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수촌집』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4686
한자 水村集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문헌/전적
지역 광주광역시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박세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간행 시기/일시 1930년연표보기 - 『수촌집』 간행
소장처 전남대학교도서관 - 광주광역시 북구 용봉로 77[용봉동 300]지도보기
성격 시문집
저자 고정봉
간행자 고광수|고광진
권책 7권 3책
행자 10행[자수는 일정하지 않음]
규격 23.3×18㎝[반곽(半郭)]
어미 상하향혼엽화문어미(上下向混葉花紋魚尾)
권수제 수촌집

[정의]

조선 후기 전라도 광주 지역 출신의 문신 고정봉의 시문집.

[개설]

『수촌집(水村集)』은 전라도 광주 지역에서 태어나 18세기 말에서 19세기 초에 문신으로 활약한 고정봉의 행적과 시문을 모아 엮은 유고 문집이다.

[저자]

고정봉(高廷鳳)[1743~1822]의 본관은 장흥(長興), 자는 명국(鳴國), 호는 수촌(水村)[처음에 '수촌(守村)'이었으나 '수촌(水村)'으로 개칭]이다. 부친 고영(高暎)과 김기서(金麒瑞)의 딸인 모친 서산김씨(瑞山金氏) 사이에서 1743년(영조 19)에 현재의 광주광역시 남구 이장동(泥場洞)에서 태어났다. 임진왜란 때 의병장으로 순절한 고경명(高敬命)의 7대손이다. 정조는 1798년(정조 22)에 전라도 지방의 인재를 선발하기 위해 특별시(特別試)인 공령과(功令科)를 광주목(光州牧)에서 시행하였다. 공령과는 한 지역에서 치르는 도과(道科)로서, 당시 시(詩)·부(賦)·전(箋)·의(義)·책(策) 등 5체(五體)의 문제가 내려졌다. 고정봉은 56세의 나이로 이 시험에서 장원을 하였다. 이후 1800년(정조 24) 정시문과에 급제하였는데, 평소 고경명 가문의 충절을 높이 샀던 정조가 전라도사 격인 호남외대(湖南外臺)를 제수하여 말을 타고 귀향하게 하는 등 높은 대우를 받았다. 관직에 있을 때는 높은 자리를 구하지 않고 평생을 청렴하게 보냈으며, 문장과 효행으로 칭송을 받았다. 1822년(순조 22)에 80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

[편찬/간행 경위]

『수촌집』고정봉 사후 108년 만인 1930년에 5대손 고광수(高光洙)와 4종제 고광진(高光珍)이 광주에서 목활자본으로 문집을 간행하였다.

[형태/서지]

『수촌집』 저본은 전남대학교 도서관 소장본이다. 판식은 사주쌍변(四周雙邊)으로 반곽(半郭) 23.3×18㎝이며 계선이 있다. 반곽의 행자수는 10행이며 자수는 일정하지 않다. 어미는 상하향혼엽화문어미(上下向混葉花紋魚尾)이고, 지질은 닥종이[楮紙]이다. 표제와 권수제(卷首題)는 '수촌집'이다.

[구성/내용]

『수촌집』은 목활자본 7권 3책으로 구성되어 있다. 권두에 정인보(鄭寅普)·윤영구(尹寗求)·고광선(髙光善) 등의 서문을 싣고 있다. 권1에는 시, 권2에는 서(書)·가장(家狀)·유묵서(遺墨書), 권3에는 소(疏)·부(賦)·시의(詩義), 권4에는 서(序)·기(記)·발(跋)·설(說)·명(銘)·부·사(辭), 권5에는 잡저(雜著)·부록(附錄)·서, 권6~7에는 경서에 관한 글 등이 수록되어 있다. 이 중 권3에 실린 「등과시말기(登科始末記)」는 1798년 전라도 공령과의 시행 배경 및 과정, 고정봉과 정조와의 독대 내용, 1800년 문과 급제 후 호남외대에 임명되는 과정과 감회 등의 내용을 상세히 담고 있다.

[의의와 평가]

『수촌집』은 조선 후기 호남 한문학의 전개 양상을 탐색할 수 있는 중요한 문헌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