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신응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1870
한자 申應河
영어공식명칭 Sin Eungha
이칭/별칭 경문(景文)
분야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유형 인물/문무 관인
지역 광주광역시
시대 조선/조선 전기
집필자 이바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몰년 시기/일시 1592년연표보기 - 신응하 사망
성격 문신
성별
본관 고령(高靈)
대표 관직 교관(敎官)

[정의]

조선 전기 전라도 광주 출신의 문신.

[가계]

신응하(申應河)[?~1592]의 본관은 고령(高靈)이다. 할아버지는 신공제(申公濟), 아버지는 신련(申漣)이다. 부인은 김백균(金白勻)의 딸 울산김씨(蔚山金氏), 아들은 신어(申御), 신호(申淏), 신결(申潔)이다. 사위는 정묘호란(丁卯胡亂) 때 안주(安州)에서 순절한 송도남(宋圖南)이다.

[활동 사항]

신응하는 전라도 광주 출신으로, 성품이 강개하였으며 이익을 좇지 않았다. 음직(蔭職)으로 교관(敎官)을 제수(除授)받았다. 신응하고경명(高敬命)[1533~1592]과 교유하였는데, 고경명이 그를 전송하며 쓴 시 「송신경문환경(送申景文還京)」이 『제봉집(霽峯集)』에 실려 있다. 신응하는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이 발발할 당시 서울에 있었다. 신응하고경명과 의병을 일으키기로 약속하고 집의 재산을 털어 가동(家僮)[한 집안의 노복(奴僕)]과 세 아들 신어, 신호, 신결을 데리고 경기도 과천(果川)에 이르렀다. 신응하는 왜군을 만나 꾸짖으며 굴복하지 않았으나 죽임을 당했다. 가동이 신응하의 시신을 수습해 죽은 곳에 묻었는데, 뒤에 사람들이 그곳을 입의동(立義洞)이라 불렀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