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설강유고』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4699
한자 雪江遺稿
영어공식명칭 Seolgang-yugo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문헌/전적
지역 광주광역시
시대 조선/조선 전기
집필자 박세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간행 시기/일시 1905년연표보기 - 『설강유고』 간행
소장처 전남대학교도서관 - 광주광역시 북구 용봉로 77[용봉동 300]지도보기
성격 시문집
저자 유사
간행자 유시한|유영택
권책 4권[부록 2권 포함] 1책
행자 9행 18자
규격 22.3×16.5㎝[반곽(半郭)]
어미 내향이엽화문어미(內向二葉花紋魚尾)
권수제 설강유고
판심제 설강유고

[정의]

조선 전기 전라도 광주 지역에서 출생한 문신이자 유학자인 유사의 시문집

[개설]

『설강유고』는 16세기 전라도 광주 지역에서 활동한 유학자 유사의 행적과 시문을 엮어 1905년에 간행한 문집이다.

[저자]

유사(柳泗)[1502~1571]의 자는 중연(仲沿), 호는 설강(雪江), 본관은 서산(瑞山)이다. 1502년(연산군 8) 광주 유등곡면(柳等谷面)[현 광주광역시 남구 이장동]에서 부친 유희송(柳希松)과 모친 청송심씨(靑松沈氏) 사이에서 태어났다. 1528년(중종 23)에 급제한 후 대체로 무장(茂長)·종성(鍾城)·삭주(朔州) 등의 외지에서 관료 생활을 하였는데, 재임 중에 선정을 베풀어서 지역민들이 송덕비를 세워 치덕(治德)을 기리기도 했다. 조정에 돌아와 승지에 있을 때 이량(李樑)이 전권을 휘두르며 횡포를 부리자 이량과 권신들을 탄핵하는 상소를 올렸다가 무고를 받아 관직에서 물러났다. 이로 인해 고향에 돌아온 후에는 벼슬에 더 이상 뜻을 두지 않고 구강(九江)[현 광주광역시 광산구 본덕동 남쪽 영산강평동천 합류 부근] 상류에 호가정(浩歌亭)을 짓고 학문에 정진하며 여생을 보냈다. 이 시기에 이황(李滉)·이언적(李彦迪) 등 당대의 빼어난 명유들과 도학을 상론(相論)하며 대학자로 추앙받았다. 식영정(息影亭)을 경영한 서하당(棲霞堂) 김성원(金成遠)이 그의 사위이다. 1571년(선조 4) 70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났으며, 광주광역시 경열사(景烈祠)에 제향되었다.

[편찬/간행 경위]

『설강유고』는 1905년에 후손 유시한(柳是漢), 유영택(柳永澤) 등이 유문을 수습·편집하여 2권 1책, 부록 2권 합 1책으로 간행되었다.

[형태/서지]

『설강유고』 저본은 전남대학교도서관 소장본으로, 목활자본(木活字本)이다. 판식은 사주단변(四周單邊)으로 반곽(半郭) 22.3×16.5㎝이며, 계선이 있다. 반곽의 행자수는 9행 18자이며, 어미는 내향이엽화문어미(內向二葉花紋魚尾)이다. 표제는 '설강집(雪江集)'이며, 권수제(卷首題)·판심제(版心題)는 '설강유고(雪江遺稿)'이다.

[구성/내용]

『설강유고』 권두에 기우만(奇宇萬)이 1895년(고종 32)에 쓴 서문이 있고, 권말에 후손 유영택과 유병로(柳秉魯)가 1905년에 쓴 발문이 실려 있다. 권1에 시(詩) 114수, 권2에 「시제홀기(時祭笏記)」 및 「행관세례(行盥洗禮)」 등 제례 관련 15편의 문장이 수록되어 있다. 부록 또한 2권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 중 권2는 이안눌(李安訥)·기정진(奇正鎭) 등 여러 문인이 호가정을 소재로 지은 시문을 싣고 있다. 시는 「이기(理氣)」·「심성정(心性情)」 등 도학적 기풍의 작품이 많다. 권2의 「시제홀기」는 시제를 올리는 절차를 14단계로 기록한 글이다.

[의의와 평가]

『설강유고』유사의 학문과 문학 세계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문헌이며, 16세기 호남 지역의 도학적 기풍의 형성 배경을 밝히는 데 큰 의미가 있다.

[참고문헌]
  • 한국시가문화학회, 『한시문Ⅰ』(광주고전국역총서 문학 1, 1992)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http://www.gjsgcc.or.kr)
  • 전남대학교도서관(http://lib.jnu.ac.kr)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http://encykorea.aks.ac.kr)
  • 호남기록문화유산(http://www.memoryhonam.co.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