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60003031 |
---|---|
한자 | 光州- |
영어공식명칭 | Gwangju Younggwangwon |
분야 | 정치·경제·사회/사회·복지 |
유형 | 지명/시설 |
지역 | 광주광역시 서구 유덕로 177[덕흥동 953-2]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박정용 |
개관|개장 시기/일시 | 1954년 7월 1일 - 전남영광원 설립 |
---|---|
이전 시기/일시 | 1962년 9월 1일 - 광주영광원, 전라남도 광주시 구동 12번지에서 전라남도 광주시 학3동 901번지로 이전 |
이전 시기/일시 | 1987년 3월 2일 - 광주영광원, 광주직할시 덕흥동 953-2번지로 이전 |
개칭 시기/일시 | 1990년 3월 1일 - 전남영광원에서 광주영광원으로 개칭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2010년 - 광주영광원, 전국 장애인시설 평가 최우수 등급 선정 |
특기 사항 시기/일시 | 1961년 6월 28일 - 광주영광원, 사회복지법인 전남영광원으로 등록 |
특기 사항 시기/일시 | 1996년 11월 7일 - 광주영광원, 사회복지법인 금정으로 법인명 개칭 |
최초 설립지 | 전남영광원 - 전라남도 광주시 구동 12번지 |
주소 변경 이력 | 전남영광원 - 전라남도 광주시 학3동 901번지 |
주소 변경 이력 | 전남영광원 - 광주직할시 서구 덕흥동 953-2번지 |
현 소재지 | 광주영광원 - 광주광역시 서구 유덕로 177[덕흥동 953-2] |
성격 | 복지 시설 |
면적 | 1,558.14㎡[건물 472평]|5,072㎡[대지 1,536평] |
전화 | 062-606-0551 |
홈페이지 | 광주영광원(https://www.gjw.or.kr/ykw3285) |
[정의]
광주광역시 서구 유덕로에 있는 시각장애인을 지원하기 위한 복지 시설.
[개설]
광주영광원은 광주 지역의 시각장애인들이 사회 구성원으로서 자립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시각장애인의 복지 증진에 기여하기 위해 설립된 복지 단체이자 생활 및 주거를 지원하는 복지 시설이다.
[건립 경위]
광주영광원은 시각장애인들이 일상생활에 필요한 기본적인 능력과 재활 및 자립의 능력을 일상생활 훈련, 재활 훈련, 상담, 치료, 교육 등을 통해 키우도록 함으로써 지역사회의 구성원으로 자립시키기 위해 설립되었다.
[변천]
1954년 7월 1일 전라남도 광주시 구동[지금의 남구]에 광주영광원의 모태가 되는 전남영광원이 설립되었다. 1961년 6월 18일 전남영광원의 시설 설치 허가를 받았으며, 같은 해 6월 28일 사회복지법인 전남영광원의 법인 설립 허가를 받았다. 이후 1962년 9월 1일 전라남도 광주시 학3동[지금의 북구]으로 이전하였다가 1987년 3월 2일 현재의 위치인 서구 덕흥동으로 시설을 이전하였다. 1990년 3월 1일에 전남영광원에서 광주영광원으로 명칭을 변경하였으며, 1996년 11월 7일에는 사회복지법인 명칭을 전남영광원에서 금정으로 변경하였다. 1996년 3월 1일 교육관을 신축하였으며, 2009년 11월 3일 점자학습 지원실을 개관하였다. 2019년 기능 보강 사업, 개보수 사업 선정 등을 통해 꾸준히 시설을 개·보수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구성]
광주영광원은 원장, 사무국장, 사무원, 간호사, 영양사, 사회재활·보행훈련·생활재활 교사, 상담 평가 요원, 조리원, 위생원, 촉탁 의사 등 총 29명의 직원이 근무하고 있으며, 조직은 인권지킴이단, 인사위원회, 운영위원회가 있으며, 원장과 사무국장 관할 아래 행정지원팀, 사회재활팀, 생활재활팀, 영양지원팀의 4개 팀과 촉탁 의사가 있다. 시설 이용 정원은 36명에 달하고 있다.
[현황]
광주영광원에서는 자전거 프로그램·생활 체조·실내 조정·각종 기구 등을 통해 시각장애인의 신체적·사회적 기능 강화를 위한 '스포츠 활동 프로그램', 풍물 프로그램과 서구장애인복지관 프로그램 이용 등을 통한 심리적·신체적 안정감과 사회성 발달을 도모하는 '사회재활 서비스', 요리와 놀이·결연가족과의 생활·외식 프로그램 등을 통해 지역사회를 이해하고 사회 적응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목적을 두고 있는 '생활재활 서비스', 거주인 건강검진과 구강 보건 교육, 그리고 성폭력 예방 교육 등을 통한 '의료재활 서비스' 등 시설 이용인의 재활 능력과 자립 능력 향상을 위해 다양한 맞춤형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