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도끼 정승 원두표」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502145
한자 -政丞元斗杓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설화
지역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광덕면 매당리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김동욱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채록|수집|조사 시기/일시 1988년 6월 27일 - 상명 대학교 구비 문학 연구회에서 채록
수록|간행 시기/일시 1996년 10월 5일 - 『구비 문학 대관』에 수록
수록|간행 시기/일시 1998년 6월 30일 - 『천안의 민담과 설화』에 수록
관련 지명 광화문 - 서울특별시 종로구 세종로 1-57
채록지 매당리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광덕면 매당리 지도보기
성격 민담|발복담|전설|인물담
주요 등장 인물 막내딸|원두표|정승
모티프 유형 쫓겨난 여인의 발복|아내의 내조로 출세한 사내

[정의]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광덕면 매당리에 전하는 원두표의 인물 전설.

[개설]

「도끼 정승 원두표」는 누구 덕에 사느냐는 아버지의 질문에 제 복에 산다고 말하여 쫓겨난 여인의 발복담이다. 여인은 머슴 출신인 원두표의 능력을 알아보고 현명하게 내조하여 출세를 시켰다. 원두표(元斗杓)[1593~1664]는 인조반정(仁祖反正)[1623년, 광해군 15]에 가담하여 정사공신(靖社功臣)[인조반정의 공신에게 내린 훈호] 이등에 책록되고, 벼슬이 좌의정에 이른 인물이다.

[채록/수집 상황]

1988년 6월 27일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광덕면 매당리에서 상명 대학교 구비 문학 연구회에서 현광천[75세, 남]에게 채록하여 1996년 천안 문화원에서 발간한 『구비 문학 대관』에 수록하였다. 또한 민병달·이원표 등이 조사하여 1998년 천안 문화원에서 발간한 『천안의 민담과 설화』에도 유사한 내용이 수록되어 있다.

[내용]

어느 정승에게 세 딸이 있었다. 하루는 정승이 세 딸에게 누구 복에 사느냐고 묻자, 첫째와 둘째는 모두 부모님 덕에 산다고 하였으나 막내딸은 제 복으로 산다고 하여 집에서 쫓겨나고 말았다. 막내딸은 평소 집에 드나들던 머슴 원두표가 정승이 될 관상임을 알아보고 원두표를 남편으로 삼아 상경하였다. 원두표와 막내딸은 공덕리[지금의 서울특별시 마포구 공덕동]에 거처를 마련하였다.

그 무렵 한성[지금의 서울특별시]에서는 서인(西人) 일파가 새 임금을 옹립하려고 꾀하고 있었다. 막내딸은 이러한 사실을 알아내고 원두표에게 『통감』의 한 대목을 접어주면서 서인 일파가 모여 있을 때 그 대목을 펼쳐 보이며 글을 가르쳐 줄 것을 부탁하라고 시켰다. 원두표가 시킨 대로 하자 서인 일파는 자신들의 계획을 원두표가 알고 있는 것에 깜짝 놀라면서 원두표의 집으로 찾아가겠다고 약속하였다. 약속한 대로 서인 일파가 찾아오자 막내딸은 음식과 술을 정성껏 장만하여 대접하였다. 서인 일파는 자신들의 계획을 원두표에게 알리면서 반정 거사를 하는 날 원두표에게 광화문(光化門)을 도끼로 부수게 하였다. 반정이 성공한 뒤 원두표는 공신으로 책록되었고, 계속 벼슬이 높아져 정승 자리에 이르렀다. 이런 연유로 사람들은 원두표를 ‘도끼 정승’이라고 부르게 되었다.

[모티프 분석]

「도끼 정승 원두표」는 「쫓겨난 여인 발복」 설화와 결합한 인물 전설이다. 「쫓겨난 여인 발복」에서도 누구 덕에 먹고사느냐는 아버지의 물음에 막내딸이 자기 복에 산다고 대답하여 쫓겨난다. 막내딸은 가난한 숯구이 총각을 만나 혼인을 한 뒤 숯 구덩이에서 금덩이를 발견하여 큰 부자가 된다. 그리고 거지가 된 아버지를 다시 만나 모시고 잘 살게 된다. 「쫓겨난 여인 발복」과 머슴 출신인 원두표가 아내의 내조로 인조반정 때 선봉으로 공을 세워 이등 공신이 되었다는 인물 전설이 결합한 이야기가 「도끼 정승 원두표」이다. 반가 출신인 원두표를 머슴 출신이라고 하고 신분 상승을 이루게 한 것으로 미루어 서민 계층에서 생긴 이야기로 보인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