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1587
한자 景義齋
이칭/별칭 소해정(蘇海亭)
분야 종교/유교,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건물
지역 광주광역시 북구 소해로 11[일곡동 514]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조한백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건립 시기/일시 1930년 - 소해정 건립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65년 - 소해정에서 경의재로 개칭
현 소재지 경의재 - 광주광역시 북구 소해로 11[일곡동 514]지도보기
원소재지 경의재 - 광주광역시 북구 소해로 11[일곡동 514]
성격 재실
양식 골기와 팔작지붕
정면 칸수 5칸
측면 칸수 3칸

[정의]

광주광역시 북구 일곡동에 있는 일제강점기의 강학 공간.

[개설]

경의재광주광역시 북구 일곡동에 있으며, 1930년 소해정(蘇海亭)이란 이름으로 소해(蘇海) 노종룡(盧種龍)[1856~1940]이 건립하였다. 노종룡은 최익현(崔益鉉)[1833~1907], 송병선(宋秉璿)[1836~1905] 등으로부터 학문을 배웠고, 구한말 스승의 뜻을 이어받아 여러 차례 상소를 올리면서 을사오적(乙巳五賊)을 물리치고 나라를 보전하려 노력하였다. 그러나 그 뜻을 이루지 못하자, 고향인 현재의 광주광역시 북구 일곡동으로 와서 교육과 후진 양성을 하였고, 본인의 아호를 딴 소해정을 지었다. 1965년 노종용의 아들인 노진영이 소해정을 같은 공간에 있는 만주사(晩州祠)의 강당으로 헌납하면서 경의재로 이름을 바꾸었다.

[위치]

경의재광주광역시 북구 일곡동 514번지에 있다.

[변천]

경의재는 1930년에 소해정으로 건립되었으며, 1965년에 경의재로 이름을 바꾸었다.

[형태]

경의재는 정면 5칸, 측면 3칸 규모의 골기와 팔작지붕 건물이다.

[현황]

경의재는 정면에 '景義齋(경의재)', '勉修齋(면수재)', '聾啞(농아)'라는 현판이 있으며, 그 외 고광선, 노상익, 기우만 등이 쓴 기문과 시 등의 46개 현판이 더 있다. 같은 공간에 1817년 노재규가 세운 농암정(聾巖亭)과 1959년에 송병선과 노종룡을 기리기 위하여 세워진 만주사가 있다.

[의의와 평가]

경의재는 구한말 광주광역시 지역 유학자의 독립운동 활동 모습과 광복 후 이들을 어떻게 기리는지 살펴볼 수 있는 곳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