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연정요」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4658
한자 戀情謠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문화유산/무형 유산
유형 작품/민요와 무가
지역 광주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서해숙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채록 시기/일시 1999년 - 「연정요」 광주광역시 광산구 주민 김판례에게 채록
채록 시기/일시 1999년 - 「연정요」 광주광역시 남구 주민 손성님에게 채록
채록지 광주광역시
가창권역 광주광역시
성격 민요
기능 구분 노동요
형식 구분 독창
박자 구조 육자배기
가창자/시연자 김판례|손성님

[정의]

전라도 광주 일대에서 남녀 간의 사랑을 주제로 부른 민요.

[채록/수집 상황]

1999년에 『광주의 민요』 발간 사업의 일환으로 자료 수집 과정에서 광주광역시 광산구 김판례[1925년생]을 비롯하여 남구, 동구, 서구, 북구 일대의 구술자에게 채록한 노래이다.

[구성 및 형식]

「연정요」는 독창으로 불리며, 신세타령과 같은 육자배기조의 느린 노래이다. 창자(唱者)에 따라 사설 내용이 길어지기도 한다.

[내용]

「연정요」「시집살이요」 못지않게 많은 사람이 부른 민요이다. 광주광역시 광산구의 김판례[1925년생], 광주광역시 남구의 손성님[1929년생]이 부른 「연정요」 사설을 각각 실으면 다음과 같다.

1. 김판례「연정요」

당아당아 국사 당아/ 국사 안에 절을 지어/ 절 안에 꽃이 피어/ 지나가는 저 수자야[수행자]/ 꽃을 보고 그저 가는가/ 꽃이 산이 좋네만은/ 남의 꽃을 어쩌란가/ 천실만실 배우는 거/ 인실만실에 잊을손가

2. 손성님 「연정요」

매근매근 개똥밭에/ 참깨 서 말 갈았더니/ 우리 성제[형제] 밭을 맨게/ 초록 부채 권 도령이/ 길을 가도 아니 걷네/ 은가락지 주심시로/ 중치매[중치마] 끈만 끄르라네/ 수술 댕기 주심시로/ 중치매 끈만 끄르라네/ 느그 부모 다짐 받고/ 우리 부모 알아 갖고/ 도포 자락 치매 자락/ 한테 잡고 걸어보세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연정요」는 여성들이 주로 부르는데, 밭을 매거나 바느질을 하거나 길쌈을 할 때 노동의 힘겨움과 무료함을 달래기 위해 많이 불렀다.

[의의와 평가]

「연정요」는 여성들의 시각에서 사랑과 이별의 감정을 진솔하게 읊은 노래인 만큼 곡조의 유려함과 사설의 애절함이 절묘하게 결합되어 있어서 문학적으로 가치가 높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