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60001312 |
---|---|
한자 | 大山洞-群 |
영어공식명칭 | Daeya Dolmen in Daesan-dong |
이칭/별칭 | 대산동 대야마을 A군 고인돌떼,광주 대산동 대야 지석묘 가군,광주 대산동 대야 지석묘 나군,광주 대산동 대야 지석묘 다군,광주 대산동 대야 지석묘 라군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고분 |
지역 | 광주광역시 광산구 대산동 640-1|산 80|594|626-1|654|665-2|666-1|281-1 |
시대 | 선사/청동기 |
집필자 | 강진표 |
발굴 조사 시기/일시 | 1990년 - 대산동 대야 고인돌군 분포 조사 |
---|---|
소재지 | 대산동 대야 고인돌 가군 - 광주광역시 광산구 대산동 640-1|산 80 |
소재지 | 대산동 대야 고인돌 나군 - 광주광역시 광산구 대산동 594|626-1|654 |
소재지 | 대산동 대야 고인돌 다군 - 광주광역시 광산구 대산동 665-2|666-1 |
소재지 | 대산동 대야 고인돌 라군 - 광주광역시 광산구 대산동 281-1 |
성격 | 분묘 |
양식 | 고인돌 |
크기(높이,지름) | 가군|1호: 300㎝[길이]|220㎝[너비]|180㎝[두께]|2호: 130㎝[길이]|95㎝[너비]|60㎝[두께]|나군|1호: 340㎝[길이]|130㎝[너비]|50㎝[두께]|2호: 330㎝[길이]|90㎝[너비]|40㎝[두께]|3호: 270㎝[길이]|80㎝[너비]|70㎝[두께]|다군|1호: 380㎝[길이]|200㎝[너비]|80㎝[두께]|2호: 240㎝[길이]|160㎝[너비]|80㎝[두께]|라군|1호: 220㎝[길이]|150㎝[너비]|50㎝[두께]|2호: 130㎝[길이]|120㎝[너비]|40㎝[두께] |
[정의]
광주광역시 광산구 대산동에 있는 청동기시대 고인돌군.
[위치]
대산동 대야 고인돌 가군은 대야마을 구릉 지대에 있고, 나군은 진주정씨 민묘가 조성되어 있는 노송으로 둘러쌓인 구릉 정상부에 있다. 다군은 대야마을에서 남쪽으로 300여m 떨어진 한빛노인전문요양원 서쪽 논에 있으며, 라군은 대야마을 북쪽 구릉 정상부에 있다.
[발굴 조사 경위 및 결과]
대산동 대야 고인돌군은 1990년에 처음 확인되었다. 당시에는 대산동 대야마을 고인돌[2개 군집 6기]과 대산동 대야마을 A군 고인돌떼[7기]로 명명되었다. 그 후 1996년 조사에서 대산동 대야마을 고인돌이 대산동 대야 고인돌 나[2기]·다[4기]로 나뉘었으며, 대산동 대야마을 A군 고인돌떼가 대산동 대야 고인돌 가[7기]로 바뀌었다. 2004년 조사에서 대산동 대야 고인돌 가[7기]는 대산동 대야 고인돌 다군[7기], 대산동 대야 고인돌 나[2기]는 대산동 대야 고인돌 가군[2기], 대산동 대야 고인돌 다[4기]는 대산동 대야 고인돌 나군[4기]으로 변경되었다. 2015년 조사에서는 가군 2기, 나군은 4기에서 7기, 다군은 7기에서 3기가 확인되었다. 더불어 대산동 대야 고인돌 라군 4기가 새롭게 발견하였다. 대산동 대야 고인돌군은 4개 군집 16기의 고인돌을 포함한다.
[형태]
대산동 대야 고인돌 가군에서 바둑판식 고인돌의 굄돌 1매가 남아 있으며, 덮개돌 평면 형태는 둥근꼴이다. 나군과 다군 고인돌은 덮개돌과 덮개돌로 추정되는 석재가 다수 산재한다. 라군은 고인돌 4기 중 4호 고인돌이 가장 크며, 굄돌이 1매 확인된다. 덮개돌 평면 형태는 네모꼴이며, 규모는 길이 340㎝, 너비 250㎝, 두께 80㎝이다.
[현황]
대산동 대야 고인돌군은 대부분 민묘 조성이나 경작, 개간 등으로 이동되거나 매몰되었다.
[의의와 평가]
대산동 대야 고인돌은 여러 기가 분포하고, 군집 또한 많지만 상당수가 훼손된 상태이다. 이전 조사에서 고인돌로 추정할 수 있는 석재가 많다는 기록으로 볼 때 보다 정밀한 조사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