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60001517 |
---|---|
한자 | 日谷洞遺蹟 |
영어공식명칭 | Ilgokl-dong Sites |
이칭/별칭 | 일곡동 유적 가,일곡동 유적 나,일곡동 유적 다,일곡동 유적 라 |
분야 | 역사/전통 시대 |
유형 | 유적/유적(일반) |
지역 | 광주광역시 북구 일곡로 45-1[일곡동 278-1]|일곡로 55[일곡동 850-1] |
시대 | 선사/청동기,선사/철기,고대/고대 |
집필자 | 이정민 |
발굴 조사 시기/일시 | 1994년 7월 15일~8월 30일 - 일곡동 유적 목포대학교박물관과 광주시립민속박물관에서 발굴 조사 |
---|---|
현 소재지 | 일곡동 유적 - 광주광역시 북구 일곡로 45-1[일곡동 278-1]|일곡로 55[일곡동 850-1] 일대 |
출토 유물 소장처 | 국립광주박물관 - 광주광역시 북구 하서로 110[매곡동 산83-3] |
성격 | 터 |
[정의]
광주광역시 북구 일곡동에 있는 청동기시대부터 통일 신라시대까지의 유적.
[위치]
광주광역시 일곡동 유적은 4개의 구역으로 나누어 발굴 조사되었는데 '일곡동 유적 가' 지구는 일곡마을의 동쪽에 남북으로 길게 뻗은 낮은 구릉에 형성되어 있다. '일곡동 유적 나' 지구는 '일곡동 유적 가' 지구에서 북동쪽으로 약 400m 거리에 있으며, 마을 뒤편으로 뻗어내린 능선지대가 끝나는 지점에 해당한다. '일곡동 유적 다' 지구는 '일곡동 유적 나' 지구의 남동쪽에 있으며, '일곡동 유적 나' 지구에서부터 시작되는 낮은 구릉이 계속해서 이어지는 곳이다. '일곡동 유적 라' 지구는 '일곡동 유적 가' 지구에서 동쪽으로 200m 정도 떨어진 곳에 있다.
[발굴 조사 경위 및 결과]
광주광역시 일곡동 유적은 이 지역에 대단위 아파트단지가 들어서면서 1994년 7월 15일부터 8월 30일까지 목포대학교박물관과 광주시립민속박물관에서 발굴 조사를 진행하였다. 발굴 조사는 4개의 구역으로 나누어 진행되었는데 '일곡동 유적 가' 지구에서는 원삼국시대의 말각(末角)[각도를 죽여 둥글게 만듦.] 방형 집터가 3기 확인되었고, 유물은 이중구연 토기, 호형 토기, 대야형 토기, 달걀 모양의 토기, 시루, 토제 가락바퀴, 숫돌 등이 출토되었다. '일곡동 유적 나' 지구에서는 유구는 확인되지 않았지만 뚜껑접시 1점이 수습되었다. '일곡동 유적 다' 지구에서는 돌널 1기와 구덩이, 구 등이 확인되었고, 유물은 기와편과 토기편, 석기 등이 출토되었다. '일곡동 유적 라' 지구에서는 집터 1기가 확인되었고, 유물은 파수부편, 타날(打捺)[토기의 몸통을 다지거나 부풀리기 위해 두들개로 두드림.]무늬 토기편 등이 출토되었으며, 동체문에 도장무늬가 새겨진 꼭지 달린 토기 뚜껑이 출토되었는데 경주 황룡사지에서 출토된 것과 형태가 유사하다.
[현황]
광주광역시 일곡동 유적은 대단위 아파트 단지가 들어서 유구는 남아 있지 않으며, 출토된 유물은 국립광주박물관에서 소장 및 관리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광주광역시 일곡동 유적의 출토 유물과 유구로 보아 이 일대에 청동기시대부터 통일신라시대까지 광범위한 생활 유적이 있었던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또한, 유적의 분포로 보아 청동기시대와 삼국시대, 통일신라시대에는 평탄한 지역에서 생활하였고, 원삼국시대에는 구릉을 이용하여 생활하였음을 추측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