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60005171 |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
유형 | 작품/문학 작품 |
지역 | 광주광역시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김주선 |
[정의]
소설가 송기숙이 5.18광주민주화운동을 소재로 쓴 단편소설.
[개설]
「우투리」는 송기숙이 5.18광주민주화운동에 참여하게 되는 노동자의 시선을 소재로 쓴 단편소설이다. 노동자이자 방관자였던 현도의 시선을 통해 5.18의 참상을 그리고 있다. 1988년 『창작과비평』 여름호에 발표되었으며, 2012년 『5월문학총서. 2』에 수록되었다.
[저자]
송기숙(宋基淑)[1935~2021]은 전라남도 장흥에서 태어났다. 『현대문학』 평론 부문에 1964년 「창작과정을 통해 본 손창섭」과 1965년 「이상서설」을 추천받고 평론가로 등단하였다. 그러나 1966년에 단편 소설 「대리복무」를 발표하면서 소설가로 전환하여 「어떤 완충지대」[1968], 「백의민족」[1969], 「휴전선 소식」[1971], 「사모곡 A단조」[1971], 「어느 해 봄」[1972], 「지리산의 총각샘」[1973] 등을 발표하였다. 1972년 단편집 『백의민족』을 출간하여 제18회 현대문학상을 받은 이래 단편집 『도깨비 잔치』[1978], 『재수 없는 금의환향』[1979] 및 장편 소설 『자랏골의 비가』[1977], 『암태도』[1981], 『녹두장군』[1994], 『오월의 미소』[2000] 등을 간행하였다. 목포교육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 전남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민족문학작가회의 부회장과 상임고문, 한국작가회의 상임고문 등을 지냈다. 1973년에 받은 제18회 현대문학상 외에 1994년 제9회 만해문학상, 1995년 제12회 금호예술상, 1996년 제13회 요산문학상, 2019년 제12회 후광학술상 등을 받았다.
[내용]
1980년 5월 18일, 평범한 노동자 중 한 명인 현도는 전남대학교 정문 앞에서 공수부대에 두들겨 맞거나 기합 받고 있는 대학생들을 보게 된다. 현도는 대학생과 자신의 세계가 완전히 다르다는 생각을 하고 있었으므로 구경만 하다가 집으로 돌아온다. 그런데 평소 차갑게 굴던 미혜가 현도의 집으로 찾아와 밖이 위험하니 조심하라고 일러 준다. 현도는 미혜가 위험을 무릅쓰고 상황을 알려 주러 왔다는 사실에 감동하고, 대학생을 외면한 자신을 부끄럽게 생각한다. 자리에서 일어나 바깥으로 나간 현도는 친구들이 시내에 있다는 소식을 듣는다. 곧장 시내로 가는 현도의 눈에 공수부대의 잔인한 폭력과 시민들의 대항이 보인다. 마침내 친구 우투리를 찾은 현도는 함께 도망치자고 말했지만, 친구는 시민들 사이로 더 파고들어 간다. 집으로 숨어들어 온 현도는 자신에게 신세를 지려 하는 성민, 후식, 시호에게 공수부대의 끔찍한 만행을 듣고, 이 독재 정치하에서 가장 고통받는 자는 노동자라는 이야기도 듣는다. 다음 날 고향으로 피신하려는 현도의 눈에 공수부대가 시민들과 할머니까지 폭행하는 장면이 들어온다. 현도는 자신도 모르게 몽둥이를 들고 군중과 합류한다.
[특징]
송기숙 작가는 「우투리」에서 시민을 억새로 비유하면서 아무리 베여도 다시 돋아나는 시민의 힘을 강조하였다.
[의의와 평가]
「우투리」는 5.18광주민주화운동 당시 노동자의 입장에서 비롯된 사고와 각성 과정을 보여 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