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60004048 |
---|---|
한자 | 光州孝德初等學校 |
영어공식명칭 | Gwangju Hyoduk Elementary School |
이칭/별칭 | 광주효덕초,광주효덕초교,효덕초,효덕초교 |
분야 | 문화·교육/교육 |
유형 | 기관 단체/학교 |
지역 | 광주광역시 남구 화산로 7[진월동 505-4]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신송 |
개교 시기/일시 | 1935년 7월![]() |
---|---|
개칭 시기/일시 | 1956년 2월![]() |
개칭 시기/일시 | 1996년 3월![]()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1998년 3월 - 광주효덕초등학교 광주광역시 교육청 지정 제2차 교단선진화 시범학교 운영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2010년 3월 1일 - 광주효덕초등학교 광주광역시교육청 지정 수영 교육 연구학교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2020년 3월 1일 - 광주효덕초등학교 2020학년도 빛고을혁신학교 신규 지정 |
최초 설립지 | 효지공립보통학교 - 광주광역시 남구 화산로 7[진월동 505-4] |
현 소재지 | 광주효덕초등학교 -
광주광역시 남구 화산로 7[진월동 505-4]![]() |
성격 | 공립초등학교 |
설립자 | 광주광역시 |
전화 | 062-650-1104 |
홈페이지 | http://kjhd.gen.es.kr |
광주광역시 남구 진월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광주효덕초등학교의 교육 목표는 ‘따뜻한 품성으로 더불어 살아가는 예의 바른 학생[도덕인], 즐겁게 공부하고 창의적으로 생각하는 학생[창조인], 꿈과 끼를 가꾸고 스스로 미래를 준비하는 학생[개성인], 몸과 마음이 건강하고 자신을 사랑하는 학생[건강인]’이다. 교훈은 ‘성실한 마음, 튼튼한 몸’이다.
광주효덕초등학교는 1935년 7월에 효지공립보통학교로 개교하였다. 1956년 2월 광주효덕국민학교로 교명을 개칭하였으며, 1996년 3월에 광주효덕초등학교로 개칭하였다. 2019년 3월 1일 제33대 김해숙 교장이 부임하였으며, 2021년 1월 14일 제82회 졸업식을 통해 총 18,672명의 졸업생을 배출하였다.
광주효덕초등학교는 실천 중심의 인성교육을 강화하고, 배려와 나눔의 실천을 교육하고 있다. 자기 주도적 학습을 정착할 수 있도록 하며, 창의적인 문제해결력을 가질 수 있도록 교육하고 있다. 또한, 1인 1자랑 재능교육을 충실히 이행하고 있으며, 체계적인 진로교육을 실천하고 있다.
1. 교가[작사 허연/작곡 박기석]는 다음과 같다.
보아라 무등산에 해가 솟으면/ 자라나는 우리의 커다란 희망/ 새 나라 새 마을에 터를 다듬어/ 내 고장 복된 씨를 어서 뿌리자/ 정다운 보금자리 즐거운 우리 학교/ 영광이 다가온다 효덕초등학교
2. 교목은 히말라야시다이다.
3. 교화는 개나리이다.
4. 교색은 녹색이다.
광주효덕초등학교는 2021년 5월 기준 총 39학급[특수학급 1학급 포함]에 833명[남 415명, 여 418명]의 학생이 재학하고 있다. 교직원은 교장 1명, 교감 1명, 부장교사 13명, 교사 32명, 특수교사 1명, 영양교사 1명, 보건교사 1명, 유치원 교사 1명, 행정직 10명, 일반직 3명, 기타 16명으로 총 80명이 근무하고 있다. 학교 부지 총면적은 17,653㎡로, 이 중 교사 대지면적은 14,275㎡, 운동장 면적은 3,378㎡이다. 학교 시설로는 일반교실, 과학실, 컴퓨터실, 시청각실, 방송실, 악기실, 영어체험실, 방과후교실, 정보실, 돌봄교실, 보건실, 학습도움실, 음악실, 강당 등을 갖추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