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효부와 호랑이」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502164
한자 孝婦-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설화
지역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병천면
집필자 김동욱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채록|수집|조사 시기/일시 1989년 6월 27일 - 상명 대학교 구비 문학 연구회에서 곽문영에게 채록
채록|수집|조사 시기/일시 1990년 6월 26일 - 상명 대학교 구비 문학 연구회에서 곽해룡에게 채록
수록|간행 시기/일시 1996년 10월 5일 - 『구비 문학 대관』에 수록
수록|간행 시기/일시 1998년 6월 30일 - 『천안의 민담과 설화』에 수록
채록지 송남리 -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성거읍 송남리 지도보기
채록지 해정리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수신면 해정리 지도보기
성격 민담|효부담
주요 등장 인물 며느리|시어머니|친정 부모
모티프 유형 호랑이도 감동시킨 효부|함정에 빠진 호랑이에게 보답한 효부

[정의]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병천면에 전해 내려오는 효부 이야기.

[개설]

우리나라에서는 예부터 효를 백행지본(百行之本)이라고 하여 인륜의 가장 근본이 되는 덕목으로 생각하였다. 따라서 효자나 효부에 관한 이야기는 어느 지역이나 다양한 형태로 전해 내려오고 있다.

[채록/수집 상황]

민병달·이원표 등이 조사하여 1998년 천안 문화원에서 발간한 『천안의 민담과 설화』에 수록되어 있다. 또한 상명 대학교 구비 문학 연구회에서 1989년 6월 27일 곽문영[68세, 남,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성거읍 송남리]과 1990년 6월 26일 곽해룡[81세, 여,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수신면 해정리]에게 채록하여 1996년 천안 문화원에서 발간한 『구비 문학 대관』에 수록하였다.

[내용]

충청북도 진천에서 충청남도 병천면으로 출가한 한 효부가 살았다. 효부는 남편과 함께 시어머니를 모시고 살았는데, 그만 남편이 병으로 일찍 세상을 떠나 과부가 되고 말았다. 그럼에도 효부는 시어머니를 극진히 모셨다. 친정에서는 어린 나이에 혼자가 된 딸이 딱해서 재혼을 시키기로 하고 아버지가 위독하다는 전갈을 보내 딸을 불러들였다. 친정에 온 효부는 부모의 설득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시어머니를 홀로 두고 개가할 수 없다며 다시 시집으로 돌아갔다.

얼마 후에는 친정에서 부고가 날아들었다. 효부가 급히 친정으로 달려갔더니 친정 부모가 전처럼 개가를 권하였다. 효부는 친정 부모를 안심시키려고 하룻밤 묵고 돌아가기로 하였다. 그러나 밤이 깊어지자 시어머니가 걱정이 되었다. 험한 밤길을 걸어 시집으로 향하던 효부는 산길에서 그만 호랑이와 맞닥뜨리고 말았다. 효부가 호랑이에게 자신의 처지를 말하자 호랑이는 효부를 등에 태우고 시집까지 데려다 주었다. 고마운 마음에 효부가 먹다 남은 팥죽을 주자 호랑이는 단숨에 먹어 치우고 사라졌다.

며칠 후 산에 파 놓은 함정에 호랑이가 빠졌다는 말을 듣고 산으로 달려간 효부는 함정에 빠져 있는 호랑이의 입언저리에 팥죽이 말라붙은 것을 보고 자신을 도와준 호랑이라는 것을 알아보았다. 그래서 마을 사람들에게 자초지종을 말하고 구덩이로 들어가 호랑이를 안아 올려 구해 주었다. 그 소문이 널리 퍼져 군수의 귀에까지 들어갔고, 효부는 마침내 나라에서 주는 효부상을 받기에 이르렀다.

[모티프 분석]

호랑이가 나오는 설화는 크게 네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신격화된 호랑이 유형, 원조자로서의 호랑이 유형, 사람을 해치는 악한 호랑이 유형, 어리석은 호랑이 유형이 그것이다. 「효부와 호랑이」는 효부의 효성에 감동한 호랑이가 집까지 데려다 준 원조자로서의 유형으로, 효성이 지극하면 사나운 호랑이도 감동시킬 수 있다는 교훈을 담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