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60005848 |
---|---|
한자 | 白雲高架道路 |
영어공식명칭 | Baegun High-level Road |
이칭/별칭 | 백운고가교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도로와 교량 |
지역 | 광주광역시 남구 백운동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백현명 |
준공 시기/일시 | 1989년 - 백운고가도로 개통 |
---|---|
증설|폐설 시기/일시 | 2020년 11월 30일 - 백운고가도로 철거 |
전구간 | 백운고가도로 - 광주광역시 남구 백운동 |
해당 지역 경유 구간 | 백운고가도로 - 광주광역시 남구 백운동 |
성격 | 고가도로 |
길이 | 383m |
차선 | 4차선[왕복] |
폭 | 15.5m |
[정의]
광주광역시 남구 백운동에 있던 고가도로.
[개설]
광주광역시 남구 백운동에서 주월동을 연결하고 남구의 관문 역할을 하였던 도로였으나, 2020년 11월 30일 폐설되었다.
[명칭 유래]
백운고가도로는 광주광역시 남구에 있는 백운동의 동명에서 유래한 도로명이다.
[제원]
백운고가도로는 왕복 4차선의 도로로 총 길이는 383m, 총 폭은 15.5m, 유효 폭 14.2m, 높이는 5.5m이다. 경간 수는 6개이고, 최대 경간장은 42.5m이다. 상부구조 형식은 강 상자형교이고, 하부구조 형식은 T형 교각식이다. 설계하중은 DB-24가 적용되었다.
[건립 경위]
백운고가도로는 경전선 철길이 서광주역 방향으로 이설되기 이전까지 경전선은 광주광역시 시내 광주역에서 효천역 구간을 지나갔고, 평면으로 교차하는 차량이 많아 시내 교통 체증이 매우 심각하였다. 특히 백운교차로는 광주광역시에서 전라남도 나주시 구간을 진입출하는 통과로여서, 엎친 데 덮친 격으로 교통체증이 가중되었다. 또한 1980년대부터는 백운교차로와 연결되는 남구의 진월동과 주월동, 봉선동 지역이 새롭게 개발되면서 교통량이 비약적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측되던 시점이었다. 이러한 이유로 이 구역 교통의 개선이 필요하여 백운고가도로가 가설되었고, 경전선 철길을 입체교차로로 하면서 제1순환로의 교통이 원활해졌다.
[변천]
백운고가도로는 1989년 완공되어 광주광역시 남구로 통하는 관문 역할을 하였으나, 남구를 경유하던 경전선이 서광주역 방향으로 이설되면서 철거 논의가 나오기 시작하였다. 이후 광주 도시철도 2호선을 저심도 공법으로 건설하는 것으로 확정되면서, 백운고가도로는 폐설의 수순을 밟았다. 2020년 11월 30일 철거가 완료되어서 역사 속의 도로로 사라졌다. 백운고가도로를 철거하면서 나온 폐기물 양이 1만 1300여 톤에 달하였다.
[현황]
1989년 개통된 백운고가도로는 2020년 철거가 확정되기 전까지 광주광역시 종합건설본부가 관리하였다. 백운고가도로가 철거된 자리는 2023년까지 도시철도와 총 연장 945m의 지하차도로 대체될 예정이다. 또한 백운광장이라는 이름에 걸맞게 인파가 모이는 광장으로 구색을 갖추기 위하여 남구에서는 일대의 상권을 활성화시키고, 푸른길공원과 잇기 위하여 랜드마크로 공중 보행로와 남구청사 미디어 파사드 설치를 추진하고 있다. 또한 일대에 청년 특화거리도 조성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