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여 신도 건립 계획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000453
한자 扶餘 神都 建立 計劃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사건/사건·사고와 사회 운동
지역 충청남도 부여군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김헌주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발생|시작 시기/일시 1939년 3월연표보기 - 부여 신궁 건립 계획 발표
성격 지배 정책

[정의]

일제 강점기 충청남도 부여 지역에서 내선일체 정책의 일환으로 실시한 신도 건립 계획.

[역사적 배경]

1915년 조선총독부는 「포교규칙」과 「신사사원규칙(神社寺院規則)」을 공포하였다. 「신사사원규칙」은 모든 신사의 창립과 존폐에 총독의 허가를 얻어야 하고 기존 신사들도 총독의 인가를 받도록 하여 신사에 관·공립적 성격을 부여한 정책이다. 「신사사원규칙」은 「포교규칙」과 같은 날 공포되었는데, 신도(神道)를 중심으로 타 종교를 규제하겠다는 뜻을 천명한 것이었다. 아울러 1917년에는 「신사(神祠)에 관한 건」을 공포하여 신사로 인정받지 못한 소규모 신사도 허가받을 수 있게 하였다.

이렇듯 제반 규칙 제정으로 신사 정책의 토대를 구축한 일제는 후속 작업으로 조선 신궁을 건립하였다. 일제가 대한제국을 강제 병합한 직후인 1911년부터 계획된 조선 신궁 건립은 1919년부터 본격적으로 실행되었고, 1925년에 마무리되었다. 이후 1920년대 후반 신사에 대한 총독부의 대대적인 홍보로 신사 설립이 증가하였고, 1930년대 일제가 황민화 정책을 적극 추진하면서 더 가속화되었다.

[경과]

신사 정책의 강화는 부여 지역에도 영향을 미쳤다. 1939년 3월 조선총독부는 기원 2600년 기념사업의 일환으로 부여 신궁 건립 계획을 발표하였다. 부여 신궁의 건립 목적은 한국 고대 왕조들과 교류가 활발하였던 오진천황[應神天皇], 사이메이천황[齊明天皇], 덴지천황[天智天皇], 진구황후[神功皇后]의 사주(四柱)를 봉재하기 위함이었다. 즉, 부여 신궁을 건립하여 내선일체를 강화하는 정신적 전당으로 삼고자 하였다.

[결과]

부여 신궁 건립 계획은 부여 신도 건립 계획으로 확대되었다. 백제 멸망 이후 오랫동안 잊힌 고도였던 부여는 일제 강점기를 거치며 내선일체의 기원을 증명하는 신도로 부각되었다. 일제가 패망하면서 신도는 완성되지 못하였고, 신궁 터에 삼충사가 들어섰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