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501097
한자 柳疇錫
이칭/별칭 오기당(悟己堂)
분야 종교/유교,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유형 인물/효자·열녀
지역 충청남도 천안시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김선명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추모 시기/일시 1832년 4월 13일 - 유주석 효자 정려 하사
성격 효자
성별
본관 문화(文化)

[정의]

조선 후기 천안 출신의 효자.

[가계]

본관은 문화(文化), 호는 오기당(悟己堂)이다. 우의정을 지낸 유량(柳亮)의 후손으로, 선전관(宣傳官)을 지낸 유현수(柳顯秀)의 맏아들이다.

[활동 사항]

유주석(柳疇錫)[?~?]은 효성이 지극하였으며 우애가 깊고 품성이 후덕하였다. 아침저녁으로 부모의 문안을 살피고 정성 어린 음식을 거른 적이 없었다. 여름에는 시원하게, 겨울에는 따뜻하게 의복을 봉양하였다. 온유하고 부드러운 얼굴로 순순히 부모의 뜻을 따르며 마음을 기쁘게 하는 일에 힘써 집안 분위기가 화목하였다.

어머니가 역병에 걸려 위중하자 대변의 맛을 보아 병환의 경중을 살폈고, 제 손가락을 잘라 그 피를 바쳐서 어머니를 낫게 하였다.

조정에 추천되어 서울에 있을 때 문득 밤중에 놀라 깨어 보니 온몸에 땀이 흘렀다. 불길한 생각에 곧장 집으로 돌아왔다. 얼마 뒤 어머니의 병환이 갑자기 위독해져서 세상을 떠났다. 이에 사람들은 “하늘이 그의 정성에 감복해 어머니의 임종을 지키게 하였다.”라고 말했다.

모친상을 당하여 삼 년 동안 채소로 연명하며 생강과 계피를 먹지 않았다. 상복을 벗지 않고 초상 당한 날과 같이 슬퍼하니 몹시 야위고 건강이 크게 악화되어 죽을 지경에 이르렀다. 그의 아버지가 아들의 몸이 상할 것을 염려하여 엄히 꾸짖으며 타일렀다. 그리하여 겉으로는 온화하게 하였으나 속으로는 더욱 슬퍼하여 여러 차례 까무러치기까지 하였다. 다행히 가족들의 보살핌으로 건강을 되찾을 수 있었다.

아버지가 십여 년 동안 설사병을 앓았는데, 유주석은 몸소 약을 달여 드리며 매일 밤 깨끗이 목욕하고 아버지의 병환이 낫기를 간절히 기도하였다. 아무리 추울지라도 기도를 하루도 거른 적이 없었다. 이에 마을 사람들은 그의 효성에 크게 감동하여 효자라 칭송하였고, 그가 목욕했던 샘을 ‘유효자샘[柳孝子泉]’이라고 불렀다.

아버지의 상을 당해서는 나이가 50세가 넘었는데도 슬퍼함이 심하였고, 십 리가 넘는 길을 오가며 아버지의 묘소에 성묘하는 일을 하루도 거르지 않았다. 오랫동안 아버지를 간병하며 몸이 야위고 수척해져서 유주석도 병을 얻었고, 아버지 상을 마치고 난 지 일 년 만에 갑자기 숨을 거두었다.

유주석은 목숨을 바쳐 부모에게 효를 행했을 뿐만 아니라 생전에 틈틈이 경전 연구와 과거 공부에도 힘을 쏟아 초시(初試)에도 합격하였다. 또한, 기숙사를 지어 후진 양성에 매진하여 인근의 미천한 부녀자와 유생이라도 유주석의 행적을 흠모하지 않는 사람이 없었다. 왕이 유주석의 행적을 듣고 특별히 군현에서 아동 교육을 담당하던 동몽교관(童蒙敎官)에 임명하였다.

[상훈과 추모]

1832년(순조 32)에 효자 정려(孝子旌閭)가 내려졌다.

이용자 의견
류*** 생년 1759년생 1816년 졸 모 덕수이씨 부 문화 류씨 선전관 현수 2018.08.17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