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대
-
1876년 조일수호조규를 체결한 이후부터 1910년 일본이 대한제국을 강제 병합한 시기까지의 충청남도 부여 지역의 역사. 서세동점의 시대적 변화 속에서도 통상 수교 거부 정책을 펼치던 대원군 집권기는 1873년 고종의 친정으로 막을 내렸다. 고종이 집권하고, 메이지 유신 이후 급격한 근대화 팽창 정책을 펴던 일본의 포함 외교가 맞물리면서 1876년 2월 조선과 일본은 조일수호조규를...
-
일제 강점기 충청남도 부여 지역에서 전개된 실력 양성 운동. 부여 지역의 애국 계몽 운동은 교육 분야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조선총독부는 1911년 「조선교육령」을 반포하고 보통학교 교육을 실시하였다. 이후 부여군 내에 보통학교 12개를 설립하였으나 부여군 지역의 모든 아동이 학교교육의 혜택을 받을 수는 없었다. 문맹률이 높았을 뿐만 아니라 남녀 간의 차별도 심하였다. 빈농의 아...
-
1876년 조일수호조규 체결 이후부터 1910년 일본에 의한 강제 병합 전까지 충청남도 부여 지역에서 이루어진 근대식 교육. 서세동점(西勢東漸)의 시대적 상황 속에서도 통상 수교 거부 정책을 펼치던 대원군의 집권은 1873년 고종의 친정으로 막을 내렸다. 고종의 집권과 메이지 유신 이후 본격적으로 근대화 정책을 펴던 일본의 포함외교(砲艦外交)가 맞물리면서 조선은 1876년 2월 2...
-
1894년 충청남도 부여 지역에서 동학교도와 농민들이 합심하여 일으킨 농민 운동. 동학 농민 운동은 전라도 고부군에서 일어난 민란에서 비롯되었다. 전라도는 물산이 풍부한 곡창지대여서 국가 재정도 전라도에 크게 의존하고 있었다. 조선 전 시기에 걸쳐 수탈의 대상이 되어 농민들은 항상 탐관오리의 가렴주구에 시달렸다....
-
1905년 을사조약 강제 체결을 계기로 부여 지역의 홍산을 비롯하여 전국 각지에서 일어난 의병 항쟁. 1905년 일본은 대한제국에 을사조약 체결을 강요하였고, 대한제국은 외교권을 박탈당하였다. 근대 의병운동(近代 義兵運動)은 1905년 을사조약의 강제 체결에 저항하여 전국적으로 일어났다. 부여 지역 인근에서도 1906년 홍주의병이 일어났다. 이용규와 홍순대 등 부여 출신 인물들이...
-
일제 강점기 충청남도 홍산에 설립된 금융조합. 홍산금융조합(鴻山金融組合)은 1907년 11월 5일 충청남도 홍산에 설립된 금융조합이다. 1907년부터 재정 고문 메가타 다네타로[目賀田種太郞]의 주도로 전국 각지에 금융조합이 설립되었는데, 1907년 5월 30일 「지방금융조합규칙」의 공포와 함께 조합 설립에 착수하였다. 금융조합 설립 방침에 따라 조합은 1개 군 또는 여러 개의 군을...
일제 강점기
-
1910년 일제의 대한제국 강제 병합 이후부터 1945년 8월 15일 해방 때까지의 충청남도 부여 지역의 역사. 대한제국은 1910년 8월 일본에 의하여 강제 병합되면서 일본의 식민 통치를 받기 시작하였다. 일제 강점기는 헌병 경찰이 행정과 경찰 업무를 겸임하는 1910년대 무단 통치기, 민족 분열 정책을 썼던 1920년대 문화 통치기, 그리고 1930년대부터 1945년 일제 패망...
-
1920년~1930년대 충청남도 부여 지역에서 농촌 계몽을 목적으로 설립 운영된 비정규 학교. 농촌 계몽 운동의 일환으로 설립된 노동야학(勞動夜學)은 교육을 통하여 노동자와 농민들의 인격적 주체로서의 성장을 돕고 문맹 퇴치를 통한 계급적 각성과 민족정신을 일깨워 저항 민중 문화를 창출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
일제 강점기 충청남도 부여군에 있던 부여 일대 고적 보존 및 조사 활동 기관. 일제 강점기 일제는 일선동조론에 바탕을 둔 일본과 조선의 동화 정책을 실시하였다. 동화 정책을 고고학적으로 증명하기 위하여 경주, 부여 등 고도(古都)에 대한 고적 조사 및 고적의 재해석이 이루어졌다. 특히 부여 지역의 경우 고적 조사와 고적에 대한 재해석을 통하여 백제 사비기와 일본 고대 아스카[飛鳥]...
-
일제 강점기 부여 지역에서 활동한 계몽 운동 단체. 규암청년회(窺岩靑年會)는 1922년 충청남도 부여군 규암면에서 설립되어 대중을 상대로 강연회와 웅변대회를 개최하는 등 활발하게 계몽 운동을 전개하였다....
-
일제 강점기 충청남도 부여 지역에 설립된 계몽운동 단체. 홍산청년회(鴻山靑年會)는 1916년 충청남도 부여군 홍산 지역에서 조직된 청년 단체이다. 유지 집단의 사교 모임이자 최초의 계몽적 성격의 친목 단체였다....
-
일제 강점기 충청남도 부여 지역에 있던 청년 단체. 부여청년회(扶餘靑年會)는 부여 지역의 노동자와 농민을 의식화하고 조직화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
일제 강점기 충청남도 부여군 홍산면에 있던 수리 조합. 홍산수리조합(鴻山水利組合)은 금강 수계의 잦은 범람에 대비하여 충청남도 부여군 홍산면 지역의 수리 사업을 담당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
일제 강점기 충청남도 부여 지역에 있던 백정의 신분 차별 철폐를 위하여 활동한 단체. 형평사 부여지회(衡平社 扶餘支會)는 부여 지역 백정들의 신분 차별 철폐를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
일제 강점기 충청남도 부여 지역에 있던 신간회 지회. 신간회는 1927년 좌익 세력과 우익 세력이 합작하여 결성한 항일 단체이다. 신간회는 조선 민족의 정치적, 경제적 해방을 통한 조선의 독립을 목표로 하였으며, 부여신간지회는 특히 충청남도 부여 지역의 청년들을 중심으로 독립운동을 펼쳤다....
-
일제 강점기 충청남도 부여군 구룡면에서 활동한 계몽 청년 단체. 구룡청년공지회(九龍靑年共志會)는 1923년 11월 11일 김일환(金日煥), 이병직(李秉直), 이곤(李坤) 등이 발기하여 충청남도 부여군 구룡면에서 조직된 청년 단체이다. 구룡청년공지회는 부여군 구룡면 지역의 계몽과 교육 운동을 위하여 설립되었다....
-
일제 강점기 충청남도 부여 지역에 있던 학생 단체. 합송학우친목회(合松學友親睦會)는 1924년 8월 5일 충청남도 부여군 규암면 합송리의 학생들이 창립한 단체이다....
-
일제 강점기 충청남도 부여 지역을 중심으로 활동한 재경 유학생 단체. 재경유학생강연단(在京留學生講演團)은 1920년대 충청남도 부여 지역을 중심으로 지역 사회에 근대 지식과 사상을 보급하며 민중 계몽을 위한 강연 활동을 벌인 재경 유학생으로 구성된 청년 단체이다....
-
일제 강점기 충청남도 부여 지역에서 조직된 공산주의 비밀 결사. 화성당(火星黨)은 1931년 1월 조직된 충청남도 부여 지역의 대표적인 공산주의 비밀결사이다....
-
일제 강점기 충청남도 부여 지역에서 부여고적보존회를 중심으로 진행된 유적 조사 사업. 일제 강점기 유적 조사(日帝 强占期 遺蹟 調査)는 1929년 2월에 만들어진 부여고적보존회(扶餘古蹟保存會)를 중심으로 부여 지역에서 진행된 유적 조사 사업을 의미한다. 일제는 일본의 아스카[飛鳥] 문화가 백제 문화에서 기인한다고 하여 일찍부터 부여에 존재하는 무수한 백제의 유물, 유적에 깊은 관심...
-
일제 강점기 충청남도 부여 지역에서 내선일체 정책의 일환으로 실시한 신도 건립 계획. 1915년 조선총독부는 「포교규칙」과 「신사사원규칙(神社寺院規則)」을 공포하였다. 「신사사원규칙」은 모든 신사의 창립과 존폐에 총독의 허가를 얻어야 하고 기존 신사들도 총독의 인가를 받도록 하여 신사에 관·공립적 성격을 부여한 정책이다. 「신사사원규칙」은 「포교규칙」과 같은 날 공포되었는데, 신도...
-
일제 강점기 부여 지역에서 사회주의 계열 혁신 청년들이 검거된 사건. 부여공산주의자협의회사건(扶餘共産主義者協議會事件)은 1933년 9월 충청남도 부여 지역의 사회주의 세력 청년들이 대거 검거된 사건이다. 부여공산주의자협의회사건의 발단이 된 공산주의자협의회는 사유 재산 제도 부정과 공산주의 사회 실현을 목표로 조직된 비합법적 비밀결사였다....
-
1919년 3월 충청남도 부여 지역에서 일어난 거족적인 독립 만세 운동. 부여 지역에서 3·1 운동은 초기 단계에서는 「독립선언서」나 유인물을 배포하고 독립 의식을 고취하는 방식으로 전개되었다. 그러나 만세 운동이 점차 확산하면서 폭력 시위 양상이 나타났고, 그 결과 많은 사람들이 옥고를 치르기도 하였다. 부여의 3·1 운동은 천도교구를 통하여 1919년 3월 2일 「독립선언서」를...
-
일제 강점기 충청남도 부여군 임천면에서 전개된 독립 만세 운동. 부여 지역에서의 독립 만세 운동은 1919년 3월 6일 임천면에서 시작되었다. 임천면의 천도교인들은 독립선언서를 비밀리에 배포하는 활동을 전개하며, 전국적인 만세 운동을 부여 지역에서도 확산시키고자 노력하였다....
-
3·1 운동 이후 일제의 탄압에 저항하여 부여 지역 천도교인들이 의하여 전개된 모금 운동. 기도미 납부 운동(祈禱米 納付 運動)은 부여 지역 천도교도들이 3·1 운동 이후 운동의 방향을 전환하여 자발적으로 기도미를 납부하던 운동이다. 기도미는 교인의 집에서 기도할 때마다 5홉가량을 청수와 같이 올려 기도한 후 모았다가 지역 교구에 납부하는 것을 말하는데, 기도미는 천도교 재정의 근...
-
1930년대 충청남도 부여 지역에서 농민조합을 결성하여 진행한 운동. 1930년대 부여 지역의 농민조합 결성은 1920년대의 세계 정세 변화에서부터 그 기원을 찾을 수 있다. 그 시작은 1929년 세계 경제 대공황이었다. 대공황으로 쌀값이 폭락하면서 조선 농민의 경제는 파탄 국면에 이르게 된다. 그리고 지속된 일제의 수탈과 조선인 농민들의 저항에 대한 탄압, 그리고 조선공산당의 해...
-
일제 강점기 충청남도 부여 지역에서 수리조합 설치에 반대하여 일어난 농민 저항운동. 수리조합반대운동(水利組合反對運動)은 일제가 충청남도 부여군 임천면과 충화면에 수리조합을 설치하려 하자 충화면의 복금리와 만지리 주민들이 중심이 되어 전개한 저항운동이다....
-
1919년 10월 충청남도 부여군 홍산면 홍산시장에서 발생한 일본인 타살 사건. 1919년 홍산시장 일본인 타살 사건은 1919년 10월 부여군 홍산면 홍산시장에서 일본인 다무라[田村]가 총기 오발 사고로 주민에게 치명상을 입히자 주민 100여 명이 다무라를 홍산시장에서 폭행하여 살해한 사건이다....
-
일제 강점기 충청남도 부여 지역에서 전개된 청년 중심의 민족운동. 3·1 운동 이후 일제는 기존의 통치 방식과는 다른 문화 통치를 실시하면서 식민 통치의 기조를 바꾸었다. 이에 식민지 조선의 청년들은 각종 운동 단체를 조직하며 청년운동에 나섰다. 청년들은 각 군면 단위로 청년 수양 단체를 결성하였고, 야학과 생활 개선, 강연회와 토론회 등의 문화 계몽 운동을 전개하였다. 부여 지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