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충청남도 부여 지역에서 나타나는 지질의 분포 및 각론. 충청남도 부여군 지역에는 크게 선캄브리아기, 중생대 쥐라기와 백악기, 신생대 제4기의 세 지질시대의 암석층이 분포한다. 부여군 지역 안에서 가장 오래된 지질시대인 선캄브리아기에 형성된 암석으로는 운모편암과 편마암이 있다. 운모편암은 부여군의 북서부 외산면과 은산면에, 남부 지역인 양화면, 동부 지역인 석성면에 분포한다. 반면...
-
충청남도 부여 지역에서 나타나는 지표면의 기복 형태. 부여군은 일반적으로 ‘서북고 남동저’의 지형 형태를 띠고 있어, 서쪽과 북쪽이 높고 남쪽과 동쪽이 낮다. 부여군의 서쪽과 북쪽은 차령산맥으로 인한 산지 지형을 이루고 있으며, 남쪽과 동쪽은 금강 유역의 평야에 해당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부여군의 지형은 크게 서북부 산지, 중앙부 저지, 동남부 구릉지, 남동부 저지의 4가지 지형구...
산
-
충청남도 부여 지역에 분포하는 평지보다 높이 솟아 있는 지형. 부여군은 대체로 서쪽과 북쪽이 높고 남쪽과 동쪽은 낮은 ‘서북고 남동저’의 지형 형태를 이룬다. 서북고 남동저 형태의 지형은 부여군의 서쪽과 북쪽이 차령산맥 말단부를 이루며, 남쪽과 동쪽은 금강 유역의 충적 평야를 이루는 데서 기인한다. 따라서 부여군의 산 지형은 서북부의 산지, 동남부의 구릉성 산지로 구분된다. 서북부...
-
강원도 홍천군 오대산 부근에서 분기하여 충청남도 부여군을 거쳐 서천군에 이르는 산줄기. 부여는 서쪽과 북쪽은 높고, 남쪽과 동쪽은 낮은 ‘서북고 남동저’ 지형 형태를 띤다. 차령산맥(車嶺山脈)은 보령시와의 경계선상을 지나며, 만수산, 아미산, 월명산 등 대체로 400~600m의 험준한 산을 이루면서, 외산면, 내산면, 옥산면, 은산면 북서부 등을 지난다....
-
경기도 안성시 칠장산에서 금강의 서북쪽 충청북도 지역을 가로질러 충청남도 부여군을 거쳐 태안군 근흥면 정죽리 안흥진으로 이어지는 산줄기. 금북정맥(錦北正脈)은 한남금북정맥의 안성시 칠현산에서 이어져 태안반도 안흥진에 이르는 약 295㎞에 이르는 산줄기이다. 『산경표(山經表)』에는 금북정맥에 해당하는 산으로 청룡산(靑龍山), 성거산(聖居山), 망일치(望日峙), 월조산(月照山), 의랑...
-
전라북도 진안군의 주화산에서 시작하여 서북쪽으로 이어져 충청남도 부여군의 부소산에 이르는 산줄기. 금남정맥(錦南正脈)은 금남호남정맥의 서쪽 끝 지점인 주화산에서 호남정맥과 남북으로 나뉘어 북쪽의 대둔산과 부여의 부소산으로 이어지는 137.7㎞의 산줄기이다....
-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쌍북리·구아리·가탑리·동남리 등에 걸쳐 있는 산. 금성산(錦城山)은 백제 삼영산(三靈山)의 하나인 일산(日山)으로 비정된다....
-
충청남도 부여군 외산면과 보령시 미산면·성주면의 경계를 이루는 산. 전설에 의하면 한 승려가 홍산과 남포 사이에 만인이 살 곳이라 해서 만수산(萬壽山)이라 하였다고 한다.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홍성현’에는 “현 북쪽 47리[18.5㎞]에 있다”고 전하며, 『여지도서(輿地圖書)』 ‘홍성현’에는 “현 관아 북쪽 37리[14.5㎞]에 있다. 홍산 성태산(星台山)에서 뻗...
-
충청남도 부여군 초촌면 세탑리에 있는 산. 망월산(望月山)은 충청남도 부여군 초촌면의 북서쪽 세탑리 탑골마을 뒤에 있다. 망월산은 높이 204m의 완만한 산이다....
-
충청남도 부여군 구룡면 현암리와 은산면 내지리·합수리의 경계를 이루는 산. 망진산(望震山)은 옛날에 한 충신이 간신에게 몰려 숨어 살면서 날마다 산에 올라 임금이 있는 서울을 바라보며 근심하였다고 하여 망진산(望震山), 망진산(望辰山), 망심산(望心山)이라 하였다. 바다가 보인다고 하여 망해산(望海山)이라고도 하였다. 『1872년 지방도(一八七二年地方圖)』「부여현지도(扶餘縣地圖)」...
-
충청남도 부여군 외산면 갈산리에 있는 산. 백마산(白馬山)은 부여군에 흐르는 백마강과 이름이 비슷하기는 하나, 백마강과는 떨어진 지역에 있어서 이름의 유래가 확실하지 않다....
-
충청남도 부여군 규암면 진변리에 있는 산. 부산(浮山)은 충청남도 부여군 규암면 진변리에 있는 높이 106m의 산이다. 부산은 오산(吳山), 일산(日山)과 함께 삼영산(三靈山)으로 불려 왔다. 한편, 신성한 의미를 지닌 삼산의 개념은 백제가 수도를 사비로 옮긴 성왕 대에 성립되었을 가능성을 보여 준다. 『삼국유사(三國遺事)』「남부여 전백제 북부여(南扶餘 前百濟 北扶餘)」 조에 “고...
-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쌍북리, 구아리, 구교리에 걸쳐 있는 산. 부소산(扶蘇山)은 부여읍의 북쪽에 해당하는 진산이며, 높이는 106m이다. 금강의 하류에 해당하는 백마강과 맞닿아 있다. 백제 시대에는 부소산을 중심으로 왕성이 설치되어 백제가 사비[현 부여]로 천도하였을 때 중심지 역할을 하였다. 백제가 멸망한 뒤에도 통일 신라, 조선까지 행정 치소의 역할을 하였으며, 일제 강점기...
-
충청남도 부여군 외산면과 청양군 남양면·보령시 청라면의 경계를 이루는 산. 성태산(星台山)은 부여군 외산면 수신리와 청양군 남양면, 보령시 청라면의 경계를 이루는 631m의 산이다. 차령산맥이 이어지는 비교적 높은 산지에 속하며, 부여군 내에서 가장 높은 산이다....
-
충청남도 부여군 임천면 군사리와 장암면 지토리에 걸쳐 있는 산. 성흥산(聖興山)은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 “현 동쪽 26리[10㎞]에 있다”라고 기록되어 있으며, 『여지도서(輿地圖書)』에 “관아의 동쪽 26리에 있다. 홍산현 월명산(月明山)에서 뻗어 나와 아미산의 으뜸이 되는 줄기가 된다”라고 수록되어 있다. 백제 동성왕 때 쌓은 성흥산성이 있어 ‘성흥산’이라 하였...
-
충청남도 부여군 규암면 합정리, 호암리, 금암리에 걸쳐 있는 산. 수리봉(修理峰)은 매 형상을 하고 있어 ‘수리봉’이라고 하는데, 조선 시대에는 취령산(鷲靈山)이라 불렀다고 한다.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부여현’에 “현 서쪽 20리[7.8㎞]에 있다”라고 되어 있으며, 『여지도서(輿地圖書)』 ‘부여현’에는 “관아의 서쪽 30리[11.7㎞]에 있다. 줄기가 정산(定山...
-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능산리와 염창리에 걸쳐 있는 산. 오산(烏山)은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능산리와 염창리에 걸쳐 있는 180ⅿ의 산이다. 백제 사비기에 신성시되었던 삼산(三山), 즉 오산(吳山), 부산(浮山), 일산(日山) 가운데 한 산으로서, 국토를 수호하는 상징적인 산으로 기능하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과 『해동지도(海東地圖)』를 참조하면...
-
충청남도 부여군 옥산면 중양리와 보령시 미산면 삼계리, 내평리, 옥현리, 풍산리에 걸쳐 있는 산. ‘옥녀봉(玉女峰)’이라는 이름은 전국에 100여 개가 있으며 주로 풍수지리와 관련된 유래가 전하지만, 부여군의 옥녀봉에 대한 유래는 전하는 바가 없다. 다만, 일명 각시봉이라고도 불리며, 서쪽의 보령시에 신랑봉이 있다....
-
충청남도 부여군 내산면 금지리, 외산면 가덕리와 보령시 미산면 도흥리의 경계를 이루는 산. 월명산(月明山)은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홍산현’에 “현 북쪽 9리[3.5㎞]에 있다”라고 되어 있으며, 『여지도서(輿地圖書)』 ‘홍산현’에 “관아의 북쪽 9리에 있다. 아미산에서 뻗어 온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월명산은 『산경표(山經表)』에 따르면 금북정맥의 기맥(岐脈)에...
-
충청남도 부여군 외산면 화성리·복덕리, 내산면 온해리에 걸쳐 있는 산. 월하산(月下山)은 『한국지명유래집』에 따르면 들을 내려다보면서 높이 솟아 있어서 ‘달 아래 우뚝 솟은 산’이라는 의미에서 붙은 지명으로 전한다....
-
충청남도 부여군 내산면 천보리와 홍산면 상천리에 걸쳐 있는 산. 천보산(天寶山)은 『한국지명유래집』에 따르면 “가물 때 기우제를 지내면 이 산으로부터 비구름이 밀려와 비가 내린다”고 하여 명칭이 붙여졌다고 전한다. 『여지도서(輿地圖書)』 ‘홍산현’에 “관아의 북쪽 13리[5㎞]에 있다. 거차산에서 뻗어 온다”고 기록되어 있으며, 『산경표(山經表)』의 금북정맥의 기맥(岐脈)에 해당하...
-
충청남도 부여군 은산면 각대리, 내산면 마전리·주암리에 걸쳐 있는 산. 축융봉(祝融峯)은 불의 신 축융(祝融)에게 비를 내려 달라고 제사를 지내는 산이라는 데서 유래한 이름이라고 전한다....
-
충청남도 부여군 석성면 정각리, 증산리, 현내리에 걸쳐 있는 산. 태조봉(太祖峰)은 부여군 석성면에서 가장 높은 산이며, 석성현 주룡(主龍)의 태조라는 뜻으로 붙은 이름이다. 『여지도서(輿地圖書)』 ‘석성현’에 “관아의 북쪽 9리[3.5㎞]에 있다. 망월산 내룡(來龍)의 왼쪽 가지이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조선지지자료』에는 “태조봉은 백제의 태조가 놀러 왔던 곳”이라는 설명이 덧...
-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현북리, 석성면 현내리·봉정리에 걸쳐 있는 산. 파진산(破陣山)은 『여지도서(輿地圖書)』 ‘석성현’에 ‘파진산(波鎭山)’으로 되어 있으며, “관아의 서쪽 4리[약 1.5㎞], 백야치 아래에 있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산경표(山經表)』에는 금남정맥에 속하는 산으로 수록되어 있다. 한편, 국사봉에서 용머리산을 거쳐 파진산으로 이어지는 능선의 동쪽 자락은 옛 석...
하천
-
충청남도 부여군에서 일정한 유로를 가지고 지표를 흐르는 물줄기. 하천(河川)은 강수를 통하여 지표에 공급된 물이 일정한 유로를 유지하면서 경사진 지표면을 흘러내리는 현상을 말한다. 하천에 물을 공급하는 공간적 범위를 유역(流域)이라 하며, 유역의 경계선을 분수계(分水界)라고 한다....
-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상금리에서 발원하여 송곡리, 가증리를 거쳐 쌍북리에서 금강에 합류하는 하천. 『여지도서(輿地圖書)』에 따르면, 가증천은 부여군 몽도면[현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가증리]의 중심을 뚫고 서남쪽으로 흐르는 천이며, 금강으로 합류한다. 가증천은 ‘가징개’ 또는 ‘가증’, ‘광지포(光之浦)’라고 불렀는데, 정확한 명칭 유래는 전하지 않는다....
-
충청남도 부여군 외산면 갈산리에서 발원하여 흐르다가 반교리에서 반교천에 합류하는 하천. 갈산천(葛山川)이 흐르는 부여군 외산면 갈산리에 꾀깔봉이라는 산이 있는데, 꾀깔봉 아래 마을이 형성되어 괴까리, 고갈 혹은 갈산이라고 불렸던 것에서 유래하였다고 전한다....
-
충청남도 부여군 세도면 장산리에서 발원하여 귀덕리를 거쳐 청포천과 합류하여 금강으로 들어가는 하천. 계양천(桂陽川)은 귀덕리 마하동저수지에 저장된 후, 하류로 방류되어 계양교를 지나 닭뫼에서 청포천과 합수한다. 계양천의 양쪽 기슭에는 논이 분포하여 있다. 마하동저수지 하류부터 계양천은 저수지에서 방류된 물의 수로 역할도 한다. 계양천과 청포천이 합류하는 금강 연변에는 넓은 충적 평...
-
충청남도 부여군 내산면 금지리에서 발원하여 구룡면 용당리에서 금천과 만나 금강으로 들어가는 하천. 구룡천 상류에서는 구룡천에 의하여 형성된 사력 퇴적 지형인 선상지가 나타난다. 선상지는 주로 농경지 및 주거지로 이용되고 있으나 비교적 자연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선상지 주변으로 습지를 비롯한 하천 지형이 발달하였다....
-
전라북도 장수군 수분리에서 발원하여 충청남도 부여군의 부여읍, 장암면, 석성면, 세도면을 거치며 서천군 마서면 금강하굿둑으로 흘러가는 국가 하천. 부여에서 금강(錦江)의 본류는 부여읍 저석리에서 시작하여 세도면 반조원리까지 흐르며, 유로 연장은 약 25.2㎞이다. 해당 구간은 하천 등급상으로 국가 하천에 속한다. 금강은 본류인 국가 하천과 지천인 지방 하천으로 구분된다. 금강은 전...
-
충청남도 부여군 옥산면 상기리에서 발원하여 남쪽으로 흘러 옥산저수지를 이루고 동쪽으로 흘러 장암면 정암리에서 금강에 합류하는 하천. 남면-금천[지방] 기점의 금천(金川)에는 두 곳에 하천 습지가 형성되어 있다....
-
충청남도 부여군 남면 마정리에서 발원하여 장암면, 충화면을 거쳐 장암면 합곡리에서 금천과 합류하여 금강으로 들어가는 하천. ‘마정천(馬井川)’이라는 이름은 마정리에서 유래하였는데, ‘마정(馬井)’이라는 지명은 예전에 부여군 남면 마정리 지역에 큰 우물이 있어서 붙여진 것으로 전한다....
-
충청남도 부여군 외산면 만수리에서 발원하여 만수리를 지나 웅천천에 합류하는 하천. ‘만수천(萬壽川)’이라는 명칭은 만수천이 흐르는 만수리(萬壽里)에서 유래하였다. 만수리는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 때 만수산(萬壽山)에서 이름을 따왔다고 한다. 전설에 의하면 만수산은 한 승려가 홍산과 남포 사이에 만인이 살 곳이라 하여 생겨난 이름이라고 한다....
-
충청남도 부여군 외산면 반교리에서 발원하여 서북쪽 방면으로 흘러 웅천천에 합류하는 하천. ‘반교천(盤橋川)’이라는 이름은 판교(板橋)에서 유래하였는데, 반교천이 흐르는 반교리에 널판으로 놓은 다리가 있다 하여 판교라 부르다가 반교라고도 부른 데서 유래하였다고 한다....
-
충청남도 부여군 규암면 호암리 천정대에서 세도면 반조원리를 흐르는 하천. 금강은 충청남도 공주시에서 부여군 부여 읍내를 향하여 북동에서 남서 방향으로 곧장 흘러오다가 부여 읍내에서 논산시 강경 읍내를 향하여 거의 직각으로 좌회전한다. 이후 대체로 북서-남동 방향을 따라 산줄기를 횡단하며 흘러 나간다. 백마강(白馬江)의 범위는 명확하지 않으나 대체로 부여읍과 규암면, 장암면, 세도면...
-
충청남도 부여군 장암면 북고리에서 발원하여 금강에 합류하는 하천. 북고천(北皐川)의 정확한 명칭 유래는 알려져 있지 않으며, 북고천은 부꾸내 혹은 북구천이라고도 불린다....
-
충청남도 부여군 임천면 점리에서 발원하여 장암면을 거쳐 임천면 두곡리에서 금강에 합류하는 하천. 사동천(寺洞川)의 상류 유역 경계는 높이 80m~260.1m의 구릉성 산지들로 이루어져 있다. 가장 높은 산지는 성흥산이며, 중하류에서 가장 높은 산지는 대흥산이다. 유역 경계의 높이는 전반적으로 동쪽에 비하여 서쪽이 높다....
-
충청남도 부여군 장암면 상황리에서 발원하여 하황천과 합류하여 금강으로 들어가는 하천. 상황천(上黃川)의 발원지인 상황리는 조선 시대 임천군 남산면에 속하였는데, 풍양 조씨가 이주하여 마을을 형성한 곳이라고 한다. 당시 남산면 지역의 산과 들의 흙빛이 모두 누렇다고 하여 ‘누른드리’, ‘누른다리’, ‘누루다리’라고 불린 것이 ‘황교’가 되었다고 전한다. 상황천의 명칭은 위 황교를 ‘...
-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용정리에서 발원하여 석목리를 거쳐 정동리에서 가증천과 합류하여 금강으로 들어가는 하천. 석목천(石木川)의 유역 경계에는 높이 209.3m 이하의 구릉성 산지들이 있다. 남서쪽에서 가장 높은 산지가 나타나고 북서쪽에 높이 172.9m의 경계가 있다. 석목천은 구릉성 산지 사이를 흘러 가증천에 합류한다. 석목천 양쪽 기슭으로 면적이 넓지 않은 농경지가 분포한다....
-
충청남도 공주시 이인면 복룡리에서 발원하여 충청남도 부여군 초촌면 송정리를 거쳐 석성면 봉정리에서 금강에 합류하는 하천. 공주시에 속하는 석성천(石城川)의 상류는 석성천에 의하여 형성된 하천 퇴적 지형인 곡저 평야가 나타나며, 대부분 경작지로 이용되고 있다. 석성천과 하관천이 합류하는 지역에서는 침식 분지가 형성되어 있다. 침식 분지 내에 구릉성 산지 및 하천 충적 평야가 폭넓게...
-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염창리에서 발원하여 왕포천과 합류하여 금강으로 들어가는 하천. ‘염창천(鹽倉川)’이라는 이름은 염창천이 발원하는 염창리에서 왔다. 염창리에 백제 시대 소금의 저장과 배급을 맡아보던 의염창(義鹽倉)이 있었다고 전한다....
-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능산리에서 발원하여 가탑리, 동남리, 왕포리를 거쳐 금강에 합류하는 하천. 왕포천(旺浦川)은 왕포리 지역을 흐르기 때문에 이름을 붙였다....
-
충청남도 부여군 외산면 문신리에서 발원하여 보령시 웅천읍 노천리에서 서해로 합류하는 하천. 웅천천(熊川川)은 충청남도 보령시 웅천읍을 상징하는 하천으로, 웅천읍 노천리에서 서해로 합류한다. ‘곰내’에서 ‘한내’, ‘대천’으로 변천되어 불리는 과정에서 ‘웅천(熊川)’이라는 지명이 유래하였다는 설이 있다. 또한 ‘웅천’은 이 일대를 흐르는 산줄기의 모습이 풍수지리에서 말하는 곰의 형국...
-
충청남도 부여군 양화면 족교리에서 발원하여 족교리와 원당리를 거쳐 금강에 합류하는 하천. 원당천(元堂川) 하류 지역인 암수리 부근에 원당천에 의하여 형성된 충적 평야가 있다. 하천의 양쪽 기슭에는 농경지가 발달하여 있다. 원당천 인근에 누룩뱀도롱뇽, 아무르장지뱀 등이 서식하며, 원당천 배수장과 암수리 일대는 배스 낚시의 명당으로 알려져 있다....
-
충청남도 부여군 양화면 송정리, 충화면 가화리에서 발원하여 흐르다가 서천군 한산면에서 금강으로 들어가는 하천. 원산천(院山川) 상류에는 산 사면이 수직에 가까운 급애가 형성되어 있다. 원산천에는 하천의 범람으로 자연 제방이 존재하는 범람원이 나타난다. 원산천의 범람원은 수언들, 임천들, 상촌들, 신성들 등으로 불린다. 원산천과 금강이 합류하는 지역에 습지 보호 지역인 신성 습지가...
-
충청남도 부여군 은산면 나령리에서 발원하여 은산리와 규암면을 가로질러서 금강에 합류하는 하천. 은산천(恩山川)에는 하천에 건설된 보로 인한 유속 감소의 영향으로 형성된 하천 습지가 나타난다. 주변에 범람원과 같은 일부 하천 지형이 형성되어 있다....
-
충청남도 부여군 초촌면 세탑리에서 발원하여 응평리·연화리를 거쳐 석성천과 합류하여 금강으로 들어가는 하천. 응평리를 통과하는 하천이라 응평천(鷹坪川)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연화리도 통과하므로 연화천(蓮花川)이라고도 불린다....
-
충청남도 부여군 임천면 군사리에서 발원하여 만사리에서 칠산천과 합류하여 금강으로 들어가는 하천. 임천천(林川川) 상류에는 하천을 따라 다양한 지형이 형성되어 있다. 풍화 작용에 의하여 형성된 돌출 암석 토르가 나타난다. 산 사면이 수직에 가까운 지형인 급애(急崖)는 식생의 침입으로 관찰이 쉽지 않거나, 도로 개설로 인하여 많이 훼손되었다. 화학적 풍화 작용에 의하여 기반암 표면에...
-
충청남도 부여군 임천면 가신리에서 발원하여 탑산리를 거쳐 양화면 입포리에서 금강에 합류하는 하천. 입포천(笠浦川)은 『조선지형도(朝鮮地形圖)』에는 기록이 나타나지 않는다. 다만 임천면의 동남쪽으로 흘러 금강으로 유입되는 하천이 묘사되어 있어 입포천으로 짐작할 수 있다. 해당 하천이 금강과 만나는 지점에 ‘입포리’라는 지명이 등장하고 강을 건너 제성리(帝城里)와 연결되는 지점이 입포...
-
충청남도 부여군 세도면 청송리에서 발원하여 동사리, 간대리를 거쳐 금강에 합류하는 하천. 주교천(舟橋川)은 지방 2급 하천인 산북천과 동사리와 청송리, 간대리 일대에서 남북 방향으로 나란히 흐른다. 발원지로부터 금박골과 모사골 등을 거쳐 금강으로 유입된다. 주교천의 유역 경계는 높이 약 60m 이하의 구릉지로 이루어져 있는데, 동쪽의 구릉지는 새울고개라 불리며, 서쪽의 구릉지는 윤...
-
충청남도 부여군 초촌면 신암리에서 발원하여 석성면 정각리, 증산리를 거쳐 석성천과 합류하여 금강으로 들어가는 하천. 증산천(甑山川)의 명칭은 ‘증산’이라는 산지 지형의 모양에서 유래하였다. 산의 모양이 시루처럼 생겼다 하여 시루미, 미르메 또는 증산이라 불렀다고 한다....
-
충청남도 청양군 대치면에서 발원하여 부여군 은산면과 청양군 장평면의 경계를 흐르다가 규암면 호암리에서 금강에 합류하는 하천. 『한국지명총람』에는 ‘지천(枝川)’ 또는 ‘지천(之川)’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금강의 가지에 해당하여 가지내 또는 가지내를 한자화하여 ‘지천(枝川)’이라 부른다고 한다....
-
충청남도 부여군 충화면 지석리에서 발원하여 충화면과 임천면을 거쳐 임천면 칠산리에서 금강에 합류하는 하천. 칠산천(七山川)은 발산을 적시는 냇물이라 하여 발산천(鉢山川) 혹은 오목내라고도 부른다....
-
충청남도 부여군 석성면 정각리에서 발원하여 봉정리에서 석성천과 합류하여 금강으로 들어가는 하천. 현내천(縣內川) 상류의 유역 경계는 200m 내외의 구릉성 산지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중 태조봉과 국사봉, 용머리산이 유역 경계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봉우리에 해당한다. 중하류에서는 봉황산, 동골산이 증산천과의 유역 경계를 이루고 있다. 현내천의 상류인 현내리에는 농업용 저수지인 청룡지가...
-
충청남도 부여군 홍산면 토정리에서 발원하여 북촌리에서 금천과 합류하여 금강으로 들어가는 하천. 홍산천(鴻山川)의 명칭은 조선 시대 홍산현(鴻山縣)과 연관되어 있다.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이 소장하고 있는 조선 후기 지방 지도인 「홍산현지도(鴻山縣地圖)」에는 홍산현의 동쪽에 남북 방향으로 흐르는 물줄기가 그려져 있다. 「홍산현지도」에 그려진 남북 방향의 물줄기가 바로 홍산천이...
-
충청남도 부여군 외산면 화성리의 동쪽 새재고개에서 발원하여 복덕천에 합류하는 하천. 화성천(花城川)은 복덕천의 최상류 지류이며 상류 지역에는 동쪽의 은산면과 서쪽의 외산면 일대에 높이 300~400m 내외의 산지가 분포한다. 이러한 산지에서 은산면과 외산면을 연결하는 곳을 새재고개 또는 조령이라고 부른다. 조령길은 왕복 1차선의 좁은 길이며, 조령의 동쪽에 해당하는 은산면으로 향하...
-
충청남도 부여군 세도면 화수리에서 발원하여 사산리를 지나 반조원리에서 금강에 합류하는 하천. 군관산과 토성산으로 연결되는 구릉성 산지가 화수천(花樹川)의 북동쪽 유역 경계를 이루며, 남서쪽 유역 경계에는 높이 100m 미만의 구릉지가 있다. 상류에 있는 화수저수지의 총 저수량은 7,600㎥이며, 제방의 높이는 4.5m, 길이는 89m이다. 화수천이 금강에 유입되는 지역에는 가로 1...
포구
-
충청남도 부여군 구룡면 주정리 구룡천 연변에 있던 포구. 금강으로 유입되는 지방하천인 구룡천에 과거 포구가 있었다고 한다. 포구는 다른 지역과의 물류, 문화 교류의 창구 역할을 하였다. 하천의 반대편으로 건너가기 위한 선착장이 주요 역할이었던 작은 규모의 나루와 구별된다. 따라서 과거 구룡천 연변에는 현재와는 규모가 다른 하천이 흘렀거나 상대적으로 큰 물줄기가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
-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쌍북리 북포에 있던 포구. 대왕포(大王浦)는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쌍북리 북포(北浦)에 있었던 포구로, 백제 무왕이 놀고 잔치하면서 노래 부르고 춤추던 곳이라 하여 ‘대왕포‘라고 불렀다....
평야
-
충청남도 부여군의 기복이 작고 지표면이 평탄한 너른 들. 부여 지역의 평야는 범람원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주변이 산지나 구릉지로 둘러싸여 있다. 부여군의 평야는 우리나라에서 나타나는 평야의 일반적인 특징이 고스란히 나타난다. 우리나라는 산지가 많아 넓은 평야는 많지 않은데 다만 넓은 평야는 대부분 서해 혹은 남해로 흘러드는 큰 하천의 하류 지역에 발달하여 있다. 우리나라의 평야는...
-
충청남도 부여군 구룡면, 남면, 규암면, 장암면에 걸쳐 있는 들. 구룡평야(九龍平野)라는 지명이 언제부터 쓰였는지는 명확하지 않다. 구룡면이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당시 구룡들의 이름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아, 조선 시대부터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1872년 지방지도』에는 고을의 남서쪽에 구룡포(九龍浦)라는 지명이 있고, 『조선지지자료』에는 구룡평야의 기록은 없으나 도성면에 구룡...
고개·바위
-
충청남도 부여군 은산면 거전리에서 청양군 남양면 온직리로 넘어가는 고개. 사양치(斜陽峙)는 『조선지형도』에 표기되어 있다. 『한국지명총람』에서는 사양재라고도 한다. 사양치의 지명 유래는 백제로 거슬러 올라간다. 즉 백제 제31대 왕이었던 의자왕이 물이 좋기로 소문난 남양면의 금정리(金井里)에 있는 금정(金井)의 물을 길어다 마셨는데 금정 사람들이 물을 길어서 바치고 돌아올 때 이...
-
충청남도 부여군 임천면 군사리와 충화면 만지리 사이의 고개. 송현(松峴)은 『조선지도』·『팔도군현지도』·『구한말지도』·『일제지형도』에 기록되어 있다. 소나무 고개 너머라 하여 ‘송현’ 또는 ‘송치(松峙)’라 불렀으며, 솔고개라고도 한다....
-
충청남도 부여군 석성면에서 부여 읍내에 이르는 길목에 있는 고개. 백야치(白也峙)는 『여지도서(輿地圖書)』의 석성현 산천 조에 “현 서북쪽 6리[약 2.3㎞]의 망월산 아래에 있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해동지도(海東地圖)』를 보면 읍치 북쪽에 용머리산과 국사봉이 있어 읍치의 진산 역할을 하고 있다. 그리고 동쪽에는 태조산-망월산-봉황산으로 이어지는 산세가 좌청룡의 역할을 하고,...
-
충청남도 부여군 석성면에 있는 고개. 『해동지도(海東地圖)』에 비당면과 증산면의 주변에 이현(梨峴)과 전동치(戰洞峙) 등의 고개가 있는 것으로 표시되어 있다. 또한, 『여지도서(輿地圖書)』의 석성현 도로 조에는 동이현로가 보이는데, 관문에서 이현까지, 이현에서 수탕교까지 이르러 현재 부여군 초촌면 일부와 논산시 북부에 해당하는 노성군으로 향하는 길로 동이현로를 기록하고 있다....
-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쌍북리 부소산에 있는 바위. 낙화암(落花岩)은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쌍북리 부소산에 있다. 660년 7월 백제는 신라와 당나라 연합군의 공격을 받고 왕도 사비성(泗沘城)이 함락되고 백제가 멸망할 위기에 처하였다. 백제 왕궁에 있던 궁녀들은 적군에 항복하기보다 죽기로 마음먹고 부소산성의 북쪽 강변 바위에서 차례로 떨어져 죽었다는 설화가 전한다. 후대에 궁녀들...
-
충청남도 부여군 내산면 저동리에 있는 바위. 부여 저동리 쌀바위는 충청남도 부여군 내산면 저동리 미암사(米岩寺)에 있는 바위이며, ‘음경석’, ‘촛대바위’, ‘부처바위’ 등으로도 불린다. 2000년 1월 11일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371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0월 12일 충청남도 기념물 제196호로 승격되었으며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고시에 따라 지정...
-
충청남도 부여군 규암면 규암리 수북정 아래에 있는 바위. 자온대(自溫臺)는 백제 무왕이 왕흥사(王興寺)에 예불을 하러 가기 전에 먼저 부처를 바라보고 절을 하였던 곳으로 전해지는 바위이다....
-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쌍북리 백마강 가에 있는 바위. 조룡대(釣龍臺)는 부소산 아래 백마강에 있는 바위이며, 소정방(蘇定方)이 백제 정벌 시 백마를 미끼로 용을 낚은 바위라는 전설이 전한다....
-
충청남도 부여군 규암면 호암리 천정대공원에 있는 바위. 천정대(天政臺)는 백제 시대 재상을 선출하고 중요한 국사를 논의하였다는 신성한 바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