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60004418 |
---|---|
한자 | 婚姻門- |
분야 | 생활·민속/민속 |
유형 | 의례/제 |
지역 | 광주광역시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정혜정 |
의례 장소 | 무등산 산제당 - 광주광역시 동구 소태길 245[소태동 121] |
---|---|
성격 | 무속 신앙 |
[정의]
전라남도 광주 지역에서 혼인 운이 생기기를 기원하며 행하는 굿.
[개설]
혼인문여는 굿은 혼인(婚姻)을 못한 사람의 삼재(三災)를 막고 혼인 운이 생기기를 기원하면서 행하는 굿이다. 자식들이 결혼을 못할 경우에 부모들이 주로 청한다고 한다.
[신당/신체의 형태]
2009년 광주광역시 서구에서 신당을 운영하는 김보살이 무등산 산제당에서 혼인문여는 굿을 하였다. 이때 굿상은 2단으로 꾸몄다. 첫 번째 단에는 면, 과일, 전, 나물, 국, 밥, 홍어, 막걸리, 소주 등을 차렸다. 두 번째 단에는 떡과 국수를 올렸다. 떡은 시루떡과 인절미이다.
[절차]
김보살이 행한 굿의 진행 과정은 '경문-조상맞이-내전(內奠)' 순이다. 경문과 조상맞이 사이에 쉬는 시간을 가졌는데, 이때 의뢰자들에게 공수[무당이 신의 소리를 내는 일]를 주며 다 해결될 것이라고 전했다고 한다. 경문이 낭송될 때 보살들은 삼재맥이 부적 옷과 북어를 손보거나 신칼 등의 무구(巫具)를 만들기도 하였다. 굿 중간에 의뢰자를 엎드리게 하여 여기저기를 주무르며 치병 행위를 하기도 하였다. 내전을 할 때에는 굿방 밖에서 맥이가 이루어졌다. 이 굿은 늦도록 장가를 못 간 두 아들을 둔 의뢰자가 굿을 청해 이루어졌다.
[부대 행사]
사자상(使者床) 주변에 굵은 소금과 팥을 뿌린 뒤 굿당으로 들어간다.
[현황]
오늘날 광주광역시에서는 무등산 등지에 있는 굿당에서 혼인문여는 굿 외에도 여전히 굿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