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001329
한자 尹煌
영어음역 Yun Hwang
이칭/별칭 덕요(德耀),팔송(八松),노곡(魯谷),문정(文正)
분야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유형 인물/문무 관인
지역 충청남도 논산시 노성면 병사리
시대 조선/조선
집필자 이연숙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문신
출신지 충청남도 논산시 노성면 병사리
성별
생년 1571년연표보기
몰년 1639년연표보기
본관 파평
대표관직 병조좌랑|예조좌랑|예조정랑|북청판관|길주목사|안변부사|대사간|이조참의

[정의]

조선 중기 논산 출신의 문신.

[가계]

본관은 파평(坡平). 자는 덕요(德耀), 호는 팔송(八松)·노곡(魯谷). 아버지는 윤창세이며, 장인은 성혼이다. 슬하에 8형제를 두었는데 후손들이 매우 번성하여 14명의 대과 급제자를 배출하였다. 윤순거·윤문거·윤선거·윤증 등 호서 유림의 큰 줄기를 이룬 이들이 모두 이 가계에서 나왔다.

[활동사항]

1597년(선조 30) 알성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승문원정자에 임명되었다. 1599년 주서로 입시한 뒤 군자감첨정·성균관전적을 거쳐 1601년에 감찰이 되었다가 곧 정언으로 옮겼다. 홍문관은 중요한 부서이므로 은상(恩賞)으로 사사로이 임명할 수 없다는 것과 척신의 직을 파할 것을 주장하였으며, 이후 병조·예조의 좌랑, 예조정랑을 거쳐, 북청판관으로 나갔다.

1608년(광해군 즉위년) 북청판관으로 성가한 자제를 거느리고 관아에 머물고 있다는 사헌부의 탄핵을 받기도 하였으며, 광해군의 정치가 문란하여지자 시골에 은거하였다. 인조반정으로 다시 벼슬길에 올라 길주목사·안변부사·사성·승지·대사성 등을 역임하였으며, 1635년에 대사간에 이르렀다. 이때 전란으로 어려워진 백성의 구급책에 대하여 의견을 제시하였으며, 이후 이조참의를 지냈다.

1636년에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정묘호란 때와 같이 척화를 주장하였으며, 이로 인하여 집의 채유후(蔡裕後), 부제학 전식(全湜)의 탄핵을 받았는데 특히 전식은 그가 부의(浮議)로 오국(誤國)한 죄를 청하자, 인조 또한 “부박(浮薄)한 풍습은 통렬히 징치하지 않을 수 없어 이에 죄를 정한다.” 하여, 영동군에 유배되었다가 병으로 풀려난 뒤 생을 마쳤다. 윤황은 사람됨이 강의(剛毅)하고 기절(氣節)이 있었다는 평을 들었다.

[학문과 사상]

서울에서 유학하면서 당대의 명유인 이이성혼의 문하에 수학하여 학자적 자질을 인정받았다. 특히 성혼의 사위가 되면서 그의 학통을 계승하는 수제자가 되었다. 정묘호란이 일어나자 주화(主和)를 반대, 이귀(李貴)·최명길(崔鳴吉) 등 주화론자의 유배를 청하고, 항장(降將)을 참할 것을 주장하였다. 1636년(인조 14) 병자호란 때에 척화를 강력하게 주장하였다.

[저술 및 작품]

1866년(고종 3)에 9세 종손 윤상작(相爵) 등이 윤황의 상소문집인 『팔송봉사(八松封事)』를 편집·간행하였다.

[묘소]

묘소는 논산시 노성면 장구리에 있다. 묘비는 1660년경에 건립되었으며 김상헌(金尙憲)이 비문을 지었고, 아들인 윤순거(尹舜擧)가 글씨를 썼다.

[상훈과 추모]

시호는 문정(文正)이다. 영의정에 추증되었다. 영광의 용계사우(龍溪祠宇), 영동의 초강서원(草江書院), 노성의 노강서원(魯岡書院)에 제향되었다.

[참고문헌]
이용자 의견
지** '윤황선생고택 (尹황先生古宅) 1985.12.31. 충청남도 민속문화재 제8호'로 지정된 내용도 추가해주세요.
참고: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 답변
  • 관련 내용은 향후 수정증보 사업을 통해 반영하겠습니다.
2020.09.15
지** '논산윤황선생재실이 2004.10.30.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391호로 지정'된 내용을 추가해주세요.
참고: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 답변
  •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을 이용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제기하신 의견에 따라 내용수정을 완료했습니다. 앞으로도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2020.09.15
관** 디지털논산문화대전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수정증보 시 해당 내용 추가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012.08.14
박** 송시열 활동사항; 마지막에 '노성 보인당(輔仁堂)의 『강안(講案)』(1617년 작성)에 의하면 송시열이 동조사(東曹司)로 되어 있어 이 지역 사류들과 강학하고 교유하였음을 알 수 있다'로 기술된바, 강유사(講有司) 윤황도 똑 같이 기술되어야할 것 같아 다시 수정요청합니다. 윤순거, 송준길, 송시열, 김익희 등 믾은 후학들에게 강론한 것으로 추정. 2012.08.11
관** 디지털논산문화대전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올려주신 고귀한 의견 참조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012.03.20
박** 1566율곡 기문을 받아 100여년 이상 운영된 보인당(輔仁堂)의 1617년 강안에 김상헌,김집,講有司 윤황,이위,송국택,정온,윤순거,송준길,송시열,김익희 라는 사실이 충남대학유학연구소편, [암천박증의 도학정신과 유물유적],이종성,"보인당과 기호유학"P.102,참조하시면 알 수 있어요.선처앙망. 2012.03.15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