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60003624 |
---|---|
분야 | 문화·교육/문화·예술 |
유형 | 작품/음악·공연 작품 및 영상물 |
지역 | 광주광역시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염승한 |
창작|발표 시기/일시 | 1989년 - 「딸들아 일어나라」 초연 |
---|---|
초연|시연장 | 민들레소극장 - 광주광역시 북구 지미로 55[신안동 477-29] |
성격 | 노동 연극 |
양식 | 연극 |
작가(원작자) | 박효선 |
감독(연출자) | 박효선 |
주요 등장 인물 | 최희경|정여덕|오향숙|이미주 |
[정의]
1989년 전남방직주식회사 노조 민주화 투쟁을 극화한 연극 작품.
[개설]
극단 토박이 최초의 노동극으로 1980년대 당시 노동력을 착취 당하는 여성 노동자가 회사와 투쟁을 벌이면서 자신의 권리를 되찾는 과정을 보여 주는 작품이다.
[공연 상황]
1989년 10월 말 '노동조합학교' 졸업식에서 짧은 상황극으로 공연되었고, 이후 수정 보완해 1989년 12월 말 민들레소극장에서 공연하였다. 「딸들아 일어나라」는 2019년 연극과인간에서 출판된 『박효선 전집』 2권에 수록되어 있다.
[구성]
총 18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장은 장소와 때로 표기되어 있다.
[내용]
작품은 전남방직을 배경으로 야간조 출근 기상 방송과 함께 시작된다. 반장은 병원에 갔다 아직 돌아오지 않는 미주를 찾는다[1장].
출근 조회 시간에 반장은 부장에게 미주가 무단 외출을 했다고 보고한다[2장].
미주는 병원에서 공장으로 돌아오지만, 주임은 미주가 남자를 만났다고 추행한다.
이 모습을 본 희경은 여공들에게 노동자의 권익을 위해 민주 노조를 건설하자고 권유한다[3장].
식당에서 여공들은 노조 민주화를 위해 정여덕을 대의원 후보로 내세운다[4장].
부장은 여공들을 모아 회사에 잠입한 빨갱이들이 악질 유언비어를 퍼뜨리고 있다고 특별교육을 한다[5장].
희경, 미주, 여덕은 선거 활동 준비를 한다[6장].
위원장과 주임, 부장은 희경, 미주, 여덕이 선거에서 참패하도록 계획을 세운다[7장].
여덕은 분주하게 선거운동을 한다[8장].
주임은 여덕에게 대의원 후보직을 사퇴하도록 회유하지만, 여덕은 거부한다[9장].
반장은 강압적으로 여공들의 선거 운동을 방해하지만 오히려 여공들은 선거 운동에 매진한다[10장].
정여덕이 당선되고 여공들은 노동 환경 개선을 위한 시위를 시작한다[11장].
선거 활동을 한 여덕, 희경, 향숙은 탄압을 받아 주임에게 항의를 하지만 오히려 구사대에 끌려가 폭행을 당한다.
그리고 희경은 위장 취업한 운동권 학생이라는 이유로 강제로 퇴사를 당한다[12장~13장].
근신 처분을 받은 여공들은 희경과 함께 공장 밖에서 시위를 하지만 주임은 구사대를 불러 회사에서 쫓아낸다[14장].
미주는 강제 퇴사를 당한다[15장].
해고된 여공들은 파업가를 부르며 정문 앞에서 시위하고, 구사대가 시위를 해산하는 과정에서 여덕이 큰 부상을 입고 병원에 실려간다.
이에 여공들은 평민당사를 점거하고 농성을 시작한다[16장].
해고된 노동자들은 노조 연대가를 부르며 농성을 한다[17장].
향숙은 유인물을 낭독하고, 미주는 대자보를 쓰면서 농성한다. 이때 희경을 제외한 나머지 여공들은 전원 복직되었다는 소식을 듣는다.
희경은 여공들에게 일터에 돌아가 노동운동을 해야만 노동자의 권리를 쟁취할 수 있다고 말한다.
그러면서 여공들과 함께 '딸들아 일어나라' 노래를 부르며 극은 마무리된다[18장].
[의의와 평가]
전남방직 여공들이 노동운동을 하면서 각성하는 과정을 정밀하게 보여 주고 있다. 연대를 통하여 여공들은 노동자의 권익을 되찾고 노동 해방을 꿈꾸는데, 이것이 민주주의를 되찾고자 하였던 5월 정신과 연결되면서 5월 정신 계승을 이야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