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500695 |
---|---|
한자 | 天安長山里石佛立像 |
분야 | 종교/불교,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물/불상 |
지역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수신면 장산리 643-26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김한상 |
문화재 지정 일시 | 1997년 8월 5일![]() |
---|---|
문화재 지정 일시 | 2021년 11월 19일 - 천안장산리석불입상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재지정 |
현 소장처 | 천안장산리석불입상 -
충청남도 천안시 수신면 장산리 643-26
![]() |
성격 | 불상 |
재질 | 화강암 |
크기(높이, 둘레, 너비) | 191㎝[높이]|56㎝[둘레]|52㎝[머리 둘레] |
소유자 | 장산리 마을 |
관리자 | 장산리 마을 |
문화재 지정 번호 |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
충청남도 천안시 수신면 장산리에 있는 조선 후기 석불 입상.
천안장산리석불입상(天安長山里石佛立像)은 화강암으로 만들어진 석불로 1997년 8월 5일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356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충청남도 문화재자료로 재지정되었다.
천안장산리석불입상은 장산리 마을 입구에 있는 석불로 원형에 가까운 직사각형의 대좌 가운데 부분을 파서 세워졌다. 높이 191㎝, 둘레 56㎝ 머리 둘레 52㎝이며, 화강암으로 만들어진 입상이다.
전체적으로 조각된 선이 뚜렷하고 몸체에 비해 머리 부분이 크고 어깨는 좁다. 얼굴의 코와 눈 부위는 심하게 손상되었는데 손상된 부분에는 시멘트를 발라 놓았다. 목에는 3개의 주름인 삼도(三道)가 새겨져 있다. 법의가 양 어깨를 가린 형식이며, 배 앞에 속옷의 끈을 묶는 매듭이 양쪽으로 나 있다. 손은 배 앞에 모으고 양손의 엄지를 맞대고 있으며, 발과 발가락은 뚜렷하게 조작되었지만 일직선으로 자른 듯 부자연스러운 모습이다.
천안장산리석불입상은 석불에서는 잘 보이지 않는 선정인(禪定印)을 하고 있는데, 이는 부처님이 선정에 든 것을 상징한다.
불상 근처 길옆에는 비석이 서 있다. 비석에는 정면에는 ‘강희(康熙) 50년[1716년, 숙종 42년]’이라고 새겨져 있고, 뒷면에는 시주한 사람들의 이름이 새겨져 있다. 이 비석을 통해 불상도 비슷한 시기에 만들어졌을 것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