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신가동 선창마을 풍수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5358
한자 新佳洞船倉-風水
분야 생활·민속/생활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광주광역시 광산구 신가동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경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전구간 신가동 선창마을 - 광주광역시 광산구 신가동 지도보기
성격 풍수

[정의]

광주광역시 광산구 신가동 선창마을에 대한 풍수 해석.

[개설]

선창마을광주광역시 광산구 신가동에 있는 마을로 ‘배 형국’을 하고 있다.

[명칭 유래]

1789년 『호구총수』에 '선창(仙倉)', 『한국지명총람』 광산군 비아면 신가리(新佳里)에 '선창리'가 보인다.

[자연환경]

동쪽으로 영산강 본류 극락강, 서쪽으로 전라남도 장성군 남면에서 발원한 풍영천이 흐르고 있다. 두 냇물의 사이 나지막한 능선에 선창마을이 에워싸여 있다. 산등성이가 둘러친 옴팍한 지형 탓에 주민들은 ‘배 형국’이란 인식을 하였다. 동네 앞 ‘점동골’은 누대에 걸쳐 온 문전옥답이다.

[현황]

예로부터 함부로 우물을 파서는 안 된다는 금기가 전해졌다. 배밑창을 뚫는 행위는 마을 운세를 좀 먹는 행위로 간주되었기 때문이다. 과거 모정 근처 ‘통시암[바가지시암]’이 유일한 식수 공급처였다. 들에는 또랑·개·오가리·수랑·짐대·버드·바우시암과 같은 샘들이 농업용수원이었다. 우물굴착을 금지하는 생활 규범은 식수용에만 적용되었다. 대부분 논이 물 부족이 심한 천수답이었기 때문이다. 빈번한 가뭄으로 기우제가 ‘무제등’에서 행하여지기도 하였다.

짐대시암에는 장대에 오리를 올려놓은 모습을 지닌 짐대[솟대]가 있었다. 배 형국에 돛대를 세워야 마을에 복이 깃든다고 믿어 세웠다고 한다. 예전 마을 앞에 긴 솔숲이 띠를 두루고 있어 길손이 안쪽 마을 모습을 쉬 볼 수 없을 정도였다고 한다. 촌전 마을숲이 배 형국에서 무사안녕과 번영을 기대하며 조성하였다고 전한다. 배 형국과 관련하여서는 ‘무너미고개’란 지명도 있다. 동네이름의 풀이 중 ‘배가 들고나던 마을’이란 뜻으로 ‘선창(船艙)’으로 표기한 경우도 있다. 물 부족과 관련된 풍수인식으로 풀이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