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삼진산의 쌀바위」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101751
한자 -山-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설화
지역 충청남도 서산시 고북면 장요리
집필자 박종익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채록|수집|조사 시기/일시 1986년 12월 23일연표보기 - 서산군 고북면 장요리에서 명창동[남, 54], 이채순[여, 60] 등으로부터 채록
수록|간행 시기/일시 1991년연표보기 - 『서산민속지』하 수록
관련 지명 삼진산의 쌀바위 - 충청남도 서산시 고북면 장요리
채록지 서산군 고북면 장요리 - 충청남도 서산시 고북면 장요리 지도보기
성격 전설|폐사담
주요 등장 인물 승려
모티프 유형 허욕|폐사

[정의]

충청남도 서산시 고북면 장요리에서 쌀바위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채록/수집 상황]

1991년 서산문화원에서 간행한 『서산민속지』 하의 150~152쪽에 수록되어 있다. 이는 최운식·김창진 등이 1986년 12월 23일 충청남도 서산군 고북면 장요리[현 서산시 고북면 장요리]로 현지 조사를 나가 주민 명창동[남, 54], 이채순[여, 60] 등으로부터 채록한 것이다.

[내용]

충청남도 서산시 고북면 장요리삼진산이 있는데 천 년 전에는 ‘삼진절’이 있었다고 한다. 절의 뒤에는 벼락바위라는 쌀바위가 있는데 그 바위틈에서 쌀이 쏟아져 나왔다. 암자의 승려는 매 때마다 바위틈으로부터 나오는 쌀을 받아 공양을 지어 먹으며 살았다. 그런데 어느 날 절에 손님이 찾아와 역시 쌀을 받으러 바위에 갔는데, 바위에서는 여느 날처럼 한 사람 분의 쌀만 나왔다. 그래서 승려가 부지깽이를 가지고 바위로 가 쌀을 더 많이 꺼내려 바위틈을 쑤셔댔다. 그러자 바위틈에서 피가 흘러나왔다.

세월이 흘러 그 피가 물이 되었다고 하며, 지금도 물이 바위틈에서 흘러나오고 있다. 마을 사람들은 이 물을 약수라 하여 귀하게 여긴다. 한편, 이 암자에는 오층탑이 있었다 하는데, 현재 이 오층탑은 염암산 중턱의 천장사로 이전하여 복원해 놓았다고 한다.

[모티프 분석]

「삼진산의 쌀바위」의 주요 모티프는 허욕, 폐사 등이다. 쌀바위 전설은 전국적으로 폭넓게 분포해 있다. 대개 절의 이웃에 쌀바위가 위치하고, 이 바위로부터 나오는 쌀로 암자가 유지된다는 이야기 구조를 취한다. 그런데 해당 절의 승려가 욕심을 부려 보다 많은 쌀을 얻으려다 바위가 망가지고, 또한 그로 인해 사찰은 폐사가 된다는 내용이다. 요컨대 인간의 과욕으로 인해 모든 것을 상실한다는 귀결을 보인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