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석서유고』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4752
한자 石西遺稿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문헌/전적
지역 광주광역시
시대 근대/근대
집필자 고성혜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간행 시기/일시 1955년연표보기 - 『석서유고』 간행
소장처 전남대학교도서관 - 광주광역시 북구 용봉로 33[용봉동 300]지도보기
성격 문집
저자 김상기
간행자 김호성
권책 5권 1책
행자 11행 22자
규격 28.9×20.5㎝[전체 크기]|20.3×15.4㎝[반곽]
어미 상하향이엽화문어미(上下向二葉和文魚尾)

[정의]

전라도 광주 출신의 근대 유학자 김상기의 문집.

[저자]

김상기(金相基)[1891~1954]의 자는 찬경(贊敬), 호는 석서(石西), 본관은 김해(金海)이다. 아버지는 가선대부(嘉善大夫), 한성부좌윤(漢城府左尹)을 지낸 초헌(蕉軒) 김용후(金容厚)이고 어머니는 밀양박씨(密陽朴氏)이다. 전라도 광주에서 태어났으며, 어릴 때에는 부친 김용후에게, 그 후에는 송사(松沙) 기우만(奇宇萬)[1846~1916], 현와(弦窩) 고광선(高光善)[1855~1910]에게 수학하였다. 노년에는 광주 월산동에 석서정사(石西精舍)를 짓고 문인들과 교유하며 지냈다.

[편찬/간행 경위]

『석서유고(石西遺稿)』는 아들 김호성(金鎬聖)이 유문을 수집하고, 광산(光山) 김문옥(金文鈺)이 쓴 서문과 함양(咸陽) 여창현(呂昌鉉)이 쓴 발문을 받아 1955년에 간행하였다.

[형태/서지]

『석서유고』는 5권 1책으로 되어 있으며 석인본이다. 전체 크기는 28.9×20.5㎝, 사주쌍변(四周雙邊)으로 반곽(半郭)은 20.3×15.4㎝이다. 행마다 경계가 있다. 11행 22자로 상하향이엽화문어미(上下向二葉和文魚尾)이다.

[구성/내용]

『석서유고』의 권1은 쌍청당[「쌍청당흥여긍공맥(雙淸堂與肯堂共麥)」], 동대재[「차송규현동호재운(次宋圭顯東壺齋韻)」, 「선적동방송동호(仙跡洞訪宋東壺)」], 만오정[「차만오정운(次晩悟亭韻)」], 엄이재[「근차엄이재운(謹次掩耳齋韻)」], 필암서원[「근차장성필암서원운(謹次長城筆巖書院韻)」]과 같은 이름난 누정, 서원 등을 그린 시와 무등산[「등무등산(登無等山)」], 원효사[「제원효사(題元曉寺)오수(五首)」] 등 산과 사찰을 유람한 후 지은 다양한 시로 구성되어 있다. 권2는 「상송사기선생(上松沙奇先生)」, 「상면우곽선생(上俛宇郭先生)」 등의 서(書), 권3부터 권5는 부록으로 수창시(酬唱詩), 왕복서찰(往復書札), 행장(行狀) 등이 실려 있다.

[의의와 평가]

『석서유고』에는 다수의 명승지를 유람하고 지은 글이 많다. 이들은 한 지역에 밀집되어 있지 않고 각 지역을 아우르고 있어 더욱 의의가 있다. 그 밖에도 시와 글 역시 당대의 감성과 상황을 느낄 수 있게 하여 문학적 가치가 높다.

[참고문헌]
  • 전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광주권문집해제』(광주직할시, 1992)
  • 국립중앙도서관(https://www.nl.go.kr)
  • 국회전자도서관(https://dl.nanet.go.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