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양방죽에서 고기 잡다」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5233
한자 景陽-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설화
지역 광주광역시 동구 용산동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염승연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채록|수집|조사 시기/일시 2018년 2월 21일 - 「경양방죽에서 고기 잡다」 광주광역시 동구 용산동 화산마을에 거주하는 최복연의 이야기를 채록
채록지 화산마을 - 광주광역시 동구 용산동 지도보기
성격 현대구전설화
주요 등장 인물 최복연|최복연의 아버지|아버지의 친구들
모티프 유형 경험담|회상

[정의]

광주광역시 동구 용산동 화산마을에서 전해 내려오는 경양방죽에 관한 경험담.

[개설]

「경양방죽에서 고기 잡다」는 당시 경양방죽의 모습과 고기를 잡고 놀았다는 이야기이다.

[채록/수집 상황]

2018년 2월 21일 광주광역시 동구 용산동 화산마을 경로당에서 주민 최복연(남, 87세)의 이야기를 채록하였으며, 한국학중앙연구소에서 주관하는 한국구비문학대계(https://gubi.aks.ac.kr)에 수록되었다.

[내용]

「경양방죽에서 고기 잡다」는 최복연이 어렸을 때 경양방죽 근처에 살았을 때 겪은 일이다. 경양방죽은 큰 연못이어서 수로가 마을까지 나올 정도였다. 최복연이 살았던 옛날 신안동은 '재뫼'라 불렀는데, 신안동에 있는 전남방직 앞 들이 커서 '들재뫼'라고도 불렀다. 비가 오면, 경양방죽이 범람하여 수로로 팔뚝만 한 물고기가 내려왔다. 그곳에 최복연의 아버지와 친구들이 시누대[신우대]로 발을 엮고, 수문으로 넘어온 고기를 잡았다. 그래서 고기를 잡은 날 저녁에 최복연은 석유로 호롱불을 켜고 잡은 고기를 같이 먹었다고 회상하였다. 경양방죽은 1967년 광주시에서 태봉산을 헐어 방죽을 메워 현재 남아 있지 않다.

[모티프 분석]

「경양방죽에서 고기 잡다」의 주요 모티프는 '특정 장소에 관한 경험담'이다. 경양방죽은 현재 남아 있지 않지만, 최복연이 어렸을 때 살았던 마을과 경양방죽과 관련된 이야기를 통해서 당시 경양방죽의 모습을 알 수 있다.

[참고문헌]
  • 한국구비문학대계(https://gubi.aks.ac.kr)
  • 광주시청각자료실(http://gjarchive.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