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500683
한자 天安廣德寺高麗寫經
분야 종교/불교,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문헌/전적
지역 충청남도 천안시
시대 고려/고려 후기,조선/조선 전기
집필자 김한상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문화재 지정 일시 1963년 9월 2일연표보기 - 천안 광덕사 고려사경 보물 제390호로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천안 광덕사 고려사경 보물 재지정
현 소장처 동국 대학교 박물관 - 서울특별시 중구 필동 3가 26
현 소장처 국립 중앙 박물관 - 서울특별시 용산구 용산동 6가 168-6
원소재지 광덕사 - 충청남도 천안시 광덕면 광덕리 640 지도보기
성격 사경
재질 감지|다지
크기(높이, 길이, 너비) 42㎝×14.5㎝[감지 은니 묘법연화경]|34㎝×12.5㎝[다지 은니 묘법연화경]|23.3㎝×11.4㎝[다지 은니 법화경]
소유자 광덕사
관리자 동국 대학교 박물관|국립 중앙 박물관
문화재 지정 번호 보물

[정의]

충청남도 천안시 광덕면 광덕리 광덕사에 전해지는 고려 말부터 조선 초기의 사경.

[개설]

사경(寫經)은 불경의 내용을 정성스럽게 옮겨 적은 것으로, 천안 광덕사 고려사경(天安廣德寺高麗寫經)은 천태종의 근본 경전인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을 옮겨 적은 것이다.

광덕사에는 고사경(古寫經)이 10책 전해지는데 이 가운데 6책만이 보물로 지정되었다. 이는 『감지 은니 묘법연화경(紺紙銀泥妙法蓮華經)』 권2, 4, 5, 6권 4책과 형태가 다른 『다지 은니 묘법연화경(茶紙銀泥妙法蓮華經)』 권4, 『다지 은니 법화경』 권4이다. 『감지 은니 묘법연화경』 권2, 4, 5, 6책은 2013년 현재 동국 대학교 박물관에서 보관하고 있으며 권 1, 7은 국립 중앙 박물관에서 보관하고 있다. 권 3이 사라진 점이 아쉽다. 7권의 사성기를 통해 1422년(세종 4)에 사성되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형태]

『감지 은니 묘법연화경』 권2, 4, 5, 6책은 병풍처럼 펼쳐서 볼 수 있는 형태로 되어 있으며, 접었을 때의 크기가 세로 42㎝, 가로 14.5㎝이다.

『다지 은니 묘법연화경』 권4 역시 병풍처럼 펼쳐서 볼 수 있는 형태로 되어 있으며, 접었을 때의 크기는 세로 34㎝, 가로 12.5㎝이다. 이 책은 본래 권4, 5, 6의 3책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그 가운데 4권만 지정되었다.

또 다른 『다지 은니 법화경』 권4는 같은 형태이지만, 크기가 세로 23.3㎝, 가로 11.4㎝이다.

[특징]

『감지 은니 묘법연화경』 권2, 4, 5, 6책은 각 권의 변상도(變相圖)는 모두 오른쪽에 설법도, 왼쪽에 경문의 변상 장면이 그려져 있다. 변상도의 양식은 존상의 표현과 장식 문양 등에서 고려 시대의 변상도보다 도식화된 양상을 보이며 필선도 다소 경직되어 있다. 전체적으로 손상이 거의 없으며 사경류(寫經類) 가운데 그 규격이 상당히 크며 수작으로 꼽힌다. 각 권의 표지는 보상화 4송이가 주로 은니를 사용하여 그려져 있다.

『다지 은니 묘법연화경』 권4 는 상하 쌍변(上下雙邊)과 계선을 금니(金泥)로 긋고 은니(銀泥)로 경문을 썼는데 반면(半面)에 6행 17자이다. 표지가 완전하며 책머리에 금니로 그린 변상도가 있다. 일반 변상도에 비해 굵은 선을 썼고 그 기법이 매우 우수한 데 반해 글씨는 그에 미치지 못한다.

또 다른 『다지 은니 법화경』 권4는 상하 단변(上下單邊)과 계선을 긋고 은니로 경문을 썼다. 반면 6행 17자로 이루어졌다. 지질은 본래의 색을 잃고 바랬으나 글씨는 그 수준이 높다. 권의 첫머리에는 불경의 내용을 요약하여 묘사한 변상도가 금색으로 그려져 있다.

[의의와 평가]

『감지 은니 묘법연화경』 권2, 4, 5, 6권은 단정한 서체가 1415년(태종 15) 사성된 내소사 사경[보물 제278호]과 유사하며 『다지 은니 묘법연화경』 권4 역시 그 상태가 양호하여 고려 말과 조선 초기 사경의 양식을 추정하는 데 도움이 된다. 1963년 9월 2일 보물 제390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보물로 재지정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