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60002896 |
---|---|
한자 | 光州非正規職- |
분야 | 정치·경제·사회/사회·복지 |
유형 |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
지역 | 광주광역시 광산구 사암로215번길 59[우산동 1578-1]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박경섭 |
설립 시기/일시 | 2006년 9월![]() |
---|---|
최초 설립지 | 광주비정규직센터 - 광주광역시 광산구 사암로215번길 59[우산동 1578-1] |
현 소재지 | 광주비정규직센터 -
광주광역시 광산구 사암로215번길 59[우산동 1578-1]![]() |
성격 | 비정규직 지원 단체 |
전화 | 062-951-6615 |
홈페이지 | 광주비정규직센터(http://www.kjbijunggu.net) |
광주광역시 광산구 우산동에 있는 비정규직 노동 지원 기관.
광주비정규직센터는 비정규직 노동자의 권리 보호와 차별 해소, 사회적 양극화를 해소하고 사회적 연대를 강화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한국비정규노동센터를 모델로 하여 2006년 9월 광주비정규직센터를 개소하였다. 2007년 2월 22일 비영리 민간 단체로 등록하였다. 같은 해 2월 28일 비영리 민간 법인으로 등록하였다. 2013년 11월 21일 사단법인 광주비정규직센터로 법인 전환하였다.
광주비정규직센터의 주요 사업은 정책 연구 및 제도화[노동 현장 실태 및 동향 분석], 사회적 연대 구성, 청년 비정규직 지원[청년 일자리 및 처우 개선 활동, 노동 상담 및 권리 구제], 사회 여론화가 있다.
광주비정규직센터에서는 2012년 「광주광역시 비정규직근로자 권리보호 및 지원에 관한 조례」가 제정되도록 노력하였다. 같은 해 10월 광주인권회의를 결성하는 데 힘을 모았고, 12월에는 한국비정규직노동단체네트워크 결성에 참여하였다. 2013년 광주광역시의 12개 노동조합, 단체들과 함께 ‘광주지역비정규직연대회의’를 결성하여 비정규직 문제 해결의 제도화와 사회적 연대에 힘쓰고 있다. 2013년 10월부터 광주광역시가 설립한 광주광역시비정규직지원센터를 수탁하여 운영하고 있다.
2019년 기준 회원수는 80명이며 임원은 9명이다. 대표는 소장이 맡고 있고, 주요 임직원으로 이사장과 이사, 감사가 있다.
광주비정규직센터는 지역사회에서 상대적으로 비정규직 노동자에 대한 공감과 이해가 낮은 상황에서 비정규직 노동자를 위한 활동 거점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센터 개소와 함께 지역의 비정규직 현황과 실태에 초점을 맞추어 비정규직 문제를 알리는 데 주력하면서 정책 개발 사업에 매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