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60000522 |
---|---|
한자 | 不動橋 |
영어공식명칭 | Budonggyo Bridge |
이칭/별칭 | 불로동다리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도로와 교량 |
지역 | 광주광역시 남구 사동|동구 불로동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백현명 |
준공 시기/일시 | 1933년![]() |
---|---|
전구간 | 부동교 - 광주광역시 남구 사동~동구 불로동 |
해당 지역 경유 구간 | 부동교 -
광주광역시 남구 사동~동구 불로동![]() |
성격 | 교량 |
길이 | 60m |
차선 | 인도교 |
폭 | 5.5m |
광주광역시 남구 사동과 동구 불로동을 연결하는 교량.
광주광역시에 설치된 소교량으로 남구 구동과 동구 불로동을 이어주며, 그 사이의 광주천을 건널 수 있도록 가설된 교량이다.
부동교는 '불로동다리'로도 불리는데, 조선시대부터 불로동 일대를 지칭하여 부동방면(不動坊面)으로 불렀다. 일제강점기에 이 일대의 명칭이 변형되어 부동정(不動町)으로 불리게 되었는데, 부동교라는 교량명은 이에 유래한다. 3.1운동과 5.18광주민주화운동 당시 수천 명의 인파가 집결하였던 장소로 불의에 맞서 대항하던 우리 민족의 단결력을 보여주는 상징적인 장소이다.
부동교는 광주천을 건널 수 있는 인도로 사용되는 교량으로 총 길이는 60m, 교량의 총 폭은 5.5m, 유효 폭 넓이는 4.9m, 교량의 높이는 5m이다. 교량의 경간 수는 6개이고, 최대 경간장은 10m이다. 상부구조 형식은 라멘교이고, 하부구조 형식은 라멘식이다. 교량 난간 재질은 주철을 사용하였고, 설계하중은 T9가 적용되었다.
부동교는 1933년에 가설된 교량으로 1920년대 진행되었던 광주천 개수공사 사업의 산물이라고 볼 수 있다. 개수공사가 진행되면서 광주공원 초입에 새로 형성된 사정시장(社町市場)과 광주광역시 시내 사이를 잇는 교량의 필요로 가설된 교량이 부동교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