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60004613 |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
유형 | 작품/설화 |
지역 | 광주광역시 남구 진월동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송기현 |
채록|수집|조사 시기/일시 | 2000년 6월 13일 - 「어머니의 큰 사랑」 광주광역시 남구 진월동에 거주하는 김채복의 이야기를 채록 |
---|---|
수록|간행 시기/일시 | 2000년 - 「어머니의 큰 사랑」 광주민속박물관에서 간행한 『광주의 설화』에 수록 |
채록지 | 광주광역시 남구 진월동 |
성격 | 설화|민담 |
주요 등장 인물 | 어머니|아들|스님 |
모티프 유형 | 아들을 구한 어머니|시주를 받으러 온 중 |
[정의]
광주광역시 남구 진월동에서 전해 내려오는 아들을 구한 어머니에 관한 이야기.
[개설]
위험에 처한 아들을 구한 어머니의 간절한 마음과 사랑에 관한 민담이다. 아들이 광산으로 징용을 갔다는 점에서 시간적 배경이 일제강점기인 것을 알 수 있다.
[채록/수집 상황]
2000년 6월 13일 광주광역시 남구 진월동에 거주하는 김채복의 이야기를 채록하였으며, 2000년에 광주민속박물관에서 간행한 『광주의 설화』에 수록하였다.
[내용]
옛날에 어머니와 아들이 살고 있었는데, 아들이 광산에 징용을 가게 되었다. 어머니는 아들이 걱정되어 점을 보았더니 아들이 거기에서 죽게 될 것이라는 점괘가 나왔다. 어머니는 아들을 살리고 싶어 점쟁이에게 살릴 방도를 물었으나 점쟁이는 아무런 방법이 없다고 하였다. 이후 어머니는 아들에게 무슨 일이 생기지 않을까 걱정하며 하루하루를 보내고 있었다. 그런데 어느 날 중이 시주를 받으러 왔다. 시주를 받은 중은 어머니에게 무슨 일로 울고 있는지 물었다. 어머니는 아들이 광산으로 징용을 간 일과 점괘를 본 일을 이야기하였다. 이야기를 들은 중 역시도 아무런 방책이 없다고 하였다.
어머니가 다시 한번 간절하게 방책을 물어 보자, 중은 방법을 알려 주었다. 저녁에 깨끗한 물을 길어 마당에 놓고 절을 하고, 지붕에 올라가 용머리를 세 번 찍으며 아들의 이름을 외치라고 하였다. 얼마 후, 어머니는 중이 알려 준 대로 지붕에 올라가 아들의 이름을 외쳤다. 그때 광산에서 일하고 있던 아들의 귓가에 어머니의 목소리가 들렸다. 아들은 어머니가 찾아온 줄 알고 급히 막장 밖으로 나왔다. 그 순간 막장이 무너져 내렸고 아들은 목숨을 구하였다. 아들은 어머니의 목소리가 들려서 살게 되었다고 생각하였다.
그 이후 아들은 징용을 마치고 무사히 집으로 돌아왔다. 아들은 어머니에게 광산에서 겪었던 일을 이야기하였다. 어머니도 중이 알려 주었던 방법을 아들에게 이야기하였다. 어머니와 아들은 서로의 이야기를 듣고 매우 놀라고 신기해하였다. 어머니와 아들은 그 중에게 감사하며 행복하게 잘 살았다.
[모티프 분석]
「어머니의 큰사랑」의 주요 모티프는 ‘아들을 구한 어머니’와 ‘시주를 받으러 온 스님’ 등이다. 이 설화의 배경은 일제 강점기이지만, 시간적 배경의 요소를 제외하고 보아도 무방하다. 징용으로 끌려간 아들을 전쟁에 나간 아들이나 남편으로 치환해도 가능한 민담이다. 위험에 처한 아들을 구하기 위해 어머니는 시주를 받으러 온 중의 말을 믿고 그대로 행하였다. 믿음의 결과로 아들의 목숨을 구할 수 있었다. 시주를 받으러 온 중은 여러 설화에서 조력자로 등장한다. 시주를 받으러 온 중을 괄시하지 않고 잘 대접했기 때문에 중은 그 집에 생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 시주를 받으러 온 중의 말을 무시했다면 문제를 해결하지 못 하고 안 좋은 일이 생기게 되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