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원거 성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501008
한자 原居姓氏
분야 성씨·인물/성씨·세거지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충청남도 천안시
시대 조선/조선 후기,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김경수

[정의]

조선 후기와 일제 강점기 때 천안군 지역에서 300년이 넘게 거주한 성씨.

[개설]

1852년에 편찬된 천안 군지인 『영성지(寧城誌)』에 기록된 성씨를 보면, 10세[30년을 1세로 보아 대략 300년 정도의 기간] 이상 군에 거주한 원거 성씨는 천안 전씨(天安全氏) 39명부터 은진 송씨(恩津宋氏) 1명까지 모두 34개 성관의 228명이 기록되어 있다. 이를 정리하면 다음 표와 같다.

@@GC04501008_01_천안의 원거 성씨.hwp

위 표에서 보듯이, 원거 성씨에서는 천안 전씨, 원주 원씨(原州元氏), 고흥 유씨(高興柳氏), 안성 이씨(安城李氏), 남양 서씨(南陽徐氏), 성주 현씨(星州玄氏), 창원 유씨(昌原兪氏) 등의 성세(姓勢) 두드러져 보인다. 10명 이상의 가문만 보면, 모두 173명으로 전체의 73%에 해당된다. 이는 이들 가문의 재지에서의 영향력이 여전히 상당할 정도로 작용했을 것이라는 추정을 가능하게 한다.

이와 함께, 재지 사족 세력으로 행세하기 위한 요건 중 다른 하나는 동일한 지역에서 여러 대에 걸쳐 세거하는 것도 중요하게 작용했다. 특히 『영성지』의 원거 성씨에 기록되어 있는 입향조와 세거지의 정리는 이를 잘 보여 주고 있다.

한편 향촌사회에서 양반지배계층으로 행세하기 위해서는 특정 지역의 입향 이후 집성촌을 이루는 등 여러 대에 걸쳐 세거함으로써 그 지역에서 인정을 받아야 했다. 특정 지역을 중심으로 일정한 성관의 사람들이 세거하여 이루어진 촌락 형태로 조선 후기에 광범하게 존재했던 동족 마을은 향촌 사회에서의 영향력 발휘와 무관하지 않은 것이다. 양반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 여건 중에 벼슬의 유무와 혼인 관계 등 정치적·사회적 여건이 차지하는 비중도 크지만 그에 못지않게 한 지역에서의 세거 여부도 중요하게 작용했기 때문이다. 이를 파악하고자 일제 강점기의 자료를 보면, 먼저 1920년대 중반 이후 1930년대까지의 인구 및 동족 촌락 등에 대하여 총독부가 조사한 충청남도 시·군별 현황은 다음 표와 같다.

@@GC04501008_02_충청남도 시·군별 현황

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1930년 현재 천안은 충남의 14개 시·군 중에서 인구는 7번째, 5년간 인구 증가율은 청양 보다 높을 뿐 거의 최하위이다. 취업자 수와 동족 촌락의 수는 아홉 번째, 유림의 수는 두 번째이다.

인구수가 중간인 것은 일제 강점기 이후 천안이 대전과 공주 등 신흥 내륙 도시와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성장이 더딘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동족 촌락과 유생의 수만으로 유교 전통의 고수 여부와 계승 정도를 가늠하기 어렵지만, 이 시기까지 재지 사족의 세력이 강했음은 짐작할 수 있다. 조선 시기 이래의 성리학적 질서와 재지 사족의 향촌 사회 지배 체제가 여전했음을 입증하는 근거라고 할 수 있다.

원거 성씨에 관한 『영성지』에서의 이러한 기록은 옛 천안군의 자료로, 당시 직산현목천현의 상황은 포함되지 않은 한계가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