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주광역시 지역에서 여러 대에 걸쳐 살아오고 있는 성씨에 대한 개관. ‘씨(氏)’는 사람 이름에 붙여 쓰는 높임말이다. ‘성(姓)’은 혈연 관계를 나타내는 칭호이다. 옛날의 성은 낳은 어머니를 뜻하였으나 점차 사회제도가 부계사회로 정착되면서 한 시조를 내세워 그 후손들이 다같이 쓰는 부호가 되었다. 중국의 신화시대라 할 삼황오제시대는 모계사회였던 것으로 짐작된다. 중국 민족의 시조...
-
김준을 시조로 하는 광주광역시의 세거 성씨. 개성김씨(開城金氏)는 조선 초엽 광주의 향리를 맡기 위해 전입된 속성(續姓) 4성 중의 한 성씨이다. 조선 개국 후 지방행정구역 개편과 함께 그 지방 통치를 위한 향리들의 부분적인 이동이 필요했던 듯 싶다. 고려 태조 왕건이 삼국을 통일한 뒤 친위세력을 포상하고, 각 고을을 분정하고 본관 성씨를 부여한 뒤 고착된 지방세력의 개편이 필요했...
-
최치원을 시조로 하는 광주광역시의 세거 성씨. 『삼국사기』에 따르면, 우리나라 최씨는 신라 2대 유리왕 9년인 서기 32년에 6부에 사는 사람들에게 성을 정해줄 때 사량부(沙梁部)에 내린 성씨이다. 실제 인물은 신라 말엽 당나라에 유학 갔다 온 최치원(崔致遠)[859~?]이 최초라 최치원을 경주최씨의 시조로 모신다. 광주 양과동을 중심으로 사는 경주최씨 중 최형한(崔亨漢)은 148...
-
김흥광을 시조로 하는 광주광역시의 세거 성씨. 광산김씨는 조선시대 문과급제자를 269명이나 내 조선조 5대 명문에 속한 집안이다. 사계 김장생(金長生)[1548~1631]과 아들인 신독재(愼獨齋) 김집(金集)[1574~1656]이 문묘에 배향되어 명문으로 꼽힌다. 14세 양간공 김연(金璉) 집안을 경상북도 예안파라고도 하며, 그 후손이 김장생으로 13세손이다. 양간공 예안파에서만...
-
노수를 도시조로 하고 노만을 파조로 하는 광주광역시의 세거 성씨. 국내 노씨(盧氏)들은 당나라에서 귀화했다는 노수(盧穗)를 도시조로, 노수의 아들이라는 9명을 각각 본과 파조로 삼고 있다. 노수와 아들들이 한반도에 건너온 것은 당나라에서 일어난 안녹산의 난 때라고 한다.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에는 국내 노씨 본관을 137본으로 적고 있으나 2000년 국내 인구 조사 때 52...
-
박혁거세를 시조로 하는 광주광역시의 세거 성씨. 국내 3대 성에 속하는 박씨는 먼 시조를 신라 개국조인 박혁거세에 두고, 세계(世系)가 가능한 본관만 169관(貫)에 달한다[2000년 통계]. 『증보문헌비고』에는 310본(本)이 적혀 있으나 많이 줄어든 셈이다. 광산박씨는 『신증동국여지승람』 등 광산 향토지에 광산현 토성으로 나오는 광산 본관 박씨이다. 광주 고을에서 조선시대 박씨...
-
광주광역시의 세거 성씨. 광산성씨(光山成氏)는 조선 초기 『신증동국여지승람』에 광산현 토성 13성씨 중 하나로 나오는 광산 본관 성이다. 성씨(成氏)는 국내 37위의 성씨로 시조를 달리하는 15본관으로 나눌 수 있다.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를 보면 옛날에는 본관이 52본에 달했으나 많이 합해지거나 없어졌다. 광주 본관 성씨도 그 중의 한 성씨이다. 조선 초기 광주의 18대...
-
광주광역시에서 승개를 시조로 하고 승우를 입향조로 하는 세거 성씨. 광산승씨(光山承氏)는 고려 정종 때 사람 승개(承愷)를 시조로 하고, 본관은 광산이다. 광주광역시 광산승씨 입향조는 승우(承祐)이다. 광주광역시에는 12가구 72명이 거주하고 있다....
-
유홍을 시조로 하는 광주광역시의 세거 성씨. 광산유씨(光山庾氏)는 『세종실록지리지』에 광산현 촌성(村姓)으로 나오는 성씨이다.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에는 유금필(庾黔弼)을 시조로 하는 평산유씨와 유필(庾弼)[?~1155]을 시조로 하는 무장의 무송유씨(茂松庾氏)에 대한 설명이 있다. 고려 의종 때 평장사를 지낸 유필은 본디 유금필의 후손으로 분적했다고 덧붙이고 있다. 두 본...
-
이순백과 이숙백을 시조로 하는 광주광역시의 세거 성씨. 『세종실록지리지』와 『신증동국여지승람』에 광주 토성으로 기재된 14성 중 한 성씨이다. 광산이씨 집안에서는 광주 세거 자손들이 중심에 서서 이순백(李筍白)[한림공], 이숙백(李淑白)[상서공], 이승백(李升白)[제학공]의 3형제를 기일세(起一世) 할아버지로 세계를 이어왔다. 셋째 집 이승백계는 7세 이후 개성을 중심으로 살았으나...
-
광주광역시의 세거 성씨. 광산장씨는 『신증동국여지승람』 등 광산 향토지에 나오는 광산 본관 장씨이다. 장(張)씨는 국내 9위의 성씨로 『증보문헌비고』에는 245본관을 기록하고 있으나 현존 장씨 본관 수는 61본이다. 전국 장씨 91만 9339명 중 인동장씨가 64.3%를 차지한다. 인동은 안동의 옛이름이므로 같은 고장을 뜻하고 있지만, 인동장씨는 장금용(張金用)을 시조로 하고 안동...
-
정신호를 시조로 하는 광주광역시의 세거 성씨. 『세종실록지리지』에 광산현 토성 13성 중 일곱 번째 성씨로 정(鄭)씨가 나온다. 조선조 광산현 인물란의 세 번째로 정구진(鄭龜晉)이 나온다. 정씨 집안은 광산 본관을 쓰는 집안과 광주 본관을 쓰는 문중으로 나뉘어오다가 1978년 대동보를 만들 때 모두 광주정씨로 통일하기로 합의하였다....
-
광주광역시의 세거 성씨. 광산진씨(光山陳氏)는 『신증동국여지승람』에 광산현 13토성 중 하나로 나오는 광산 본관 진씨이다. 진씨는 국내 49위 성씨로 본관 수가 『문헌비고(文獻備考)』에는 127관(貫)에 달했으나 2015년에는 47본(本)이 남았다. 그 중 가장 많은 인구의 본관은 여양진씨로 9만 7,372명이며, 광주에도 3,764명이 살고 있다. 고려 말엽이나 조선조 초엽 토성...
-
채순희를 시조로 하는 광주광역시의 세거 성씨. 채(蔡)씨 성은 국내 52위의 성씨로 본관이 12관에 달한다. 전국에 11만 5000여 명이 살고 있으며 최대 본관은 평강(平康)이다. 강원도 평강군을 선조의 고향으로 하는 평강채씨의 시조는 채경연(蔡敬延)으로 채경연의 현손 채송년(蔡松年)[?~1251]이 최충헌의 신임을 받으며 대중군을 거쳐 중서시랑평장사를 지내 집안을 일으켰다. 현...
-
탁지엽을 시조로 하는 광주광역시의 세거 성씨. 광산탁씨는 『광산탁씨족보』에서 시조를 고려 13대 선종[재위 1083~1094] 때 사람 탁지엽(卓之葉)이라고 정리하고 있다. 다만 『증보문헌비고』에서는 시조를 탁문영(卓文英) 호장으로 적고, 4세가 탁사정(卓思政)이라 하여 혼란스럽다....
-
허황옥을 시조로 하는 광주광역시의 세거 성씨. 허씨는 국내 29위의 성씨로 멀리 그 연원을 가락국 김수로 왕비 허황옥에 두지만, 주로 고려 이후 세계파조를 중심으로 32본관으로 나뉘어 있다. 가장 큰 집안이 양천허씨로 13만여 명이고 김해허씨가 12만여 명으로 그 뒤를 쫓는다....
-
반충을 시조로 하는 광주광역시의 세거 성씨. 광주반씨(光州潘氏)는 조선 초기 향토자료인 『신증동국여지승람』 광산현 토성으로 나오는 세거 성씨이다. 국내 반씨는 80위 성씨로 현재 12본관으로 나뉘어 2만 3216명이 살고 있다. 그 중 거제(巨濟) 본관이 대표적으로 거의 반수인 1만여 명이며, 광주 본관 반씨도 6,660명으로 적지 않은 편이다. 『증헌문고비고』를 보면 거제반씨 시...
-
오원을 시조로 하는 광주광역시의 세거 성씨. 본디 나주오씨는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 나주목 토성으로 나오는 61성 가운데 하나로 나주 본관 성씨로 나주목 9대 성씨에 속하였다. 고려 2대왕 혜종(惠宗)[재위 943~945]의 어머니 장화왕후를 나주오씨 다린군(多僯君)의 딸로 기록하고 있으나 시조에 대한 언급은 없다....
-
광주광역시의 세거 성씨. 부곡김씨는 『세종실록지리지』 무진군(茂珍郡) 토성 항목에 광주 3대 부곡(部曲)의 성씨로 나오는 김씨이다. 향·소·부곡(鄕·所·部曲)은 삼국시대 이후 조선 초기까지도 하나의 행정단위로 존재했던 특수지역이다. 광주광역시에 있던 양과(良瓜)[남구 대촌동 양과리], 경지(慶旨)[광산구 하남동과 흑석동], 벽진(碧津)[서구 서창동] 등 세 곳은 옛날 바닷가였거나...
-
정사조를 시조로 하는 광주광역시의 세거 성씨. 『세종실록지리지』(1454년) 무진군(茂珍郡) 토성 항목에 13성이 실려 있고, 촌(村)성으로 유(庾)씨를 적은 뒤 속성(續姓)이라 하여 개성김씨(開城金氏), 금산정씨(錦山程氏), 고흥신씨(高興申氏), 강진최씨(康津崔氏)의 4성을 덧붙이고 있다. 이 4성은 모두 향리(鄕吏)로 못 박았던 탓인지, 권문해는 『대동운부군옥(大東韻府群玉)』을...
-
이언을 시조로 하고 이계인을 입향조로 하는 광주광역시의 세거 성씨. 1924년 간행된 『광주읍지』에 보면 광주 고을에서 조선시대 두 번째로 과거에 급제한 인물을 배출한 성씨가 함평이씨 이극(李克)으로 나온다. 이는 그동안의 향토지들이 사실에 근거하지 않고 편집자들이 편향된 인물란을 구성했던 것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물론 이 같은 오류는 1792년의 『광산지』에서도 발견되기 시작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