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풍세면에 있는 자동차 부품 전문 연구 기관. 자동차 산업에 관련되고, 생산 기술에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창조·개발하고 이를 산업계에 제공, 보급하여 자동차 산업의 구조 고도화 및 국가 기술 경쟁력 제고에 이바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90년 9월 4일 상공 자원부로부터 한국자동차부품종합기술연구소 설립 허가를 얻어 1990년 9월 7일 서...
-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부대동 공주 대학교 천안 공과 대학에 있는 자동차 관련 산업 지원 기관. 자동차 의장 및 편의 부품 지역 혁신 센터는 지식 경제부 및 지방 자치 단체의 지원을 받고, 공주 대학교의 적극적인 의지 아래 총 30여 개의 충청남도 소재 중소 부품 업체와 21명의 교수가 참여하는 전방위적 지원 사업이다. 자동차 의장 및 편의 부품 지...
-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성환읍에 속하는 법정리. 성환읍사무소 북동쪽 3.5㎞ 지점에 위치하며 천안 연암 대학, 대홍 초등학교가 있다. 조선 시대에 직산현 이북면 지족향리와 수천리 지역이었으며,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으로 충청남도 천안군 성환면 수향리가 되었다. 1963년 1월 1일 천안읍과 환성면이 통합하여 천안시로 승격됨에 따라 천원군 입장면 수향리가...
-
조선 후기 천안 출신의 문신. 이중명(李重明)[1605~1672]의 본관은 아산(牙山), 자는 자문(子文), 호는 안곡(安谷)이다. 아버지는 이사금(李師金)이고, 어머니는 상주 김씨(尙州金氏)이다. 부인 김제 조씨(金堤趙氏)와의 사이에 1남 2녀, 춘천 박씨(春川朴氏)와의 사이에 1남 1녀를 두었다. 1605년(선조 38) 8월 9일 천안군 고좌리에서 태어났다. 이승벽(...
-
충청남도 천안시 성환읍 양령리에 있는 천연기념물 제427호로 지정된 향나무. 향나무는 우리나라 중부 이남과 울릉도에 분포하고 일본에도 있다. 수평적 분포는 대략 북위 39° 이남이나 식재한 것은 북위 40°에서도 자란다. 예로부터 묘지 주변에 심는 관습이 있다. 향나무는 상나무·노송나무로 부르기도 한다. 한자명은 향목(香木)·백진(柏稹)·향백송(香柏松) 등 여러 가지가...
-
충청남도 천안시 성환읍 양령리에 있는 천연기념물 제427호로 지정된 향나무. 향나무는 우리나라 중부 이남과 울릉도에 분포하고 일본에도 있다. 수평적 분포는 대략 북위 39° 이남이나 식재한 것은 북위 40°에서도 자란다. 예로부터 묘지 주변에 심는 관습이 있다. 향나무는 상나무·노송나무로 부르기도 한다. 한자명은 향목(香木)·백진(柏稹)·향백송(香柏松) 등 여러 가지가...
-
조선 후기 천안 출신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자는 군망(君望), 호는 시북(市北) 또는 자시자(自是子)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안여경(安汝敬), 할아버지는 덕흥 대원군의 사위이며 선조의 매부인 광양군(廣陽君) 안황(安滉), 외할아버지는 최철강(崔鐵剛)이다. 아버지는 사간원 정언을 지낸 안응원(安應元)이고, 한성부 좌윤을 지낸 안응형(安應亨)이 숙부이다. 조성립(趙誠立)의 딸과...
-
충청남도 천안시에 전해 내려오는 원한을 품은 구렁이의 이야기. 「원수 갚으러 아들로 태어난 구렁이」는 구렁이가 자신을 죽인 사람에게 복수하기 위해 그 사람의 아들로 태어났다는 전생 설화이다. 「원수 갚으러 아들로 태어난 구렁이」는 2010년 1월 25일 단국 대학교 교수 강영순과 구비 문학반 학생들이 유용현[74세, 여,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직산...
-
고려 후기 천안 군수를 역임한 문신. 자는 자야(子野)이고, 호는 매계(梅溪)이다. 부인 문씨(文氏)는 광주 갑향(光州甲鄕) 사람인데, 1388년(우왕 14) 왜구에게 붙들려가는 도중 몽불산(夢佛山) 극락암 근처에서 순결을 지키기 위해 절벽 밑으로 뛰어내렸다. 이에 왜구는 그의 큰아들을 죽이고, 부인은 나무덩굴에 걸려 오른팔이 부러진 채 구출되어 『고려사』에 열녀로 입전되어 있다....
-
충청남도 천안시에 있는 자연 발생적 마을. 우리나라 자연 마을의 입지는 대체로 산을 뒤로 등지고 앞으로 냇물과 들을 바라보는, 이른바 배산임수(背山臨水)의 입지가 대부분이다. 이러한 점은 천안시의 농촌 마을도 예외가 아니다. 자연 마을의 분포를 지형에 따라 분류하면, 크게 산지 입지, 하곡 입지, 해안 입지, 충적 평야 입지, 대지 입지, 선상지 입지 등으로 구분할 수...
-
충청남도 천안 지역에서 자연의 예기치 않은 변동에 의해 일어나는 피해. 우리나라 자연재해 대책법 제1장 제2조 1항에서는 “재해란 태풍, 홍수, 호우, 폭풍, 해일, 폭설, 가뭄 또는 지진[지진 해일 포함] 기타 이에 준하는 자연 현상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피해를 말한다.”라고 정의하고 있다. 따라서 자연재해란 충청남도 천안시 지역에서 발생한 자연 현상으로 인해 인간의 생...
-
충청남도 천안 지역에서 지형·지질·기후·자연재해 등의 자연환경을 지역적인 관점으로 서술한 것. 천안은 충청남도의 동북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동쪽은 충청북도 청원군·진천군, 서쪽은 충청남도 아산시, 남쪽은 충청남도 공주시·세종특별자치시, 북쪽은 경기도 평택시·안성시와 경계를 접하고 있다. 시가지를 중심으로 남북으로 경부선이 지나며, 남서로는 장항선이 뻗쳐 있고 서...
-
조선 전기 천안 출신의 문신. 이득전(李得全)은 천안의 이속(吏屬) 출신이다. 연산군 대에 문과에 급제하여 학문을 인정받았지만, 가문이 미미하다는 이유로 체직되어 역량을 발휘하지 못하였다. 본관은 천안(天安)이라고 하기도 하고, 『영성지』에는 경주(慶州)라고 되어 있다. 자는 자완(子完)이다. 아버지는 호장(戶長)를 지낸 이치문(李致文)이고, 부인은 장계수(長溪守) 이섬...
-
조선 시대 천안 지역에 우거한 문신. 본관은 성주이며 자는 자용(子用), 호는 남악(南嶽)이다. 부인은 전득중(全得中)의 딸인 천안 전씨(天安全氏)이다. 이협(李筴)[1583~1665]은 진사로 등과하여 영릉 참봉을 지냈다. 광해군 때 나라의 기강이 바로 서야 한다는 상소를 올렸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자 낙향하였다. 조정에서 여러 차례 부름을 받았으나 벼슬에 나가지 않고 절...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성황동에 위치한 상설 시장. 자유 시장은 천안시 승격으로 인한 인구의 증가와 시장의 부족, 시장 접근성 등의 문제로 인해 1969년 8월 인가를 받아 개설된 천안에서 가장 오래된 재래 시장이다. 천안역 바로 앞에 자리 잡고 있는 공설 시장의 북쪽 끝에 있는 시장이다. 천안읍이 1963년 천안시로 승격되면서 인구와 주택의 증가,...
-
조선 시대 천안 출신의 효자. 본관은 울산(蔚山), 자는 자윤(子尹), 호는 매계(梅溪)이다. 효자 이종주(李宗周)의 증손자이다. 이상익(李相益)[?~?]은 천성이 온화하여 어릴 때부터 부모를 지극한 효성으로 섬겼다. 병든 아버지가 생선이 먹고 싶다고 하자 이상익은 보(洑)로 물고기를 잡으러 나갔는데, 날마다 붕어와 검은 모래무지가 물 밖으로 뛰쳐나왔으므로 사람들이 이...
-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직산읍에 속하는 법정리. 직산읍사무소의 서쪽 약 2.5㎞ 지점에 위치하며, 배 과수원이 넓게 형성되어 있다. 조선 시대에 직산현(稷山縣) 일서면(一西面) 자은가리(自隱加里) 지역인데 가명(加明)이란 대신이 이곳에 와서 은거하였으므로 자은가(自隱加), 자은리(自隱里)가 변하여 자은가리, 잔가리가 되었다 한다. 조선 시대에 직산현 일서면 자...
-
충청남도 천안시에서 아기를 재우거나 어르면서 부르는 민요. 어린아이를 잠재울 목적으로 아기를 안거나, 업거나, 눕히거나, 또는 좌우로 가볍게 흔들거나 토닥이면서 불러 주는 노래이다. 어린아이가 직접 부르는 것은 아니지만 어린아이에게 들려주는 노래라는 의미에서는 전래 동요에 속하나, 아이를 재울 목적으로 부른다는 차원에서는 기능요라고 할 수 있다. 1987년에 김분이[채록...
-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백석동에 있는 사단법인 자전거 21 산하의 천안시 지부. 자전거 21 천안시 지부는 건강 증진, 교통 문제 해소, 환경 보존, 에너지 절약 문제를 자전거로 해결해 보고자 설립되었다. 1997년 10월 18일에 범국민 자전거 생활 진흥회 충남 지부가 창립되었고 동시에 천안시 지부도 설립되었다. 1998년 2월 3일 오룡 경기장 내로 사무실...
-
충청남도 천안시에 개설된 자전거가 다닐 수 있도록 만든 도로. 천안시에 개설된 자전거 도로 구간은 총 62개이며, 연장은 11만 3564m이다. 천안시에서 처음 개설된 저전거 도로는 천안로 사거리~TG[망향로] 구간인데, 이 자전거도로가 개설된 해는 1991년이었다. 당시 천안로 사거리~TG 구간은 연장 590m 폭 5.0m, 차로 수 8개였고, 포장 재료는...
-
충청남도 천안시에 묘소가 있는 조선 전기의 문신. 한명회(韓明澮)[1415~1487]는 계유정난(癸酉靖難) 때 수양 대군(首陽大君)을 보좌하여 왕위에 오르는 데 공을 세웠으며, 사육신의 단종 복위 운동을 좌절시켰다. 세조의 즉위에 공을 세워 공신으로 책봉된 이후 성종 조까지 정국 운영의 주도권을 행사하였던 조선 전기의 대표적인 훈구 대신이다. 본관은 청주, 자...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수신면 장산리와 병천면 송정리 경계에 있는 산. 백운산은 높이 247m이고 천안시의 동쪽에 위치한다. 매봉[167m]과 연속적인 산지를 이루고 있으며, 백운산 북쪽의 북서~남동 방향으로 발달한 곡저[병천면 용두리 일대]에 녹동천이 흐르고 있다. 매봉 동쪽 약 1.6㎞ 지점 병천면 송정리에서 녹동천과 병천천이 합류하고, 남서쪽으로 약 1....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북면 매송리와 병천면 매성리·병천리의 경계에 있는 산. 작성산(鵲城山)은 높이 약 489m로 천안 시가지를 기준으로 동쪽에 위치한다. 까치성이라고도 하며, 산체는 높지는 않으나 산세가 험하고 숲이 울창하여 경관이 매우 아름다운 산이다. 작성산은 북쪽으로 봉암산[427m], 개죽산으로 연결되며, 남쪽으로 고찰 은석사와 조선 영조...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병천면 매성리에 있는 산성. 천안시 병천읍사무소에서 시도 6번 도로를 타고 북쪽 방향으로 가다가 약 3㎞ 가면 천안시 동남구 병천면 매성리 작성 마을이 나온다. 작성산성(鵲城山城)은 작성산의 정상부에 위치한다. 작성산성은 표고 400m의 작성산 상단부를 둘러쌓는 테뫼식 산성으로 지형을 최대한 활용하고 있다. 성을 축조한 형식은...
-
충청남도 천안시 중앙 도서관 산하의 작은 도서관. 천안시는 1990년 4월 10일에 천안 시립 중앙 도서관으로 개칭하여 개관한 이후 1998년 5월 20일에 천안시 중앙 도서관 성거 분관을 개관하였다. 그후 아우내 도서관, 도솔 도서관 등의 시립 도서관이 추가로 개관되었으나 천안의 시민들이 모두 이용하기에는 부족한 실정이었다. 이에 천안시에서는 시립 도서관의...
-
충청남도 천안시에서 매년 12월 22일 또는 23일 무렵에 행하는 세시 풍속. 민간에서는 동지를 흔히 작은설이라고 부른다. 그러한 관념 때문인지 동지 때 동지 팥죽을 먹으면 나이를 한 살 더 먹는다고 여긴다. 동지는 1년 중 밤의 길이가 가장 긴 날이고, 이날이 지나면 낮의 길이가 조금씩 길어진다. 동지 후에 낮의 길이가 길어지는 것에 대한 표현으로 천안시 동남구 병천면...
-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직산읍에 속하는 법정리. 직산읍사무소의 서쪽 약 2.5㎞ 지점에 위치하며, 배 과수원이 넓게 형성되어 있다. 조선 시대에 직산현(稷山縣) 일서면(一西面) 자은가리(自隱加里) 지역인데 가명(加明)이란 대신이 이곳에 와서 은거하였으므로 자은가(自隱加), 자은리(自隱里)가 변하여 자은가리, 잔가리가 되었다 한다. 조선 시대에 직산현 일서면 자...
-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직산읍에 속하는 법정리. 현재 직산읍사무소가 소재한다. 국도 1호선이 삼은리 서쪽 지역을 남북으로 가로질러 지나고, 봉주로가 동서축으로 지난다. 경부선 전철 직산역이 인접해 있으며, 삼은 초등학교가 있다. 조선 시대에 직산현 서변면(西邊面) 삼거리(三巨里)와 자은방리(自隱防里) 지역으로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으로 삼거리의 ‘삼(三)’ 자와 자...
-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성환읍에 속하는 법정리. 성환읍사무소 북동쪽 3.5㎞ 지점에 위치하며 천안 연암 대학, 대홍 초등학교가 있다. 조선 시대에 직산현 이북면 지족향리와 수천리 지역이었으며,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으로 충청남도 천안군 성환면 수향리가 되었다. 1963년 1월 1일 천안읍과 환성면이 통합하여 천안시로 승격됨에 따라 천원군 입장면 수향리가...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수신면 속창리와 장산리를 연결하는 고개. 천안에서 장고개라는 이름을 가진 곳은 모두 13곳이 있다. 대개 장을 보기 위해 넘어가는 고개를 모두 장고개라고 한다. 용곡동에서 천안장을 보기 위해 넘어가는 낮은 고개가 바로 동남구 수신면 속창리와 장산리를 연결하는 장고개이다. 천안 지역에 여러 개의 장이 섰는데 그 장을 가기 위해...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동면 덕성리와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을 연결하는 고개. 1464년(세조 10) 진천에서 충청도 군사 수만을 모아 큰 훈련을 하였는데 이때 각 고을의 장교들이 군사를 거느리고 이 고개에서 쉬어갔기 때문에 장교현(長橋峴)이라고 하였다고 한다. 다른 이름으로는 장교 고개, 장교 다리 고개, 장교치(將校峙)가 있다. 해발 고도는 약 220m이며 좌표는 북...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동면 덕성리와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을 연결하는 고개. 1464년(세조 10) 진천에서 충청도 군사 수만을 모아 큰 훈련을 하였는데 이때 각 고을의 장교들이 군사를 거느리고 이 고개에서 쉬어갔기 때문에 장교현(長橋峴)이라고 하였다고 한다. 다른 이름으로는 장교 고개, 장교 다리 고개, 장교치(將校峙)가 있다. 해발 고도는 약 220m이며 좌표는 북...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동면 덕성리와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을 연결하는 고개. 1464년(세조 10) 진천에서 충청도 군사 수만을 모아 큰 훈련을 하였는데 이때 각 고을의 장교들이 군사를 거느리고 이 고개에서 쉬어갔기 때문에 장교현(長橋峴)이라고 하였다고 한다. 다른 이름으로는 장교 고개, 장교 다리 고개, 장교치(將校峙)가 있다. 해발 고도는 약 220m이며 좌표는 북...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동면 덕성리와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을 연결하는 고개. 1464년(세조 10) 진천에서 충청도 군사 수만을 모아 큰 훈련을 하였는데 이때 각 고을의 장교들이 군사를 거느리고 이 고개에서 쉬어갔기 때문에 장교현(長橋峴)이라고 하였다고 한다. 다른 이름으로는 장교 고개, 장교 다리 고개, 장교치(將校峙)가 있다. 해발 고도는 약 220m이며 좌표는 북...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광덕면 광덕리 안산 마을에 있는 바위. 장군 바위가 부근에 있는 안산 마을은 광덕리의 북부에 있다. 안산 마을은 광덕리 서쪽 경계부에 있는 광덕산(廣德山)[699.3m]과 광덕리 위쪽 보산원리의 북쪽 경계부에 있는 망경산(望京山)[600.1m] 사이에 있어, 해발 고도 300여m의 비교적 높은 곳에 입지해 있는 고산(高山) 마을이다....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광덕면 광덕리 안산 마을에 있는 바위. 장군 바위가 부근에 있는 안산 마을은 광덕리의 북부에 있다. 안산 마을은 광덕리 서쪽 경계부에 있는 광덕산(廣德山)[699.3m]과 광덕리 위쪽 보산원리의 북쪽 경계부에 있는 망경산(望京山)[600.1m] 사이에 있어, 해발 고도 300여m의 비교적 높은 곳에 입지해 있는 고산(高山) 마을이다....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병천면 매성리에서 전해 오는 똑똑한 며느리 이야기. 「장기 잘 두는 며느리」는 내기 장기로 가산을 탕진한 시아버지에게 장기를 가르쳐서 성공하게 한 며느리의 지략담이다. 「장기 잘 두는 며느리」는 상명 대학교 구비 문학 연구회에서 1991년 1월 9일 박동렬[74세, 남,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병천면 매성리]에게 채록하여, 1...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광덕면 매당리에 전해 내려오는 이시백의 지략담.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광덕면 매당리 자무실[紫梅谷]에는 인조반정(仁祖反正) 당시 아버지인 이귀(李貴)[1557~1633]와 함께 가담하여 정사공신(靖社功臣)으로 책록이 된 이시백(李時白)[1581~1660]의 신도비(神道碑)가 있다. 자무실은 이시백의 출생지이기도 하다. 「장기에 숨겨진...
-
충청남도 천안시에서 전해 내려오는 효부 이야기. 「시어머니 눈뜨게 한 효부」는 눈먼 시어머니를 지렁이로 봉양하고 결국은 개안하게 한 며느리 이야기로, 개안 설화, 효부담에 속한다. 「시어머니 눈뜨게 한 효부」는 천안시에서 다섯 편이 채록되었다. 단국 대학교 교수 강영순이 2010년 2월 3일 채록하여 성환 문화원에서 2010년 2월에 발간한 『천안의...
-
충청남도 천안시에서 전해 내려오는 효부 이야기. 「시어머니 눈뜨게 한 효부」는 눈먼 시어머니를 지렁이로 봉양하고 결국은 개안하게 한 며느리 이야기로, 개안 설화, 효부담에 속한다. 「시어머니 눈뜨게 한 효부」는 천안시에서 다섯 편이 채록되었다. 단국 대학교 교수 강영순이 2010년 2월 3일 채록하여 성환 문화원에서 2010년 2월에 발간한 『천안의...
-
일제 강점기 충청남도 천안 출신의 독립운동가. 장두환(張斗煥)[1894~1963]은 1917년 대한 광복회(大韓光復會)에 가입하여 군자금 모집에 진력하였다. 1918년 1월 24일 임봉주(林鳳柱)와 김경태(金敬泰)를 파견하여 충청남도 아산군 도고면장(道高面長) 박용하(朴容夏)를 살해하였으며, 그 후 체포되어 징역 7년형을 선고받고 복역 중 옥사하였다. 장두환은...
-
조선 후기 천안 출신의 무신. 황박(黃珀)[1573~1637년]은 임진왜란 때 공을 세우고 병자호란에 종군하여 전사한 무장이다. 본관은 성주(星州), 자는 백옥(伯玉), 시호는 장렬(壯烈)이다. 아버지는 장흥 부사를 지낸 충장공(忠壯公) 황세득(黃世得)이며, 어머니는 방인(方寅)의 딸 상주 방씨(尙州方氏)이다. 1592년(선조 25)에 무과에 급제하여 선전관이 되었다....
-
조선 후기 천안 군수를 역임한 문신. 윤행교[1661~1725]는 1694년(숙종 20) 별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한 뒤 천안 군수를 역임하였다. 본관은 파평(坡平), 자는 장문(長文)이다. 대사간을 지낸 윤황(尹煌)의 증손자로, 할아버지는 윤선거(尹宣擧)이다. 아버지는 우의정을 지낸 윤증(尹拯)이며, 어머니는 한성부 우윤을 지낸 권시(權諰)의 딸 안동 권씨(安東權氏)이다...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수신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 때 장명리의 ‘장’ 자와 남산리의 ‘산’ 자를 장산리(長山里)라 부른 데서 붙여진 이름이다. 조선 시대에 청주목 수신면 지역으로, 1906년 지방 행정 구역 편제 때 목천군 수신면이 되었다.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 때 장명리, 남산리, 상리의 일부, 사창리의 일부를 병합하여 장산리를 개설하...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수신면 장산리에 있는 원삼국 시대의 주거지. 장산리 주거지 유적(長山里 住居址 遺蹟)은 천안 상록 휴양소 건립 과정에서 확인되었다. 원삼국 시대 주거지 8기, 관개 수로, 삼국 시대 말기의 돌덧널무덤[석곽묘] 2기와 고려 시대 이후의 움무덤[토광묘] 13기가 확인되었다.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수신면 장산리 산55-1번지 일대...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수신면 장산리에 전해 내려오는 옛 고을의 폐읍에 대한 유래담.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수신면 장산리(長山里)는 장명리(長命里)와 남산리(南山里)가 통합된 지명이다. 장산리에서 가장 큰 자연 마을인 장명 마을은 예전의 간성읍으로 원님이 있었다고 한다. 「장산리 장명 부락」은 원님이 딸을 강간하려는 패륜을 저지르려다 결국 딸을 스스로 목매게...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수신면 장산리 장명 마을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고자 지내는 마을 의례. 장산리 장명 마을에서는 음력 시월 무렵에 길일을 정해서 마을의 산 중턱에 올라가서 산신제를 지낸다. 그리고 음력 정월 열나흗날 밤에는 마을 어귀의 세 군데에서 각각 거리제를 지낸다. 산신제를 올리는 제의 장소는 마을 뒷산 중턱인데 별도의 제당(祭堂)이 마련되어 있지...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수신면 장산리에 있는 원삼국 시대의 주거지. 장산리 주거지 유적(長山里 住居址 遺蹟)은 천안 상록 휴양소 건립 과정에서 확인되었다. 원삼국 시대 주거지 8기, 관개 수로, 삼국 시대 말기의 돌덧널무덤[석곽묘] 2기와 고려 시대 이후의 움무덤[토광묘] 13기가 확인되었다.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수신면 장산리 산55-1번지 일대...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동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 때 상장리, 하장리, 신대리, 산북리, 송정리와 이원동면의 철계리 일부를 병합하여 장보의 ‘장’ 자와 송정의 ‘송’ 자를 따서 장송리(長松里)라 하였다. 조선 시대에 목천군 일원동면 지역이었다. 1914년 행정 구역을 통폐합할 때 장송리를 개설하여 충청남도 천안군 동면에 편입하였다. 1963년 1...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북면 양곡리에 전해지는 장승백이 마을에 대한 이야기. 일반적으로 ‘장승백이’라는 마을 지명은 장승이 서 있던 데에서 유래하는 경우가 많다. 「장승백이 폐촌 된 사연」은 천안시 동남구 북면 양곡리에 전해 내려오는 장승백이 마을에 관한 이야기이다. 기와집이 100여 채나 있을 정도로 큰 마을이 구렁이로 인해 폐촌이 된 사연을 담고 있다. 천...
-
조선시대부터 활성화된 시장으로, 천안시 지역에서 열리는 5일장. 장시는 조선 시대 이후 형성되었던 시장을 뜻한다. 조선 초기에는 상업을 억제하는 정책 때문에 정기적인 장시가 형성되기 어려웠지만, 향시(鄕市) 형태의 시장은 존재했었을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15세기경 농업 기술이 향상되자 잉여 농산물을 팔기 위해 한양 주변에 장이 열리기 시작하면서 점차 지방에까지 확산되어 순조 대에...
-
충청남도 천안시에 있는 재가 장애인들에게 재활 장비와 재활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회 복지 시설. 장애인 복지법 제58조 제1항 제2호의 규정에 의한 장애인 지역 사회 재활 시설이다. 중증 장애, 맞벌이 및 기타 가정의 사정으로 인해 가정 보호에 어려움이 있는 장애인을 낮 시간 동안 안전하게 보호함으로써 장애인 가족과 보호자의 양육 부담을 줄여 이들이 원만한 사회 활동과 경...
-
일제 강점기 천안에서 활동한 의병·독립운동가. 장원겸(張元謙)[1866~?]은 경기도 시흥 출신으로, 1907년 박홍석(朴弘錫) 등과 함께 길찬범 의진에 가담하여 직산과 서울에서 활동하였다. 1907년 음력 8월 14일경 길찬범(吉贊範) 의병진에 가담하여 일본 순사에게서 총기를 탈취하는 등의 활동을 하다가 체포되어 징역 7년형을 선고받았다. 대한민국 정부는 장...
-
조선 시대 천안 출신의 무신·의병. 장익[1549~1592]은 두지동(斗支洞) 출신으로, 무과에 급제하여 수문장으로 봉직하다가 사직하고 돌아오는 길에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의병에 참여했다. 1592년 10월 죽산과 진천 사이 전투에서 무수히 많은 적을 죽이고 전사하였다. 장익[1549~1592]은 두지동(斗支洞) 출신으로, 1583년 무과에 급제하였다. 수문장에...
-
충청남도 천안 지역에서 나무꾼들이 편을 나누어 공을 치며 놀던 전래 놀이. 공치기는 마을에 따라서는 장치기라고도 부른다. 공치기는 두 패로 편을 갈라 각자 작대기를 가지고 나무로 깎은 공을 상대편의 진영으로 쳐내어 승부를 겨루는 놀이이다. 필드하키와 흡사한 놀이로 예전에 산으로 땔나무를 하러 가거나 소꼴을 베러 다닐 때 널리 성행했던 놀이이다. 공치...
-
충청남도 천안시의 장터에서 각설이나 서민들이 부르는 민요. 「장타령」은 각 지방을 떠도는 각설이들이 주로 불러서 「각설이 타령」이라고도 한다. 그러나 엄밀한 의미에서 「각설이 타령」은 각설이들의 신세타령이고, 「장타령」은 서민들이 장의 이름과 지명을 엮어 불러 기억하기 쉽도록 만든 노래라고 할 수 있다. 1987년 천안 문화원에서 발간한 『천안의 옛 노래』에...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대흥동 천안역에서 동남구 쌍용동까지 연결되는 철도 노선. 장항선은 천안에서 온양을 거쳐 장항, 전라북도 군산, 익산까지 충청남도와 전라북도의 평야 지대를 남북으로 가로지르면서, 예산·홍성·광천·대천 등 이 지방의 주요한 도시들을 거의 지나고 있어 충청남도 남서부 지역의 매우 중요한 교통축이 되고 있다. 장항선은 조선 경남 철도...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풍세면 출신의 임진왜란 당시 의병장.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운장(雲長)이다. 태조 때의 개국일등공신(開國一等功臣) 화산부원군(花山府院君) 장사길(張思吉)의 후손이다. 고조할아버지는 갑산 군수 장진충(張進忠)이며, 증조 할아버지는 대호군(大護軍) 장득기(張得紀)이고, 할아버지는 내금위장(內禁衛將) 장훈(張訓)이다. 아버지는 부호군(副護軍) 장순...
-
충청남도 천안 지역에 있는 산등성이 봉우리 사이의 낮은 부분. 고개는 산등성이와 봉우리 사이가 낮은 지형 형태이기 때문에 주로 지역의 경계 역할을 한다. 따라서 대부분의 고개는 리(理)와 리(理), 동(洞)과 동(洞), 크게는 도(道)와 도(道)의 경계에 위치한다. 또한 고개는 지역을 구분하는 산을 넘는 교통의 요지로 활용되어 지역 간 사람과 물자, 정보의 이동 통로로서...
-
충청남도 천안시에서 그리스도의 재림과 안식일 엄수를 주장하는 그리스도 교파. 미국에서 창립된 기독교 근본주의 성격의 개신교 교파이다. 제 7일 안식일 예수 재림교라는 명칭은 1860년에 정해졌으며, 교단 조직은 1863년에 공식 출범하였다. 1904년 5월 이응현이 동료 손흥조와 함께 일본 고베 제 7일 안식일 예수 재림교 전도사였던 쿠니야 히데[國谷秀]로부터...
-
조선 전기 천안 출신의 효자. 본관은 하음(河陰)이다. 고조할아버지는 봉공윤(奉公胤), 증조할아버지는 봉군필(奉君弼), 할아버지는 봉천우(奉天祐)이다. 아버지는 판도판서(版圖判書)를 지낸 봉문(奉文)이며, 어머니는 덕양군(德陽君) 기원(奇轅)의 딸 행주 기씨(幸州奇氏)이다. 봉유지(奉由智)[?~?]는 둘째 형인 봉유례(奉由禮)가 고려 공민왕 때 태어나 태종 때 이조 판서...
-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성거읍에 속하는 법정리. 성거산(聖居山) 아래 성거읍사무소가 소재하며, 모시울이라고 부른다. 저(苧)라는 풀은 모시옷의 재료이며, 섬유질을 뽑아 짠 옷감이다. 모시+울[마을, 골, 울타리]은 ‘모시(苧)가 많은 마을’, ‘모시[苧]처럼 생긴 마을’의 뜻으로 풀이한다. 전설에 고려 시대 천흥사(天興寺)가 큰 절이라 찾아오는 사람들이 많아...
-
충청남도 천안시에 있는 인공 저수 시설. 천안시에 축조되어 있는 농업 기반 시설은 2012년 현재 20개의 저수지와 54개의 소류지로 구성되어 있다. 천안시에 분포하는 20개 저수지들의 수혜 면적은 2012년 현재 기준으로 23.55㎢이고, 유역 면적은 82.81㎢, 총 저수량은 1149만 3000톤, 유효 저수량은 1035만 9000톤이다. 천안시...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북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 대 통폐합 대상인 전곡리(典谷里)의 이름을 그대로 썼다. 조선 시대에는 목천군 북면 지역이었는데,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 때 전곡리 단일리를 그대로 존속시켜 충청남도 천안군 북면에 편입시켰다. 1963년에 충청남도 천원군 북면 전곡리로, 1991년에 충청남도 천안군 북면 전곡리로, 1995년...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북면 전곡리 일대를 흐르는 하천. 소하천 전곡천(典谷川)은 금강 수계의 본류인 금강의 제1 지류 미호천의 제2 지류인 병천천으로 유입하는 지류 하천으로서 유역 면적은 7,398㎡, 길이는 900m이다. 시점은 전곡리 160번지이고, 종점은 전곡리 61-1번지이다. 전곡리를 흐르는 하천이어서 전곡천이라 불렀다. 전곡천은 전곡리의...
-
세계에서 유명한 대학 도시로는 프랑스의 파리, 영국의 런던, 미국의 보스턴, 오스트리아의 멜버른, 오스트리아의 빈 등이 있다. 우리나라에서 하나의 법정동에 가장 많은 대학이 자리한 곳은 충청남도 천안시의 안서동이다. 안서동에는 백석 대학교, 백석 문화 대학교, 상명 대학교, 호서 대학교가 있고, 인근 신부동에는 단국 대학교가 자리하고 있다. 이처럼 예로부터 삼남 지방에서 서울로 가...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원성동에 있는 교원 단체. 교육의 자주성, 전문성, 민주화 실현 및 민주 교육 발전에 기여하며 교육 노동자로서 기본 권익을 옹호하고 민족·민주·인간화 교육을 실천하기 위한 참교육 운동을 실현하기 위하여 설립했다. 1980년대 후반 사회 각 부문의 민주화 분위기와 더불어 교육 민주화를 실현하기 위한 충남 교사 협의회가 1987년 9월 창립되었다. 1...
-
전국 농민회 총연맹 소속의 지역 단체로 천안시 서북구 쌍용동에 있는 농민 운동 단체. 전국 농민회 총연맹 천안 농민회는 ‘농민과 함께! 국민과 함께’라는 구호로 농업을 지켜내고 식량 주권을 실현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WTO와 FTA 등 식량 주권을 위협하는 자유 무역을 반대하며 대북 쌀 지원 등을 통한 통일 농업 실현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1991년에 천안군...
-
충청남도 천안시에서 가정과 지역 사회 발전을 위해 봉사 활동을 펼치고 있는 여성 단체이자 소비자 단체. 지역 사회의 발전과 여성들의 능력 및 잠재력 개발과 사회성 개발로 사회활동에 많은 여성들의 자발적 참여를 유도하고 있다. 특히 교육, 세미나, 토론회, 캠페인, 실태조사, 가격비교조사를 비롯해서 소비자피해구제를 위한 상담활동을 통해 올바르고 신속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주...
-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직산읍에 속하는 법정리. 직산읍사무소의 동북쪽 약 4.5㎞ 지점에 위치한다. 국도 34호선이 중앙부를 남북으로 지난다. 동쪽으로 경부 고속 도로가 지나고 북 천안 인터체인지가 판정리에 인근한 남쪽에 있다. 백제 건국 시조 온조의 사당[온조 묘(溫祚廟)] 옛 터가 산직촌(山直村)에 남아 있다. 조선 시대에 직산현 동변면 산직리, 판정리(板...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수신면 백자리에서 천안시 병천면 병천리를 거쳐 세종특별자치시 전동면을 연결하는 지방도. 지방도 693호선은 전동~병천선으로도 불리는데, 이는 기점과 종점의 행정 구역 명칭을 반영한 것이다. 지방도 693호선의 천안시 구간은 천안시 수신면 백자리에서 천안시 병천면 병천리로 총연장 8.8㎞이며, 왕복 2차선이다. 지방도...
-
조선 후기 천안 출신의 학자. 본관은 천안(天安), 자는 치등(穉謄)이고, 호는 검와(儉窩)이다. 고려 말 청백리로 알려진 백헌(栢軒) 전신(全信)의 후예이다. 전사성(全泗性)은 일찍부터 학문에 뜻을 두고 오촌 선생(鰲村先生)에게 학문을 배웠다. 항상 바른 자세로 글을 읽었으며, 늙어서도 『주역(周易)』을 열심히 공부하여 고을 사람들이 칭송하였다고 전한다. 1934년 고...
-
삼국 시대 백제 개국공신으로 정선 전씨, 천안 전씨를 비롯한 우리나라 전씨의 도시조(都始祖). 전섭(全攝)은 기원전 18년경에 활동했던 인물로, 온조왕이 백제를 건국할 때 그를 보좌하였던 10명의 개국공신 가운데 한 명으로 전한다. 이후 전섭은 환성군(歡城君)에 봉해져 천안시 풍세면 지역에 거주하였다고 하며, 천안 전씨를 비롯한 우리나라 전씨의 도시조(都始祖)가 되었다....
-
조선 시대 천안 출신의 효자. 본관은 천안(天安)이다. 전시오(全時五)[?~?]는 아버지가 죽자 몸가짐을 바르게 하여 검소하게 살며 죽을 때까지 술을 마시지 않았다. 그리고 아들이 명주옷을 장만하여 입기를 권하였으나 이를 사양하고 몸에 걸치지 않았다. 임종할 때 자손들에게 “화목에 힘써 효성을 이루고 진실로 항상 조심하며 이를 외우라.”라고 하였다. 이 때문에 자손들이...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성남면 대정리에 전해 내려오는 약샘의 유래담. 천안시 동남구 성남면 대정리의 위말미 초정 마을 동남쪽 말티 고개 넘어가는 길 가에 있는 논에 초정(椒井)이라는 약샘이 있다. 우물의 맛이 후추[호초(胡椒)]와 같은 맛을 낸다고 하여 초정이라 하였다. 「대정리 초정」은 약샘의 유래담이자 그 약물로 임금의 안질이 낫게 되었다는 질병 치유담이다...
-
충청남도 천안시 입장면 용정리에 있는 현대의 정려. 용정리는 본래 전주 최씨(全州崔氏) 최유경[평도공] 후손의 세거지로 여러 정려가 설치된 곳이다. 산업화로 인근에 있던 정려들을 한곳에 모아 중수하였다. 전주 최씨 12위 정려(全州 崔氏 十二位旌閭)는 효자 10위, 열녀 2위로 총 12위를 모신 정려이다. 전주 최씨 12위 정려는 충청남도 천안시 입...
-
충청남도 천안시에 있는 수도권 전철 1호선 구간의 지상 철도. 경부선과 장항선이 천안시의 서부를 지나며, 2005년 1월 20일부터 경부선, 2008년 12월 15일부터 장항선에 수도권 전철 1호선이 들어왔다. 천안시에는 두정역, 성환역, 봉명역, 쌍용역, 직산역, 천안역 등 총 6개의 전철역이 있다. 천안시에는 경부선과 장항선, 2개의...
-
일제 강점기 천안 출신의 독립운동가. 전치관(全致寬)[1871~1919]은 1871년 9월 10일 충청남도 천안군 갈전면[지금의 병천면(竝川面)] 도원리 254번지에서 출생하였다. 그 외 가계나 학력 등은 자료가 없어 알 수 없다. 아우내 장터 만세 운동에 참여하였다. 아우내 장터의 독립 만세 운동은 4월 1일 아우내 장터의 장날을 기하여 거사하였다. 주모자들...
-
조선 후기 천안 지역에서 활동한 문인·학자. 본관은 천안(天安), 자는 백헌(柏軒), 호는 성존재(成存齋)이다. 고려 말 청백리로 알려진 백헌(栢軒) 전신(全信)의 후손이며, 아버지는 전도원(全道源)이다. 아들 전재유(全在裕)는 혜민서 참봉(惠民署參奉)을 지냈고, 손자 전창국(全昌國)은 1822년 식년시(式年試) 율과에 3위로 등과하였다. 전치성(全致性)은 평소 효성이...
-
충청남도 천안시에서 1년을 스물넷으로 나눈 각 시기에 행하는 풍습. 1년을 12절기와 12중기로 나누고 이를 보통 24절기라고 하는데, 절기는 한 달 중 월초(月初)에 해당하며, 중기(中氣)는 월중(月中)에 해당한다. 태양력에 따르면 절기는 매월 4~8일 사이, 중기는 19~23일 사이에 온다. 24절기로는 입춘(立春)·우수(雨水)·경칩(驚蟄)·춘분(春分)·청명(淸明)·...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광덕면에 전해지는 점쟁이의 글귀로 목숨을 연명한 소년의 이야기. 「점쟁이의 글귀로 죽음을 면하고 연명한 소년」은 정승이 아들이 단명한다는 말에 점쟁이가 준 열매 주머니를 들려 집을 내보냈는데, 훗날 열매에 쓰인 글귀 때문에 아들이 목숨을 연명한다는 이야기이다. 「점쟁이의 글귀로 죽음을 면하고 연명한 소년」은 천원군지 편찬 위원...
-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성환읍에 속하는 법정리. 성환읍사무소 북동쪽 3.5㎞ 지점에 위치하며 천안 연암 대학, 대홍 초등학교가 있다. 조선 시대에 직산현 이북면 지족향리와 수천리 지역이었으며,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으로 충청남도 천안군 성환면 수향리가 되었다. 1963년 1월 1일 천안읍과 환성면이 통합하여 천안시로 승격됨에 따라 천원군 입장면 수향리가...
-
조선 시대 천안 출신의 효자. 본관은 온양(溫陽).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정광원(鄭光元)의 손자이며, 정태항(鄭泰恒)의 증손자이다. 정간시(鄭簡始)[?~?]는 효성이 지극하여 부모가 병들었을 때 약탕기 옆을 떠나는 일이 없었다. 추운 겨울에 굼벵이와 뱀 같은 것으로 양약(良藥)을 만들어 부모의 병을 치료하였고, 여름에는 정자에 모시고 부채질을 하여 사람들이 모두 효...
-
조선 후기 천안 출신의 효자. 아버지는 정일남(鄭日南)이다. 정계인(鄭戒仁)은 지금의 천안시 용곡동의 두텃골 출신으로 조선 숙종 때 사람이라 전한다. 평소에도 효행이 지극했다 하며 동리에서도 정계인의 선행에 칭찬이 자자했다. 정계인은 어려서부터 부모를 지극한 효성으로 섬겼는데, 1682년 4월 24일 밤에 불한당들이 몰려와 가재를 약탈하고 칼을 뽑아 아버지 정...
-
조선 시대 천안 지역에서 활동한 문신. 정구(鄭逑)[1543~1620]은 문인인 황종해(黃宗海)를 통해 탁영(濯纓) 김일손(金馹孫)을 모신 목천의 도동 서원 건립에도 관여한 것으로 확인된다.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도가(道可), 호는 한강(寒岡)이다. 할아버지는 사헌부 감찰을 지낸 정응상(鄭應祥), 아버지는 충좌위(忠佐衛) 부사맹(副司孟)을 지낸 정사중(鄭思中)이며,...
-
일제 강점기 충청남도 천안 출신의 독립운동가. 정인석(鄭寅錫)[1872~1953]은 충청남도 천안군 북면 해송리 572가 본적지로 되어 있으나 가계와 학력 등 그 외 사실은 알 수 없다. 1920년 주비단(籌備團)을 조직하고 단장으로 취임하여 활동을 하였다. 그리고 1920년 11월 대한군정서(大韓軍政署) 대표로 상해에 파견되었다. 정국진(鄭國鎭)이라는 이름을 쓰기도 하...
-
조선 시대 천안 출신의 문신. 박자응(朴自凝)[1589~1645]은 광해군 재위 시 조정의 요직을 두루 역임하였으나, 인조반정 후에 제주도에 유배되었다가 진도로 이배되었다. 본관은 밀양(密陽), 자는 정길(正吉), 호는 읍백당(挹白堂)이다. 영의정 박승종(朴承宗)의 아들이며, 어머니는 김사원(金士元)의 딸 안동 김씨(安東金氏)이다. 1609년(광해군 1) 사마시에 합격하...
-
조선 후기 천안 군수를 역임한 문신. 정동만(鄭東萬)[1772~1841]은 천안 군수를 역임한 뒤 남원 도호부사로 승진하였으나 부임하지 않았고, 사복시첨정을 거쳐 광주 판관을 지냈다. 본관은 동래(東萊), 자는 일원(一元), 아버지는 정언복(鄭彦復)이며, 목사를 지낸 정화순(鄭華淳)에게 입양되었다. 처는 군수를 지낸 박삼원(朴參源)의 딸이다. 1807년(순조 7) 생원시...
-
조선 후기 천안 군수를 역임한 문신. 정동만(鄭東萬)[1772~1841]은 천안 군수를 역임한 뒤 남원 도호부사로 승진하였으나 부임하지 않았고, 사복시첨정을 거쳐 광주 판관을 지냈다. 본관은 동래(東萊), 자는 일원(一元), 아버지는 정언복(鄭彦復)이며, 목사를 지낸 정화순(鄭華淳)에게 입양되었다. 처는 군수를 지낸 박삼원(朴參源)의 딸이다. 1807년(순조 7) 생원시...
-
조선 시대 천안 출신의 효자. 본관은 동래(東萊). 병조 판서를 지낸 정이한(鄭而漢)의 후손이다. 정동철(鄭東哲)[?~?]은 어릴 때부터 효성이 지극하였다. 아침저녁으로 부모의 상태를 살피고 좋은 음식과 좋은 옷을 마련하는 등 극진히 봉양하였다. 또한 조상의 제사를 받들고 손님을 접대함에 있어서도 항상 예로써 행하였다. 어느 날 부모의 약을 지어 돌아오는 길에 배고픔과...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수신면 백자리와 세종특별자치시 전동면의 경계에 있는 산. 망경대는 높이 385m로 천안시의 남동쪽 경계에 위치한 산이다. 정랑봉 또는 망경산이라고도 부르기도 한다. 망경대 북동쪽의 매봉산[210m]과 이어지는 산지가 충청북도 청원군과의 경계를 구성하고, 망경대 북서쪽의 고려산[307m]과 이어지는 산지는 세종특별자치시와의 경계를 이루고...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수신면 백자리에 전해 내려오는 정랑봉의 지명 유래담. 정랑봉(正郞峰)은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수신면 백자리와 세종특별자치시 전동면 경계에 위치한 산인데, 망경산, 망경대(望京臺)라고도 한다. 동으로는 동림산과 이어지고 북으로는 수신면의 기름진 들판이 펼쳐진다. 정랑봉은 계유정난(癸酉靖難)[1453] 이후 금산(錦山)으로 유배를 갔다가...
-
충신·효자·열녀 등에 대하여 국가에서 내린 포상으로 그들이 살던 고을에 정문(旌門)을 세워 표창하던 일. 조선 시대에는 충·효·열 삼강 윤리를 중요시 여겨 그 같은 행적을 보인 인물을 찾아 기록하고 포장하는 것을 국가적으로 관장하였다. 포상은 몇 가지 단계가 있는데, 그중 최고의 포상이 바로 정려였다. 정문을 내린다는 의미의 ‘명정’에는 물질적인 포상의 상물(賞物), 관직을 주는...
-
충청남도 천안시를 상징하는 나무로 버드나무과의 낙엽활엽교목. 능수버들은 한국이 원산지이며, 중국과 만주 등지에 분포한다. 삼춘류(三春柳)·수사(垂絲)·정류(檉柳)라고도 부르며, 버드나무 꽃을 버들개지, 버들강아지라 부른다. 능수버들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버드나무인데, 천안 삼거리와 인연이 되어 능수버들 하면 ‘천안 삼거리의 능수버들’을 떠올리게 되었다. 충청남도 천안시...
-
충신·효자·열녀 등에 대하여 국가에서 내린 포상으로 그들이 살던 고을에 정문(旌門)을 세워 표창하던 일. 조선 시대에는 충·효·열 삼강 윤리를 중요시 여겨 그 같은 행적을 보인 인물을 찾아 기록하고 포장하는 것을 국가적으로 관장하였다. 포상은 몇 가지 단계가 있는데, 그중 최고의 포상이 바로 정려였다. 정문을 내린다는 의미의 ‘명정’에는 물질적인 포상의 상물(賞物), 관직을 주는...
-
조선 후기 천안 군수를 역임한 무신. 민영(閔韺)[?~1637]은 천안 군수 재임 시 수선정이라는 정자를 건립하고, 백사(白沙) 이항복(李恒福)에게 기(記)를 짓게 하였다. 본관은 여흥(驪興), 자는 정보(正甫)이다. 아들은 민광렬(閔光烈)이다. 의주 부윤을 지내고 1635년(인조 13) 경상우도 병마절도사에 승진하였다. 1636년 병자호란이 일어났을 때 과감히 척화론을...
-
충청남도 천안시에 전해 내려오는 원한을 품은 구렁이의 이야기. 「원수 갚으러 아들로 태어난 구렁이」는 구렁이가 자신을 죽인 사람에게 복수하기 위해 그 사람의 아들로 태어났다는 전생 설화이다. 「원수 갚으러 아들로 태어난 구렁이」는 2010년 1월 25일 단국 대학교 교수 강영순과 구비 문학반 학생들이 유용현[74세, 여,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직산...
-
조선 후기 천안 출신의 효자. 본관은 진주(晉州)이다. 정연(鄭淵)[?~?]은 천성이 지극히 효성스럽고 양순하였다. 일곱 살 때 어머니가 병이 들어 위독해지자 대변을 맛봐 병세를 살폈고, 밤에는 하늘에 간절히 기도하며 자신이 대신 아프게 해 달라고 발원하였다. 이후 어머니가 돌아가시자 삼 년간 시묘살이를 했다. 하루는 나병 환자가 여막에서 같이 자기를 원하였으나 정연은...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수신면에 있는 발전 설비 기자재 제조업체. 정우 산기는 1990년 1월 9일 설립되었으며, 같은 해 12월 일본의 NHK Spring사와 배관지지 장치 기술 제휴를 맺었다. 1999년 12월 미국에 지사[JEONG WOO America Inc.]를 설립하였으며, 2000년 6월 한국 전력 공사 발전 설비 공급 업체로 등록되었다. 2001...
-
개항기 충청남도 천안 출신의 문신. 강노(姜㳣)[1809~1887)는 흥선 대원군의 총애를 받은 인물이다. 본관은 진주(晉州), 자는 기중(期中), 호는 표운(豹雲)·정은(貞隱), 시호는 익헌(翼憲)이다. 현감을 지낸 강이구(姜彛九)의 아들이다. 1837년(헌종 3) 진사시를 거쳐 1848년(헌종 14) 증광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1850년(철종 1) 정자(正字)...
-
일제 강점기 충청남도 천안 출신의 독립운동가. 정인석(鄭寅錫)[1872~1953]은 충청남도 천안군 북면 해송리 572가 본적지로 되어 있으나 가계와 학력 등 그 외 사실은 알 수 없다. 1920년 주비단(籌備團)을 조직하고 단장으로 취임하여 활동을 하였다. 그리고 1920년 11월 대한군정서(大韓軍政署) 대표로 상해에 파견되었다. 정국진(鄭國鎭)이라는 이름을 쓰기도 하...
-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성거읍에 속하는 법정리. 성거읍사무소 북서쪽 약 2㎞ 지점에 위치한다. 경부 고속 도로가 중심부를 남북으로 가로지르며, 북쪽 인접한 곳에 북 천안 인터체인지가 있다. 동쪽으로 성거산을 마주보고, 한천(漢川)[한내[大川]]이 흐르는데, 일제 강점기 때 사금(沙金)을 채취하던 곳이다. 정자말이라고도 부른다. 조선 시대에 직산현(稷山縣) 이동...
-
조선 후기 천안 지역에서 활동한 학자. 본관은 연일(延日), 호는 시은(市隱)이다. 송강(松江) 정철(鄭澈)의 8대손이다. 정재준(鄭在俊)[?~?}은 여러 유학자들과 함께 1789년, 1799년, 1800년 3차례 상소를 하였다. 정재준은 조선 후기의 뛰어난 학자인 성담(性潭) 송환기(宋煥箕)의 문인으로, 학문과 문장으로 당대에 이름이 높았다고 한다. 『안곡집...
-
조선 후기 천안 군수를 역임한 문신. 정존중(鄭存中)[1721~1798]은 천안 군수 재임 시 전염병이 돌아 어려운 상황을 잘 극복하고 수습했다. 이후 벼슬이 판서에 이르렀다. 본관은 동래(東萊), 자는 사정(士靜)이다. 영의정을 지낸 정광필(鄭光弼)의 후손이며, 정제선(鄭濟先)의 증손자이다. 할아버지는 판서를 지낸 정형익(鄭亨益)이며, 아버지는 정홍상(鄭弘祥), 어머니...
-
현대 천안 지역의 효자. 정종덕(鄭種德)은 아홉 살 어린 나이에 아버지를 여의고 홀어머니 슬하에서 어렵게 성장하였다. 가난한 살림에도 형제간에 우애가 깊고 정성을 다해 홀어머니를 모셨다. 정종덕의 바른 성품과 효성에 대한 이웃의 칭찬이 많았다. 외가의 도움으로 농경지를 소작하게 되어 굶주림을 면하였다. 20세 되던 해에 결혼을 하고 가족들과 함께 노력하여 논밭을 사들이고...
-
조선 후기 천안 군수를 역임한 문신. 정지경(鄭之經)[1586~1634]은 천안 군수였던 정근(鄭謹)의 아들로 부자가 모두 천안 군수를 지냈다. 천안 군수 재임 시 전임 군수 손여성(孫汝誠)이 지은 『문헌록』을 바탕으로 『속문헌록』을 간행하고, 고을의 효자와 열녀를 포상하였다. 본관은 동래(東萊), 자는 상백(常伯), 호는 기은(機隱)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정구(鄭球)이고...
-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성거읍에 속하는 법정리. 성거읍사무소 북서쪽 약 2㎞ 지점에 위치한다. 경부 고속 도로가 중심부를 남북으로 가로지르며, 북쪽 인접한 곳에 북 천안 인터체인지가 있다. 동쪽으로 성거산을 마주보고, 한천(漢川)[한내[大川]]이 흐르는데, 일제 강점기 때 사금(沙金)을 채취하던 곳이다. 정자말이라고도 부른다. 조선 시대에 직산현(稷山縣) 이동...
-
충청남도 천안시에서 이루어지는 정치권력 획득 및 이와 관련된 활동. 현대적인 의미에서 한국의 정치는 일제 강점기에서 해방된 후 제헌의회가 구성되고 의회에서 제정한 자유 민주주의 헌법에 의한 정부 수립 이후를 의미한다. 천안의 정치 역시 제1 공화국의 등장 이후 중앙 정치와 지방 자치의 결합 형태로 전개되고 있다. 천안은 정부 수립 이후 중앙 정치 무대에서 장기...
-
충청남도 천안시 성환읍 대홍리에 있는 현대의 정려. 열녀 덕수 이씨는 정태양(鄭泰壤)의 부인으로 남편이 갑자기 병이 생기자 3년간 지극정성으로 간호하였고, 남편이 사망하자 따라 죽으려 하였으나 실패하였다. 그 뒤로 시부모를 극진히 모시다가 시부모가 사망하고 4일이 지나고 세상을 떠났다. 이러한 열행이 알려져 직산의 유림들이 힘을 모아 1966년에 정문을 세웠다....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북면 납안리와 서북구 입장면 호당리를 연결하는 고개. 고개 위에 우물이 있었기 때문에 우물목 고개라고 하였으며, 한자로는 정항령(井項嶺)이라 한다. 지금은 호당리에서 올라오는 길 중간에 약수터가 남아 있다. 해발 고도는 약 325m이며, 좌표는 북위 36도 51분, 동경 127도 14분이다. 우물목 고개의 남쪽 능선을 따라서 사리목 고개가 있다....
-
조선 후기 천안 군수를 역임한 문신. 남태기(南泰耆)[1699~1763]는 천안 군수를 역임한 뒤 벼슬이 예조 판서에 이르렀다. 본관은 의령(宜寧), 자는 낙수(洛叟), 호는 죽리(竹裏), 시호는 정희(靖僖)이다. 할아버지는 남상훈(南尙熏)이고, 아버지는 의빈도사(儀賓都事)를 지낸 남근명(南近明), 어머니는 부사(府使)를 지낸 이만봉(李萬封)의 딸 전의 이씨(全義李氏)이...
-
조선 후기 천안에 우거했던 문신. 본관은 양주(楊州), 자는 낙보(樂甫), 호는 수와(睡窩)·휴와(休窩)이다. 증조할아버지는 형조 판서를 지낸 조계원(趙啓遠), 할아버지는 괴산 군수를 역임한 조희석(趙禧錫), 아버지는 도정 조태래(趙泰來)이다. 어머니는 윤계(尹堦)의 딸이다. 노론 4대신의 한 사람인 조태채(趙泰采)의 조카이다. 조도빈(趙道彬)[1665~1729]은 16...
-
충청남도 천안시에서 그리스도의 재림과 안식일 엄수를 주장하는 그리스도 교파. 미국에서 창립된 기독교 근본주의 성격의 개신교 교파이다. 제 7일 안식일 예수 재림교라는 명칭은 1860년에 정해졌으며, 교단 조직은 1863년에 공식 출범하였다. 1904년 5월 이응현이 동료 손흥조와 함께 일본 고베 제 7일 안식일 예수 재림교 전도사였던 쿠니야 히데[國谷秀]로부터...
-
충청남도 천안시에 전해 내려오는 제사 혼령에 대한 이야기. 「소금 장수와 제사 혼령」은 정성스럽지 못한 제사상을 받은 혼령들이 손자에게 해를 끼치자 소금 장수가 해결책을 알려 준 이야기이다. 제사 설화, 제사 혼령 설화의 일종이다. 「소금 장수와 제사 혼령」은 상명 대학교 구비 문학 연구회에서 1989년 6월 27일에 성거읍 삼곡리에서 김창연[73세...
-
충청남도 천안시에서 집안에 복을 주고 아이들의 수명장수를 관장하는 신령. 제석신은 조상신과도 동일시되는 신령으로 집안에서 모신다. 천안의 대부분 지역에서 신봉되는 것은 아니지만 서북구 업성동 일대의 일부 마을에서는 과거에 제석신을 모셨다. 실제로 집에 제석 단지에 제석신을 모셨던 업성동 주민의 사례는 보면, 제석 단지는 집 안방 윗목의 시렁 위에 길게 좌정해 있었다. 그...
-
서거정이 천안 직산을 지나면서 백제의 첫 도읍지가 직산이라고 한 기록. 백제의 시조 온조가 부아악(負兒岳)에 올라가서 살 만한 곳을 살핀 곳이 직산이라 한 것에 대해 서거정(徐居正)[1420~1488]은 지세가 편협하고 웅장한 기상이 없어 도읍을 세울만한 곳이 못 된다고 여겼다. 그러나 『삼국사절요(三國史節要)』를 편찬하면서 여러 자료를 검토해본 결과, 직산이...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원성동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 천안 제일 고등학교는 균형 잡힌 신체와 단정한 용모를 갖춘 사람[건강인], 조화로운 인격과 바른 품성을 갖춘 사람[도덕인], 기초 학력에 충실한 창의력을 갖춘 사람, 소질과 적성에 맞는 직업 능력을 갖춘 사람[기능인], 배려와 협력 봉사하는 마음을 갖춘 사람[봉사인]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
1949년 7월 23일에 충청남도 천안 지역에서 실시된 제헌 의원 보궐 선거. 해방 이후 한동안은 좌우익 간의 대립이 극한으로 치달았던 시기였다. 제헌 국회 의원 선거는 신탁 통치 찬반을 두고 좌우익이 첨예하게 맞서는 극심한 이념 대립과 정치적 혼란 속에서 치러졌기에, 집권 세력에 의하여 억울하게 공산주의자라는 누명을 쓰는 사례가 많았다. 1948년 5월 10일 실시된 제헌 의원...
-
근대 개항기 천안 출신의 문신. 일본 정부는 1910년 8월 22일에 한일 병합 조약을 체결하고, 10월 1일 초대 총독 데라우치[寺內正毅]가 부임하여 식민 통치를 시작하였다. 한일 병합이 이루어지자 일본 정부는 조선 황실과 귀족 및 고관들을 회유하기 위하여 각종 은전을 베풀었다. 그리하여 왕족과 한일 병합에 공이 있는 자 등 76명에게 작위를 내렸다. 그중에서 8명은...
-
조선 시대 임진왜란 때 공을 세운 직산현의 아전. 조계남(趙繼南)[?~?]은 직산현 아전으로 있으면서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당시 큰 공을 세웠다. 본관은 직산(稷山). 백제 개국공신 조성(趙成)의 후손이다. 대대로 직산의 거족이었으나, 할아버지 대에 가문이 몰락하여 향역에 종사하게 되었다. 임진왜란 당시 직산현은 교통의 요충지이자 중요한 군사적 거점이었다. 명나...
-
조선 후기 천안에 우거했던 문신. 본관은 양주(楊州), 자는 낙보(樂甫), 호는 수와(睡窩)·휴와(休窩)이다. 증조할아버지는 형조 판서를 지낸 조계원(趙啓遠), 할아버지는 괴산 군수를 역임한 조희석(趙禧錫), 아버지는 도정 조태래(趙泰來)이다. 어머니는 윤계(尹堦)의 딸이다. 노론 4대신의 한 사람인 조태채(趙泰采)의 조카이다. 조도빈(趙道彬)[1665~1729]은 16...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유량동과 목천읍 덕전리를 연결하는 고개. 고개가 험하여 올라가다가 쉬게 되면 금세 졸음이 오는 고개라 하여 조라지 고개라고 하였고, 이것이 도라지 고개로 변했다. 도라지 고개의 해발 고도는 약 300m이며 좌표는 북위 36도 49분, 동경 127도 12분으로 태조산[422m]의 북쪽 능선 약 500m 전방에 위치해 있다. 도라지 고개의...
-
조선 시대 천안 출신의 효자. 본관은 진보(眞寶). 고려 말의 충신 조용(趙庸)의 7세손이다. 조진형(趙震亨)이 아들이다. 조립(趙砬)[1584~?]은 어려서부터 출중하였고, 할머니와 어머니를 섬기면서 의복을 손수 손질하여 봉양하였다. 36세 되던 해에 할머니가 죽자 통곡하며 슬퍼함이 하늘에 닿을 정도였고, 53세 되던 해인 1636년에 병자호란이 일어나 마을이 피폐해지...
-
충청남도 천안시 입장면 가산 1리 토산 마을에 있는 일제 강점기 때의 정려. 조립(趙砬)은 조선 시대의 효자로 조모와 모친을 섬김에 있어 효를 다하였다. 병자호란이 일어났을 때에는 노모를 업고 산으로 들어가 난을 피하였고 오랑캐가 조립을 잡으려 하였으나 노모를 봉양하는 효성에 감격하여 그대로 돌아갔다고 한다. 조립 정려(趙砬 旌閭)는 충청남도 천안시...
-
일제 강점기 천안 출신의 독립운동가. 조만형(趙萬衡)[1897~1983]은 1897년 2월 17일 충청남도 천안군 동면 용두리 258번지에서 출생하였다. 그 외 가계나 학력 등은 알 수 없고, 1919년 아우내 장터 만세 운동에 참여하였다. 아우내 장터 만세 운동은 원래 2개의 계열로 나누어 계획되었다. 하나는 수신면(修身面)·성남면(城南面) 민...
-
조선 전기 천안 목천 지역에 우거한 문신. 본관은 한양(漢陽)이며, 자는 경부(警夫), 호는 인촌(仁村)이다. 태조의 배향 공신이며 개국 공신인 조인옥(趙仁沃)의 증손자이고, 지돈령부사(知敦寧府事) 조뇌(趙賚)의 손자이다. 아버지는 이조 참의를 지낸 조순생(趙順生)이고, 어머니는 사정 원유용(元有容)의 딸 원주 원씨(原州元氏)이다. 조명(趙銘)[?~1478]은 16세에...
-
조선 후기 천안 군수를 역임한 문신. 조문명(趙文命)[1680~1732]은 천안 군수를 역임하였으며, 벼슬이 좌의정에 이르렀다. 본관은 풍양(豊壤), 자는 숙장(叔章), 호는 학암(鶴巖), 시호는 문충(文忠)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조형(趙珩), 할아버지는 조상정(趙相鼎)이다. 아버지는 도사(都事)를 지낸 조인수(趙仁壽)이고, 어머니는 김만균(金萬均)의 딸이다. 1705년(...
-
일제 강점기 천안 출신 독립운동가이자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정치인. 본관은 한양. 호 유석(維石). 아버지는 독립운동가인 조인원(趙仁元)[또는 조택원(趙澤元)], 어머니는 남양 홍씨이다. 조병옥(趙炳玉)[1894~1960]은 1894년 5월 21일 충청남도 천안군[지금의 천안시] 동면 용두리에서 장남으로 출생하였다. 1. 신학문 수용과 미국 유학 조병옥의 집안은 예전...
-
충청남도 천안시 병천면 용두리에 있는 조병옥의 생가. 조병옥(趙炳玉)의 본관은 한양(漢陽), 호는 유석(維石)으로 공주 영명 학교를 거쳐 1911년 평양 숭실 학교를 졸업하였다. 일제가 패망한 뒤 송진우·장덕수 등과 한국 민주당을 창당하고 미군정청의 경무 부장에 취임하여 치안 유지와 공산당 색출에 진력하였다.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된 후 1948년 대통령 특사...
-
일제 강점기 천안 출신의 독립운동가. 조병호(趙炳鎬)[1903~1973]는 1903년 3월 23일 충청남도 천안군 동면 용두리 327번지에서 출생하였다. 아우내 장터 만세 운동에 참여하였는데, 아우내 장터의 독립 만세 운동은 원래 수신면(修身面)·성남면(城南面) 계열와 동면(東面)의 조인원(趙仁元)·유관순(柳寬順) 계열, 2개의 계열로 나누어 계획되었다. 조인원은 조병호...
-
개항기 천안 출신의 문신. 조병호(趙秉鎬)[1847~1910]는 1883년 안동 부사로 재임 시 민란을 진압하였으며, 이듬해 외무독판이 되어 일본에 망명한 김옥균·박영효 등의 소환을 일본 정부에 요구하기도 했다. 예조 판서, 한성부 판윤, 의정대신 등을 지냈다. 본관은 임천(林川), 자는 덕경(德卿), 시호는 문헌(文獻)이다. 참판을 지낸 조기진(趙基晉)의 아들이며, 한...
-
일제 강점기 충청남도 천안시 입장면에 일본인이 세운 광업소. 조선 중앙 광업소는 통칭 직산 광산으로 불렸으며, 입장면 양대리에 있었다. 금 산출량이 많아, ‘노다지’라는 말을 만들어낸 평안남도의 운산 광산 다음가는 전국적으로 유명한 광업소였다. 대한제국과 일본인 민간인 사이에 ‘직산군 금광 합동 조약’이 체결된 이후 직산 지역의 금광을 채굴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
충청남도 천안시를 상징하는 시화(市花)로 물푸레나무과의 낙엽관목. 개나리는 원산지가 한국인 한국 특산 식물이다. 전국 각지 산기슭 양지에서 자라는데, 관상용으로도 많이 심는다. 잎보다 꽃이 먼저 피어서 봄소식을 전하고, 꽃말은 희망이다. 충청남도 천안시를 상징하는 시화(市花)이다. 높이는 대략 2~3m 정도며, 그 이상의 큰 나무도 있다. 처음에는 가늘게 뻗다가 세월이...
-
조선 왕조가 지속되었던 1392년에서 1910년까지 시기의 천안 지역의 역사. 1914년에 천안군(天安郡)·목천군(木川郡)·직산군(稷山郡)이 통합되어 천안군이 되었고, 1963년에 천안시와 천원군으로 분리되었다가, 1991년에 천원군이 천안군이 되고, 1995년에 다시 통합되어 현재의 천안시가 되었다. 따라서 1914년 이전의 천안시 지역은 천안(天安)·목천(木川)·직산(稷山) 지...
-
충청남도 천안시 직산읍 군동리에 있는 현대에 건립된 조성의 신도비. 조성(趙成)은 백제의 시조 온조왕을 도와 나라를 건국한 개국 공신이며, 직산 조씨의 시조로 후손들이 천안 지역에 거주하고 있다. 조선 후기에 편찬된 『직산현지』에는 하남백 조성의 묘가 단고개 용안치 연암(燕巖) 중봉 아래에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곳은 지금의 천안시 직산읍 군동리로, 조성의...
-
일제 강점기 천안 출신의 독립운동가. 조쌍동(曺雙童)[1901~1979]은 1901년 10월 20일 충청남도 천안군 입장면 양대리 140번지에서 출생하였다. 사립 광명 학교 학생으로서 1919년 입장 장터 만세 운동에 참여하였다. 입장 장터 만세 운동은 직산 광산 광부였던 안시봉과 광명 학교 교사였던 강기형이 주도하였다. 이들은 1919년 3월...
-
충청남도 천안시에 묘소를 두고 있는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이며, 자는 돈시(敦詩), 호는 조암(釣巖), 시호는 충익(忠翼)이다. 고조할아버지는 이수장(李壽長), 증조할아버지는 이기(李夔), 할아버지는 이정화(李廷華)이다. 아버지는 정사공신(靖社功臣)으로 우찬성까지 오른 연평부원군(延平府院君) 이귀(李貴)이고, 어머니는 인동 장씨로 증 참판 민(旻)의 딸이...
-
일제 강점기 천안 지역에서 활동한 의병. 이범직(李範稷)[1868~1896]은 1895년 을미사변 후 안승우(安承禹)·이춘영(李春永) 등과 함께 의병을 일으켜 영남과 호서 지방에서 활약하다가 유인석(柳麟錫) 의진의 소모장(召募將)이 되어 천안 군수 김병숙(金炳肅)을 처단하였으며, 1896년 4월 제천 전투에서 패배 후 일본군에게 잡혀 순절할 때까지 유인석 의진에서 활동하...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성남면 봉양리를 흐르는 하천. 조양천(朝陽川)은 금강 수계의 본류인 금강의 제1 지류 미호천의 제2 지류 병천천으로 흘러드는 제3 지류 병천천의 지류 하천으로서, 유역 면적은 5.3㎢이며, 하천 연장은 1.6㎞, 유로 연장은 4.2㎞이다. 조양천의 시점은 성남면 봉양리 489번지이고 종점은 성남면과 수신면 경계지역에 승천천에 합류허는 지...
-
충청남도 천안시에서 민가의 부엌을 맡는다는 신령. 조왕은 집안의 여러 신령 중에 부엌에 좌정하고 있는 신령으로서, 주로 주부가 신봉한다. 흔히 “집안의 가장인 대주(大主)는 성주를 믿고, 집안의 부인인 지주(地主)는 조왕을 믿는다.”라고 하는데, 이는 부엌이 주부의 주된 생활 영역이기 때문이다. 천안 지역에서 조왕의 신체(神體)를 별도로 모시는 집은 거의 없다...
-
충청남도 천안 출신의 정치인. 본관은 한양(漢陽)이고, 한국 정치사의 거두였던 조병옥((趙炳玉)[1894~1960]의 장남이다. 한국 정치사의 격동기에 6선 국회 의원을 지낸 조윤형(趙尹衡)[1932~1996]은 제5·6·7·8·13·14대 국회 의원, 신민당 원내 부총무, 국회 부의장, 신민당 부총재, 민한당 선거 대책 본부장, 민한당 총재, 민주화 추진 협...
-
일제 강점기 천안 지역에서 활동한 의병. 이범직(李範稷)[1868~1896]은 1895년 을미사변 후 안승우(安承禹)·이춘영(李春永) 등과 함께 의병을 일으켜 영남과 호서 지방에서 활약하다가 유인석(柳麟錫) 의진의 소모장(召募將)이 되어 천안 군수 김병숙(金炳肅)을 처단하였으며, 1896년 4월 제천 전투에서 패배 후 일본군에게 잡혀 순절할 때까지 유인석 의진에서 활동하...
-
일제 강점기 천안 출신의 독립운동가. 조인원(趙仁元)[1865~1932]은 아우내 장터의 독립 만세 운동에 참여하였다. 아우내 장터 만세 운동은 2개의 계열로 나누어 진행되었는데, 조인원은 동면계에서 주도적인 활동을 한 인물이었다. 조인원은 유관순과 더불어, 4월 1일 아우내 장터의 장날을 이용하여 만세 운동을 거사하기로 합의하였다. 아우내 장터는 멀리는 충청...
-
1592년부터 1598년까지 일본이 조선을 침략하여 충청남도 천안 지역을 포함한 조선 전역에서 벌어진 전쟁. 1591년 일본 전국을 평정한 도요토미 히데요시[豊臣秀吉]는 조선 침공을 계획하고 1592년 수륙 양군을 편성하여 부산포를 통해 조선을 침략하였다. 부산과 김해를 통해 총 20만 명에 이르는 대군이 조선 땅에 이르렀다. 조선은 주요 군관을 임명하여 대비토록 하였으나 충주 전...
-
일제 강점기 충청남도 천안 출신의 독립운동가. 조종철(趙鍾哲)[1891~1957]은 독립운동 당시 천원군 권성면 삼룡리에 거주하고 있었다. 1917년 대한 광복회(大韓光復會)에 가입하여 군자금 모금 활동을 전개하다 일본 경찰에 체포되어 옥고를 치렀다. 대한 광복회는 1915년 7월 채기중(蔡基中)·유장렬(柳璋烈)·한훈(韓焄)·유창순(庾昌淳)·강순필(姜順必) 등...
-
충청남도 천안시 단국 대학교 천안 캠퍼스 내에 설립된 연구소. 조직 재생 공학 연구소[ITREN]는 기초 및 임상 의학 뿐 아니라 치의학, 생체 재료학, 조직 공학 등의 단국 대학교 내 학제 간 융합을 통하여 국내에서 미진한 조직 재생 공학 분야의 연구 활동을 함으로써 단국 대학교의 위상 제고에 일익을 담당하고자 설립되었다. 2007년 10월 12일 설립 준비...
-
조선 후기 천안 출신의 효자. 본관은 평강(平康), 호는 존심재(存心齋)이다. 보덕(輔德)을 지낸 채응복(蔡膺福)의 증손자이고, 채계하(蔡啓夏)의 손자이며, 아버지는 채홍혁(蔡弘赫)이다. 외할아버지는 한성일(韓聖一)이고, 정언(正言)을 지낸 채정영(蔡定永)이 그의 형이다. 채주영(蔡冑永)은 스스로 농사를 지어 부모님에게 맛있는 음식을 차려 극진히 봉양하였고, 늙어서도 독...
-
조선 후기 천안 군수를 역임한 문신. 정동만(鄭東萬)[1772~1841]은 천안 군수를 역임한 뒤 남원 도호부사로 승진하였으나 부임하지 않았고, 사복시첨정을 거쳐 광주 판관을 지냈다. 본관은 동래(東萊), 자는 일원(一元), 아버지는 정언복(鄭彦復)이며, 목사를 지낸 정화순(鄭華淳)에게 입양되었다. 처는 군수를 지낸 박삼원(朴參源)의 딸이다. 1807년(순조 7) 생원시...
-
조선 후기 천안 지역에서 활동한 학자. 본관은 전주(全州), 호는 졸재(拙齋)이다. 천안 육현사(六賢祠)에 배향된 분곡(盆谷) 이승벽(李承璧)의 7대손이다. 이영록(李永祿)은 강화 유수를 지낸 일신재(日新齋) 홍락명(洪樂命)의 문인이다. 부모에게 효성스럽고 형제간에 우애가 있었으며, 문학에 탁월한 재주가 있었다고 한다. 여러 차례 임금에게 천거되었으나 끝내 품계를 받지는...
-
충청남도 천안 지역에서 신이나 초자연적인 절대자 또는 힘에 대한 특정한 믿음을 공유하는 이들이 가진 신앙 체계. 천안은 백제에 속했던 지역으로 384년(침류왕 원년) 동진의 마라난타를 통해 불교를 수용한 후 백제 땅에서 불교를 공인하고 널리 사찰을 창건하였다. 천안에도 광덕면 광덕산에 광덕사가 창건되었다. 고려 시대에는 유려왕사, 성불사, 만일사, 천흥사, 홍...
-
조선 시대 천안 지역에 우거한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종규(宗圭), 호는 분곡(盆谷)이다. 아버지는 충의위(忠義衛)를 지낸 이선로(李仙櫓)이다. 이승벽(李承璧)[1554~1638]은 1585년(선조 18) 식년시(式年試)에서 진사(進士) 2등(二等) 16위로 합격하였다. 이승벽은 광해군(光海君)이 인목 대비(仁穆大妃)를 서궁(西宮)에 유폐하고 영창...
-
충청남도 천안시에서 활동하는 문학 단체. 계간지 『좋은 문학 좋은 동네』 발간, 반딧불 축제, 동화 콘서트, 문학 연찬회, 독서토론 등 동인 활동과 회원 개개인의 창작 역량을 모아 지역 사회에 활용하는 재능 기부 운동을 하고 있다. 1995년에 동화 작가 소중애, 평론가 윤성희, 소설가 심규식, 시인 이심훈 등이 모여 “쓰지 않는 작가는 작가가 아니다. 아무리 못 써도...
-
충청남도 천안시에서 활동하는 문학 단체. 계간지 『좋은 문학 좋은 동네』 발간, 반딧불 축제, 동화 콘서트, 문학 연찬회, 독서토론 등 동인 활동과 회원 개개인의 창작 역량을 모아 지역 사회에 활용하는 재능 기부 운동을 하고 있다. 1995년에 동화 작가 소중애, 평론가 윤성희, 소설가 심규식, 시인 이심훈 등이 모여 “쓰지 않는 작가는 작가가 아니다. 아무리 못 써도...
-
개항기 천안 군수를 역임한 관료·정치인·사회 운동가. 윤치호(尹致昊)[1865~1945]는 한말 개화파로 1898년 독립 협회 회장, 1903년 천안 군수 등을 역임한 인물이다. 1920년 이후에는 친일 활동을 펼쳤다. 본관은 해평(海平), 호는 좌옹(佐翁)이다. 할아버지는 윤취동(尹取東), 아버지는 무관 출신으로 충청감영 중군(忠淸監營中軍)을 지낸 윤웅렬(尹雄烈)이다....
-
충청남도 천안의 주거 변천과 주거의 특징. 주거라는 말에는 사는 곳 즉 ‘집’이라는 명사적 의미와 ‘산다’라는 동사적 의미가 복합적으로 담겨져 있다. 주생활은 이러한 주택에서 이루어지는 인간의 모든 생활과 조형화된 주거건축물의 형태를 함께 말하는 의미가 담겨 있다. 주생활은 주거의 형태에 따라 달라지기도 하지만 반면 생활 행태나 행위에 따라 주거 형태가 달라지기도 한다....
-
충청남도 천안의 주거 변천과 주거의 특징. 주거라는 말에는 사는 곳 즉 ‘집’이라는 명사적 의미와 ‘산다’라는 동사적 의미가 복합적으로 담겨져 있다. 주생활은 이러한 주택에서 이루어지는 인간의 모든 생활과 조형화된 주거건축물의 형태를 함께 말하는 의미가 담겨 있다. 주생활은 주거의 형태에 따라 달라지기도 하지만 반면 생활 행태나 행위에 따라 주거 형태가 달라지기도 한다....
-
충청남도 천안시에 있는 매장 주체부를 중심으로 그 둘레에 도랑을 굴착한 형태의 분묘. 주구묘(周溝墓)는 매장 주체부를 중심으로 그 둘레에 도랑을 굴착한 형태의 분묘이다. 1990년대 초반 천안 청당동과 보령 관창리에서 주구묘가 발견된 이후로 마한의 고지(故地), 특히 한반도 서남 해안을 따라 많은 유적이 조사되고 있다. 낮은 구릉에 자리하고 있으며 대체적으로 집단을 이루...
-
충청남도 천안시에 있는 매장 주체부를 중심으로 그 둘레에 도랑을 굴착한 형태의 분묘. 주구묘(周溝墓)는 매장 주체부를 중심으로 그 둘레에 도랑을 굴착한 형태의 분묘이다. 1990년대 초반 천안 청당동과 보령 관창리에서 주구묘가 발견된 이후로 마한의 고지(故地), 특히 한반도 서남 해안을 따라 많은 유적이 조사되고 있다. 낮은 구릉에 자리하고 있으며 대체적으로 집단을 이루...
-
충청남도 천안시에서 한 해 농사에 사용할 줄을 만드는 정월 세시 풍속. 천안 지역에서 행하는 주대 드리기는 ‘봇줄 드리기’, ‘소 고뺑이[고삐] 드리기’라고도 한다. 주대 드리기는 주로 정월 대보름에 남자들이 소 있는 집 또는 부잣집 마당에서 한 해 동안 사용할 줄을 꼬는 세시 풍속인데, 주대 드리기를 하는 집에서는 사람들에게 보리밥이라도 마련하여 대접한다....
-
조선 시대 천안 출신의 효자. 본관은 초계(草溪). 한림(翰林) 주세붕(周世鵬)의 후손이며, 사마소(司馬所)를 창건한 주여서(周汝瑹)의 7세 손이다. 주도복(周道復)[?~?]의 집안은 대대로 충효를 이어온 집안이다. 천성이 예의범절을 중시하였으며 부모에 대한 효성이 지극하였다. 아버지가 병이 들어 여러 해를 병석에 있자 허리띠를 풀지 않은 채 밤낮으로 간호하였다. 몸소...
-
충청남도 천안시의 읍·면·동에 설치된 문화·복지 시설. 주민 자치 센터는 지방 자치법 제8조 및 동법 시행령 제8조에 의거해 만들어진 지역 주민을 위한 자치 공간이다. 각 읍·면·동의 문화, 복지, 편의 시설을 이용하여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함으로써 주민들의 삶의 질을 향상 시키고 지역 주민의 참여를 통해 공동체 의식을 기르는 역할을 수행한다. 천안시 각 읍·...
-
충청남도 천안시에서 가정과 지역 사회 발전을 위해 봉사 활동을 펼치고 있는 여성 단체이자 소비자 단체. 지역 사회의 발전과 여성들의 능력 및 잠재력 개발과 사회성 개발로 사회활동에 많은 여성들의 자발적 참여를 유도하고 있다. 특히 교육, 세미나, 토론회, 캠페인, 실태조사, 가격비교조사를 비롯해서 소비자피해구제를 위한 상담활동을 통해 올바르고 신속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주...
-
충청남도 천안시에서 가정과 지역 사회 발전을 위해 봉사 활동을 펼치고 있는 여성 단체이자 소비자 단체. 지역 사회의 발전과 여성들의 능력 및 잠재력 개발과 사회성 개발로 사회활동에 많은 여성들의 자발적 참여를 유도하고 있다. 특히 교육, 세미나, 토론회, 캠페인, 실태조사, 가격비교조사를 비롯해서 소비자피해구제를 위한 상담활동을 통해 올바르고 신속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주...
-
충청남도 천안의 주거 변천과 주거의 특징. 주거라는 말에는 사는 곳 즉 ‘집’이라는 명사적 의미와 ‘산다’라는 동사적 의미가 복합적으로 담겨져 있다. 주생활은 이러한 주택에서 이루어지는 인간의 모든 생활과 조형화된 주거건축물의 형태를 함께 말하는 의미가 담겨 있다. 주생활은 주거의 형태에 따라 달라지기도 하지만 반면 생활 행태나 행위에 따라 주거 형태가 달라지기도 한다....
-
조선 시대 천안 출신의 효자. 본관은 초계(草溪). 예조 판서를 지낸 주원의(周原義)의 15대손이며, 주부(洲簿)를 지낸 주희(周熙)의 11대손이다. 주석영(周錫永)[?~?]은 천성이 효성스럽고 예의범절이 뛰어났다. 어버이를 섬김에 있어서 조금도 그 뜻을 거스른 적이 없었고, 늘 온화한 얼굴로 대하였다. 아버지의 체증이 심해 위중할 때 의원이 말하기를 “정화수를 많이 마...
-
조선 후기 천안 출신의 효자. 주선종(周善宗)은 열 살이 채 안 되어 어머니를 여의고 애달프게 울며 아버지를 위로하고 감싸서 주위 사람을 감동시켰다. 주선종은 관노비였던 까닭에 쉴 틈도 없이 밤낮으로 분주하였으나, 아버지를 위하여 아침저녁으로 안부를 살피고 의복과 음식을 올리는 일을 빠뜨린 적이 없었다. 1678년 3월 아버지가 병들어 거의 죽게 되자 정성을 다하여 약을...
-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성거읍에 있는 개인용 의료기기 제조업체. 세라젬은 1998년 10월 세라젬 의료기로 설립하여 2005년 4월 주식회사 세라젬으로 사명을 변경하였다. 세라젬은 1999년 5월 아파트형 공장에서 인천광역시 남동 공단에 자체 공장을 준공, 확장 이전하였다. 2000년 7월에 세라젬 기술 연구소를 설립하였다. 2003년 2...
-
조선 시대 천안 군수를 역임한 문신. 본관은 신천(信川), 자는 명지(明之), 호는 죽간(竹磵)이다. 시강원 문학을 지낸 강중진(康仲珍)의 증손자이며, 아버지는 강유선(康惟善)이다. 강복성[1550~1634]은 1579년(선조 12) 사마시에 합격한 뒤, 참봉·직장(直長)·찰방(察訪) 등을 지냈다. 1595년 유성룡(柳成龍)의 천거로 장현광(張顯光) 등과 함께 발탁되어...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동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 때 일운, 소사봉, 초봉을 합하여 죽동(竹洞)이라 하고, 죽동의 ‘죽’ 자와 구계리(九溪里)의 ‘계’ 자를 따서 죽계리(竹溪里)라 하였다. 조선 시대에 목천군 일원동면 지역이었다. 1914년 행정 구역을 통폐합할 때 죽계리를 개설하여 충청남도 천안군 동면에 편입하였다. 1963년 1월 1일 천안읍...
-
조선 후기 천안 군수를 역임한 문신. 남태기(南泰耆)[1699~1763]는 천안 군수를 역임한 뒤 벼슬이 예조 판서에 이르렀다. 본관은 의령(宜寧), 자는 낙수(洛叟), 호는 죽리(竹裏), 시호는 정희(靖僖)이다. 할아버지는 남상훈(南尙熏)이고, 아버지는 의빈도사(儀賓都事)를 지낸 남근명(南近明), 어머니는 부사(府使)를 지낸 이만봉(李萬封)의 딸 전의 이씨(全義李氏)이...
-
충청남도 천안시 제헌 의원.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성광(星光), 호는 죽산(竹山)이다. 구한말 정3품 의관(議官)을 지낸 김정기(金精氣)의 아들이다. 김용화(金鏞化)[1902~1970]는 함경남도 흥남시 상수리 51번지 태생으로, 일본 중앙 대학 법학부, 일본 대학 정치학부, 북경 대학 정치학부를 졸업하였다. 1939년 현 천안시 방죽안 마을에 이주하여...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구성동에 전해지는 당제와 마을신의 유래담. 「죽어서도 고을을 지킨 원님」은 자신이 다스리던 고을에서 과로로 숨진 원님이 죽은 뒤에도 고을을 지켜 주었다는 이야기이다. 「죽어서도 고을을 지킨 원님」은 1987년과 1997년[증보판] 천안시지 편찬 위원회에서 발간한 『천안시지』에 수록되어 있다. 또한 민병달·이원표 등이 조사하여...
-
조선 전기 천안 출신의 효자.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중고(仲高)이다. 태조 때의 원종공신(元從功臣) 최유경(崔有慶)의 8세손이며, 효자 최사립(崔斯立)의 손자이다. 최돈(崔墩)[?~?]은 지극한 효성으로 부모를 섬겼으며, 어머니가 병이 들어 위중하자 동생인 최기와 함께 손가락을 잘라 피를 마시게 해서 3일을 더 살게 하였다. 어머니가 돌아가시자 여막을 짓고 시묘를...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목천읍과 동남구 북면의 경계를 이루는 중구봉 아래의 명당터에 얽힌 이야기. 중구봉(重九峰) 아래는 귀한 인물이 탄생할 명당이지만 배가 떠내려가는 행주형(行舟形)이라서 태어나면 오래 머물지 못하고 떠나야 하는 자리이다. 독립운동가 이동녕(李東寧)[1869~1940]의 할아버지는 이러한 풍수지리를 알고 중구봉 아래에 아들 내외를 이주시켜 이...
-
충청남도 천안시에 전해 오는 정 진사 딸에 대한 이야기. 「중국 황후가 된 정 진사 딸」은 병이 든 여우 나라 왕이 정 진사의 간을 구하기 위해 사람으로 변신한 여우들을 보내지만 정 진사 딸이 미리 알고 퇴치한다는 이야기이다. 여우 나라 왕은 끊임없이 여우들을 보내지만 정 진사의 딸은 번번이 여우를 처치하고 결국 중국 황후가 된다. 「중국 황후가 된...
-
충청남도 천안시 광덕면에 서식하고 있는 천연기념물 제398호로 지정된 호두나무. 호두나무는 중국이 원산지이며 양지바른 곳에서 잘 자란다. 우리나라에서는 황해도 이남 지역에 주로 분포하며, 약 20m까지 자란다. 천안 광덕사 호두나무는 오랜 세월 동안 조상들의 관심과 보살핌 가운데 살아온 나무로서 문화적·생물학적 자료로서의 가치가 높아 천연기념물...
-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성환읍에 속하는 법정리. 성환읍사무소 동쪽 지역으로 국도 1호선이 지난다. 청일전쟁의 격전지 월봉산(月峯山)[82.6m]이 있다. 조선 시대에 직산현(稷山縣) 삼서면(三西面) 성환 내리(成歡內里) 지역으로 성환역도찰방(成歡驛道察訪) 성환의 ‘성’ 자와 월봉산의 ‘월’ 자를 따서 성월리(成月里)가 되었다. 조선 시대에 직산현 삼서면 성환내...
-
조선 시대 천안 출신의 효자.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중선(仲宣)이다. 이지봉(李至鳳)의 증손자이다. 이찬(李纘)은 어릴 적부터 효성이 남달리 뛰어나 사람들에게 효자동(孝子童)으로 불렸다. 형이 따로 살며 부모를 모셨는데, 이찬은 매일 아침저녁으로 왕래하며 어머니의 안부를 살폈다. 어머니가 돌아가신 후 십 리나 멀리 있는 묘에 날마다 성묘를 가서 아침부터 해가 저물...
-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불당동에 있는 중소기업의 진흥을 돕는 기관. 충남 지역 중소기업이 우리나라 경제를 견인하고 나아가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춘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중소기업 진흥 공단은 1978년 12월에 중소기업 진흥법이 제정되어 1979년 1월에 설립되었고 중소기업 진흥 공단 충남 지역 본부는 2003년...
-
조선 시대 천안 출신의 효자·의병장. 본관은 수안(遂安), 자는 중수(仲綏), 호는 송담(松潭) 또는 일운 거사(一雲居士)이다. 참판을 지낸 이영견(李永肩)의 고손자이고, 승지 이익령(李益齡)의 증손자이다. 할아버지는 사도시 직장을 지낸 이생은, 아버지는 양양 도호부사를 지낸 이주국이며, 어머니는 안동 김씨(安東金氏)이다. 동생인 이인장은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문하에서 학문을...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유량동에 있는 소방 교육 기관. 중앙 소방 학교는 ‘명예·신뢰·헌신’의 교훈 아래 미래 소방을 이끌어 나갈 핵심 인재들에 대한 지휘 역량과 전문 능력을 배양하는 소방 교육 기관이다. 중앙 소방 학교는 현직 소방 공무원 및 소방 공무원 임용 예정자에게 소방 직무에 관한 학술과 기술, 응용 능력 등을 습득시키고 소방 행정의 발전을...
-
충청남도 천안·아산 지역의 뉴스를 제공하기 위한 『중앙 일보』의 독립된 지역판 신문. 『중앙 일보』 「천안 아산&」은 지역 밀착·생활 밀착·독자 밀착이라는 목표 아래 2009년 3월 17일 창간호를 발간해 정치, 경제. 문화, 교육 등 다양한 영역의 지역 기사를 제공하고 있다. 매주 화요일과 금요일 12페이지의 천안·아산 지역판을 제작해, 『중앙 일보』 본지에...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원성동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 천안 중앙 고등학교는 봉사 정신과 책임 의식이 투철하고 남을 배려하며 질서를 지키는 훌륭한 시민, 풍부한 독서로 지성과 덕성을 갖추고, 명문 대학 진학의 꿈을 알차게 가꿔서 탁월한 지도자가 되도록 키우는 것이 교육 목표이다. 교육 목표를 구현하기 위하여 바른 인성을 갖춘 민주 시민을 양성하며, 학습자 중심...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에 속하는 행정동. 중앙동은 천안의 중심에 위치하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 때 영성면 읍내리라 하였는데, ‘읍내’란 고을의 읍치가 있던 지역을 말한다. 1939년 대흥동은 본정(本町), 오룡동은 욱정(旭町), 사직동은 남산정(南山町), 영성동은 영성정(寧城町)이라 하였다. 1946년 일본식 동명 변경에 의하여...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영성동에 있는 중앙동 관할 행정 기관.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를 구성하고 있는 17개 읍·면·동 가운데 중앙동 주민들의 생활과 관련한 행정 업무 및 중앙동의 문화·산업 발전을 관장하는 행정 기관이다. 충청남도 천안시 중앙동의 행정, 민원 및 주민의 복리 증진과 관련된 업무를 총괄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중앙동 주민 센...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영성동에 있는 중앙동 관할 행정 기관.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를 구성하고 있는 17개 읍·면·동 가운데 중앙동 주민들의 생활과 관련한 행정 업무 및 중앙동의 문화·산업 발전을 관장하는 행정 기관이다. 충청남도 천안시 중앙동의 행정, 민원 및 주민의 복리 증진과 관련된 업무를 총괄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중앙동 주민 센...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유량동에 있는 국민안전처 소속 교육 훈련 기관. 국가민방위 재난안전교육원은 국민안전처 소속 기관으로 민방위와 방재 분야의 공무원과 민간 전문 인력을 양성하는 교육 훈련 기관이다. 국가민방위 재난안전교육원은 각종 재난으로부터 국민을 보호할 수 있도록 예방 위주의 재난 관리를 실현하는 전문 인력을 양성하고 생활 안전 교육 운영으로...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사직동에 있는 상설 시장. 중앙 시장은 천안 최초의 상설 재래 시장으로, 1970년 4월 4일 상설 시장으로 개설되었다. 중앙 시장이라는 명칭은 천안 중심의 시장이라는 의미에서 부여되었다. 한복, 침구류 등이 주로 거래되고 있으며, 남산 중앙 시장, 천일 시장과 함께 하나의 상권을 이루고 있다. 중앙 시장은 시장 설치법이 개정...
-
충청남도 천안시에서 음력 5월 5일에 농사의 풍작을 기원하며 행하는 세시 풍속. 중오절(重五節), 천중절(天中節)이라고도 불리는 단오는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 『열양세시기(洌陽歲時記)』 등에는 수릿날이라고 적혀 있다. 특히 『동국세시기』의 5월 항목에는 이날 쑥떡을 하여 먹는데, 쑥떡의 모양이 수레바퀴처럼 만들어졌기 때문에 ‘수리’라는 명칭이 붙었다고 기록하고 있다...
-
충청남도 천안시에서 음력 7월 15일에 행하는 세시 풍속. 백중은 백종(百種), 중원(中元), 망혼일(亡魂日)이라고도 부른다. 백중은 불가에서는 재(齋)를 설치하여 부처를 공양하는 명절로 여기며, 민가에서는 돌아가신 조상의 극락왕생을 비는 시기, 머슴을 부리는 집에서는 머슴을 쉬게 하는 날로 삼았다.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에는 “우리나라 풍속에...
-
조선 후기 천안 출신의 효자. 본관은 언양(彦陽), 자는 중정(重精)이다. 이조 참판을 지낸 김자(金赭)의 8세 손이며, 현감을 지낸 김덕윤(金德潤)의 고손자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좌승지를 지낸 김응상(金應祥), 할아버지는 좌승지에 추증된 김정립(金挺立)이다. 아버지는 감역을 지낸 김석(金晳)이다. 김남수(金南粹)[?~?]는 어려서부터 효성이 지극하여 부모를 극진히 봉양하...
-
조선 시대 천안 출신의 효자. 본관은 청주(淸州), 호는 중촌(中村)이다. 이효범(李孝範)의 손자이다. 이기준(李頎俊)은 어려서부터 예의를 중시하고 효성을 다하여 부모의 뜻을 받들었다. 아버지의 병환이 위독하자 대변을 맛보고 제 손가락을 잘라 그 피를 마시게 하였으며, 아버지가 돌아가시자 초상에서 장례까지 한결 같이 예법에 따랐다. 3년 동안 움막에서 시묘 살이를 하며...
-
충청남도 천안시에서 음력 8월 15일에 한 해 농사를 수확하여 조상에게 차례를 지내는 세시 풍속. 추석은 한가위, 중추절(仲秋節), 중추가절(仲秋佳節), 가배(嘉俳) 등으로 불린다. 오곡을 수확하는 시기이므로 명절 중에서는 가장 풍성한 때로 꼽힌다. 추석에는 햇곡이 난 것을 기념하여 햅쌀로 송편을 빚고 메와 탕을 함께 올려 조상에게 차례를 지낸다. 천안 지역의...
-
충청남도 천안시에서 음력 8월 15일에 한 해 농사를 수확하여 조상에게 차례를 지내는 세시 풍속. 추석은 한가위, 중추절(仲秋節), 중추가절(仲秋佳節), 가배(嘉俳) 등으로 불린다. 오곡을 수확하는 시기이므로 명절 중에서는 가장 풍성한 때로 꼽힌다. 추석에는 햇곡이 난 것을 기념하여 햅쌀로 송편을 빚고 메와 탕을 함께 올려 조상에게 차례를 지낸다. 천안 지역의...
-
충청남도 천안시에 있는 중등 보통 교육 기관. 천안 지역의 중등 교육은 광복 이후 1949년에 개교한 천안 여자 중학교에서 비롯되었다. 천안 여자 중학교는 1946년 9월 1일에 천안 공립 농업학교 부설 여자반으로 1학급 편성되었다가 1949년 3월 26일에 개교하였다. 그리고 얼마 뒤 1949년 10월 22일에 현 천안 북 중학교의 전신인 천안 공업 중학교가...
-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입장면과 직산면에서 전해지는 쥐가 둔갑하여 주인 행세 하는 이야기. 「말하는 골방 쥐」는 쥐가 남편으로 둔갑하여 진짜 남편을 내쫓고 진짜 행세를 하다 퇴치된다는 신이담이다. 진짜 남편은 고생하다가 원조자의 도움으로 고양이를 데리고 집으로 돌아온다. 고양이가 가짜 남편을 죽이고 나서 진짜 남편이 다시 주인이 된다. ‘진가쟁주(眞假爭主) 설...
-
충청남도 천안시 북면 양곡리 웃말에 있는 조선 초기의 분청사기 가마터. 양곡리 분청사기 요지(陽谷里 粉靑沙器 窯址)는 충청남도 천안시 북면 양곡리의 웃말에 있는 분청사기 요지이다. 마을에서는 이곳을 ‘즘터’라 불러 왔고 분청사기 조각과 가마터가 남아 있었다. 양곡리 분청사기 요지는 서향 사면의 구릉 하단부로, 목장이 들어선 계곡을 사이에 두고 양측...
-
충청남도 천안 지역에서 집을 짓기 전에 지경돌로 그 터를 단단하게 다지는 의례와 놀이. 지경 다지기는 충청남도 천안 지역에서 예전에 집을 지을 때 건물이 들어설 땅을 다져 주던 의식으로 1950년대 전후까지도 보편적으로 행해졌다. 하루의 농사일을 마친 저녁에 횃불을 켜고 밤늦도록 지경 다지기를 하며 새롭게 건축되는 집이 튼튼하고 오래 가기를 기원했다. 지경 다...
-
충청남도 천안시에서 전해지는 월하노인이 맺어 준 배필에 관한 이야기. 「지난 일을 얘기하는 바람에 해로하지 못한 부부」는 총각이 월하노인이 맺어 준 첫 번째 연분을 거부하고 두 번째 맺어 준 연분을 만나 환갑이 되도록 살았으나, 지난 일을 말하는 바람에 집에서 쫓겨난 이야기이다. 「지난 일을 얘기하는 바람에 해로하지 못한 부부」는 2010년 주경미가...
-
충청남도 천안시에서 전해 내려오는 효부 이야기. 「시어머니 눈뜨게 한 효부」는 눈먼 시어머니를 지렁이로 봉양하고 결국은 개안하게 한 며느리 이야기로, 개안 설화, 효부담에 속한다. 「시어머니 눈뜨게 한 효부」는 천안시에서 다섯 편이 채록되었다. 단국 대학교 교수 강영순이 2010년 2월 3일 채록하여 성환 문화원에서 2010년 2월에 발간한 『천안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