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일와유고』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4770
한자 一窩遺稿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문헌/전적
지역 광주광역시
시대 근대/근대
집필자 고성혜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간행 시기/일시 1964년연표보기 - 『일와유고』 간행
소장처 전남대학교도서관 - 광주광역시 북구 용봉로 33[용봉동 300]지도보기
소장처 국립중앙도서관 - 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대로 201[반포동 산60-1]
성격 문집
저자 정제만
간행자 정경림
권책 2권 1책
행자 12행 24자
규격 27.5×18.6㎝[전체 크기]|21.8×16.1㎝[반곽]
어미 상하향이엽화문어미(上下向二葉花文魚尾)

[정의]

전라도 광주 출신의 근대 유학자인 정제만의 문집.

[저자]

정제만(鄭濟萬)[1872~1942]의 자는 시일(始一), 호는 일와(一窩), 본관은 광주이다. 아버지는 송은처사(松隱處士) 정해석(鄭海錫)이다. 나주적량방[지금의 광주광역시 광산구 북산동]에서 태어났다. 정제만은 일신재(日新齋) 정의림(鄭義林)[1845~1910], 월파(月坡) 정시림(鄭時林)[1839~1912] 등과 학문을 강론하며 후학 양성에 힘썼다.

[편찬/간행 경위]

『일와유고(一窩遺稿)』는 정제만의 아들 정경림(鄭京林)과 문하생이 정규종(鄭圭綜)에게 서문을, 노기우(盧基禹)·나도휘(羅燾輝)·김유술(金有述) 등에게 발문을 받아 1964년에 간행하였다.

[형태/서지]

『일와유고』는 2권 1책의 석인본이다. 전체 크기는 27.5×18.6㎝, 반곽(半郭)은 21.8×16.1㎝이다. 행마다 경계가 있다. 행자수는 12행 24자이며, 어미는 상하향이엽화문어미(上下向二葉花文魚尾)이다.

[구성/내용]

『일와유고』의 권1은 오언절구·칠언절구·칠언율시의 시, 권2는 서(書)·서(序)·묘지명(墓誌銘)·기(記)·가장(家狀)·제문·행장(行狀)·부록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일와유고』는 정제만의 동학농민전쟁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이나 갑오개혁에 대한 인식, 척사론을 개진한 글 등을 담고 있어 이 시기 국내외 정세에 대한 지식인의 인식과 태도를 알 수 있는 자료로서 가치가 높다.

[참고문헌]
  • 전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광주권문집해제』(광주직할시, 1992)
  • 국립중앙도서관(https://www.nl.go.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