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4285
한자 不離亭
이칭/별칭 불리정
분야 생활·민속/생활
유형 유적/건물
지역 광주광역시 광산구 삼도동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영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건립 시기/일시 1978년연표보기 - 불이정 건립
현 소재지 불이정 - 광주광역시 광산구 삼도동 지도보기
원소재지 불이정 - 광주광역시 광산구 삼도동
성격 누정

[정의]

광주광역시 광산구 삼도동 도야마을에 있는 현대의 누정.

[개설]

'불리정'이라고 불리기도 하는 불이정(不離亭)은 조선시대 전기의 문신인 충장공 정분(鄭苯)[1396~1454]을 기리기 위하여, 정분의 17대 손인 월파(月波) 정복규(鄭福圭)가 1978년에 세운 정자이다. '불리'란 뜻은 세거지지(世居之地)인 고향을 떠나지 않는다는 의도로 붙인 것이라고 한다.

[위치]

불이정이 있는 도야마을은 저수지인 도야제가 있고, 동쪽에는 큰시암이라는 우물이 있으며, 평동 지정리로 가는 북쪽에 자리하고 있다. 불이정은 도야마을에서 150m 정도 떨어진 야트막한 언덕배기, 마을 가장 높은 곳에 있다.

[형태]

불이정은 6각 촌정으로, 지붕은 4각형에 하부는 8각형인 대청누각이다.

[현황]

불리정 앞에는 '월파별업(月波別業)'이라고 쓰인 석비(石碑)가 서 있고, 정자에 딸린 1천여 평의 과원이 그 옆에 자리한다. 정내(亭內)에는 '불리정'이라는 대서(大書) 현판과 이 정자의 내력을 기록한 다섯 개의 각판(刻版), 여섯 개의 주련(珠聯) 족자가 각각 제 자리에 부착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보통 정자는 풍광이 뛰어난 곳에 지어지지만, 불이정은 마을이 내려다보인다는 것 이외에는 특별한 것이 없다. 정자로서 눈에 띄는 건축적 기교도 없어 정복규가 단순한 휴식을 위하여 세운 정자로 보인다.

[참고문헌]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http://www.gjsgcc.or.kr)
  • 남도 정자기행[395](http://hankukmail.com/)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