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 강점기 유적 조사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000452
한자 日帝 强占期 遺蹟 調査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사건/사건·사고와 사회 운동
지역 충청남도 부여군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정규완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발생|시작 시기/일시 1929년 2월연표보기 - 일제 강점기 유적 조사 부여고적보존회 설립으로 시작
성격 유적 조사|민족 말살 정책
관련 인물/단체 부여고적보존회

[정의]

일제 강점기 충청남도 부여 지역에서 부여고적보존회를 중심으로 진행된 유적 조사 사업.

[역사적 배경]

일제 강점기 유적 조사(日帝 强占期 遺蹟 調査)는 1929년 2월에 만들어진 부여고적보존회(扶餘古蹟保存會)를 중심으로 부여 지역에서 진행된 유적 조사 사업을 의미한다. 일제는 일본의 아스카[飛鳥] 문화가 백제 문화에서 기인한다고 하여 일찍부터 부여에 존재하는 무수한 백제의 유물, 유적에 깊은 관심을 가졌다. 일본 내부에서는 ‘국학 진흥 운동’이 활성화되고 있었다. 이러한 배경으로 많은 일본 학자들이 부여를 방문하기 시작하였고, 이와 더불어서 무질서한 고적 발굴 조사가 진행되었다.

[경과]

조선총독부는 개발 과정에서 출토된 유물을 철저히 관리하기 위하여 경찰의 통제를 강화하는 한편, 고적 보호와 유물 보존을 목적으로 1929년 2월 부여고적보존회를 설립하였다. 이사는 도지사, 내무과장, 경찰과장, 지방과장, 학무과장, 부여 군수 및 각 면 면장, 지역 유지 등이었으며, 출자 자산금은 1만 6000원 정도였다. 부여고적보존회는 1939년 4월 고적보존회로부터 대지, 진열실, 소장 유물 등을 인수한 뒤, 부여박물관[조선총독부 박물관 부여분관]으로 조직을 개편하였다. 조직을 결성한 이후 부여고적보존회부소산을 사적 보존지로 지정하는 등 무질서한 발굴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양한 노력을 기울였다고 한다.

일제 강점기 부여고적보존회는 1933년 2월 청양군 청남면 왕진리에서 돌칼 1점 발굴, 1933년 5월 부여읍 동남리 절터 발굴, 1936년 4월 부여공립보통학교[현 부여초등학교] 증축 공사 중 유물 발굴, 1937년 3월 부여군 규암면 외리에서 규암공립보통학교[현 규암초등학교] 신축 공사 도중 백제 문양 벽돌 출토, 1940년 4월 각종 공사 도중 귀면와(鬼面瓦) 등 20여 종 213점 발굴, 1940년 5월 부여군 장암면 수리 사업 공사장에서 청동 주발 1점 등 유물 8점 발굴, 1940년 12월 간선 도로 공사 중 원형 초석 발굴 등 다양한 발굴 조사를 진행하였다.

[결과]

일제는 전쟁이 확대되자 조선인을 황국 신민화하기 위하여 민족 말살 정책을 폈다. 조선인과 일본인은 ‘하나의 조상, 하나의 뿌리’를 가진 민족이라는 이른바 ‘동조 동근론(同祖同根論)’을 날조하였는데, 역사 날조의 주요한 소재는 바로 백제사와 백제의 유물·유적이었다.

[의의와 평가]

부여고적보존회는 1930년대 진행된 민족 말살 정책의 역사적, 정신적 근거를 마련하는 역할을 하였고, 이후 부여에서 진행된 ’부여 신궁(扶餘 神宮) 건립 계획’을 추진하는 데도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