았다. 치소는 간단히 원안에 ‘군(郡)’이라고 표기해 놓고, 산천의 모양과 함께 관할 면 이름을 표기해 놓았다.

한편, 『호서읍지(湖西邑誌)』[1871]의 『직산현지』에는 지도가 없다.

8. 『호서읍지』[1871]의 「목천현 산천 강역 지 총도」

『호서읍지』[1871] 속에 『목천현지(木川縣誌)』가 있다. 『목천현지』의 첫머리에 「목천현 산천 강역 지 총도」라는 목천현의 고지도가 자리 잡고 있다. 「목천현 산천 강역 지 총도」는 상단 오른쪽에 지도의 명칭이 굵은 글씨로 세로로 적혀 있다. 산을 그려 놓고 그 아래에 산 이름을 적었다. 산 사이로 하천의 모습도 그려 놓았다. 흑성산 옆에 향교를 써 놓았으며, 향교 아래에 ‘읍치·객사·동헌·쌍청정’이라는 글씨를 써놓았다.

9. 『호서읍지』[1895]의 「천안군 지도」

1871년(고종 8)에 충청도지인 『호서읍지』가 제작되고 24년이 지난 1895년(고종 32)에 다시 『호서읍지』가 편찬되었다. 현 천안시에 해당하는 3개 군현인 천안·직산·목천 지역이 수록되어 있다. 『천안군지』의 첫머리에 「천안군 지도」가 있다. 1895년 도판은 1871년 도판과 비슷한데, 군의 치소 옆에 향교를 표기한 것이 다르다.

10. 『호서읍지』[1895]의 「직산현 지도」

『호서읍지』[1895]의 『직산현지』 첫머리에 실려 있는 지도이다. 특이하게 지도의 이름이 없어서 편의상 「직산현 지도」라는 이름을 부여하였다. 산천이 그려져 있으며, 치소의 위치에 동헌·객사·군고·사직단·향교 등이 적혀 있다. 서쪽에 홍경비(弘慶碑)를 비 모양과 함께 적어 놓았다.

11. 『호서읍지』[1895]의 「목천현 산천 강역 지 총도」

『호서읍지』[1895]의 『목천현지』 첫머리에 「목천현 산천 강역 지 총도」가 실려 있다. 1895년 도판은 1871년 도판과 거의 같다. 1871년 도판을 보고 베낀 것으로 추정된다.

[단독 지도]

1. 『지방 지도(地方地圖)』[1872]의 「천안군 지도」

1872년(고종 9) 제작된 지방 지도에 포함된 개별 지도이다. 상단에 ‘천안군 지도(天安郡地圖)’라는 지도 이름이 굵고 큰 글씨로 가로 방향으로 적혀 있다. 글씨의 방향은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썼다. 그 어느 지도보다 상세하게 천안군의 모습이 치소를 중심으로 그려져 있다. 산천의 모습과 함께 도로망도 그려져 있다. 치소의 건물들이 각기 달리 그려져 있는 것으로 보아 실제 모습을 보고 그린 듯하다. 왕자산 아래에 객사, 화축관, 동락당, 내아 등을 그려 놓았다. 왕자산과 관청 사이에는 성불사와 향교 건물이 보인다. 서울 대학교 규장각에 소장되어 있다.

2. 『지방 지도』[1872]의 「직산현 지도」

1872년(고종 9)에 제작된 지방 지도에 포함된 개별 지도이다. 상단에 ‘직산현 지도(稷山縣地圖)’라는 지도 이름이 굵고 큰 글씨로 가로 방향으로 적혀 있다. 글씨의 방향은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썼다. 그 어느 지도보다 상세하게 직산현의 모습이 치소를 중심으로 그려져 있다. 산천의 모습과 함께 도로망도 그려져 있다. 치소에는 동헌, 내아, 군고, 향교 등이 보인다. 치소 북쪽에 홍경사비성환역이 있고 그 서편에는 봉수의 봉대가 그려져 있다. 동쪽에는 위례성성거산이 보인다. 서울 대학교 규장각에 소장되어 있다. 한편, 『지방 지도』에 목천현 지도는 누락되었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