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마짐시루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501980
이칭/별칭 산시루,마중시루,마주시루,마루시루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의례/평생 의례와 세시 풍속
지역 충청남도 천안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강성복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민간 신앙
의례 시기/일시 정월 대보름 또는 시월

[정의]

충청남도 천안시에서 음력 정월 또는 시월에 집집이 떡시루를 준비하여 신에게 무사태평을 기원하는 고사 또는 그 시루.

[연원 및 변천]

천안 지역에서 마짐시루는 주로 산간 마을의 산신제에서 확인된다. 마을에 따라 산시루, 마중시루, 마주시루, 마루시루 등으로 불린다. 마짐시루는 산신제를 진행하는 제관의 집에서 먼저 찌는 산제시루에 대응하여 각 가정에서 산신을 마중하려고 준비하는 떡시루를 지칭하지만, 넓은 의미에서는 집집이 시루를 올리면서 기원하는 다양한 종교적 의례를 포함한다.

마짐시루는 ‘맞다’, ‘마중’, ‘마주’, ‘마짐’, ‘맞’ 등의 어원이 시루와 결합되어 만들어진 복합 명사이다. 따라서 마짐시루에는 ‘맞이하다’, ‘맞아들이다’, ‘마중하다’라는 뜻이 전제되어 있다. 이와 아울러 ‘마주 올리다’ 또는 ‘마중하여 올리다’라는 의미도 함축되어 있다. 이렇게 볼 때 마짐시루는 첫째, 산신당에 좌정한 산신을 ‘맞이하여[마중하여] 올리는 시루’, 둘째, 산신에게 바치는 산제시루와 ‘마주하여 올리는 시루’라는 뜻으로 정의할 수 있다. 곧, 산신제를 지내는 날에 마을을 대표하는 제관은 산신당에서 정성을 들이고, 제의에 참석할 수 없는 주민들은 집안에서 떡시루를 마주 올리며 산신을 맞이하는 의례를 치르는 셈이다.

[절차]

마짐시루는 산신제의 시작과 동시에, 또는 산신제를 마치고 나서 제관 일행이 산신당에서 보내온 신호에 따라 고사를 지낸다. 예를 들어, 천안시 동남구 병천면개목이에서는 해마다 산신제를 지내는데, 제관이 산신당에 올라가면 집집이 시루를 모셔 둔다. 이윽고 산신제를 마친 제관이 “마짐시루 올리시오.”라고 크게 소리를 질러 신호를 보내면 각 가정에서는 시루를 쪄서 맑은 물과 함께 마당에 놓고 산신당을 향하여 고사를 지낸다.

천안시 서북구 성성동 영성 마을에서는 시월상달에 산신제를 모시는데 이때 집안의 당산[장독대]에 마짐시루와 주인시루[성주시루] 두 개를 올린다. 당일 저녁 산신당에 차려 놓을 떡시루가 익으면 제관 세 사람은 제물을 지게에 지고 산신당으로 향한다. 이때 주당(主堂)이 “마짐시루 올리시오.”라고 소리를 질러 주민들에게 신호를 보내면 각 가정에서는 일제히 당산에 바칠 마짐시루와 주인시루를 아궁이에 올린다. 산신제에 맞춰 마중시루를 올리고, 이어서 집안을 돌보아 주는 터주신과 성주신을 위하는 것이다. 이때 마짐시루는 산신을 공양하는 시루이기 때문에 당산의 가장 높은 곳에 모셔 둔다. 그 밑에는 성주를 위한 주인시루를 놓는다.

절차는 먼저 마짐시루에 절을 올리고 나서 주인시루에 치성을 드린다. 주인시루는 가정의 소원 성취와 자손의 번창을 축원하기 위함이다. 백배를 드려야 집안을 굽어 살핀다고 한다. 당산에서 치성을 마치면 다시 안방으로 주인시루를 옮겨서 맑은 물 한 그릇을 떠 놓고 고사를 지낸다. 이어서 주인시루의 떡을 떼어 대문, 측간, 광, 뒤주, 쌀독 등에 놓는다. 이 떡은 이웃에 골고루 나누어 주지만 마짐시루는 덮어 놓았다가 가족끼리만 나누어 먹는다.

천안시 동남구 광덕면 행정리 구정 마을에서는 매년 정월 14일 산신제를 지내는 날 ‘마루시루’를 올리는 전통이 있다. 산신제가 마무리되면 주당은 마을을 향해 “마루시루 떼시오.” 하고 큰 소리로 알려준다. 그 소리를 듣고 각 가정에서는 미리 준비해 둔 떡시루를 떼어 집안이 무탈하기를 기원한다.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흔히 산신제는 유교식 절차로 진행되기에, 풍물도 울리지 않고 제관·축관만이 참여하는 정숙형 제의이다. 그런 면에서 마짐시루는 산신제가 지닌 대동성(大同性)을 상징적으로 보여 준다고 볼 수 있다. 왜냐하면 그러한 엄숙한 제례 의식 속에도 마중시루를 통하여 온 마을 사람이 일심동체로 산신을 맞이하는 역동적인 모습이 녹아 있기 때문이다. 마중시루는 단지 각 가정에서 조촐하게 산신제에 따르는 정도가 아니라, 마을을 대표하는 제관과 마을 공동체의 구성원이 다 함께 산신을 맞이하여 ‘맞정성’을 드리는 적극적인 대동 의례인 것이다.

이와 더불어 마중시루는 터주·성주 등 집안을 돌보아 주는 가신(家神)에 대한 축원의 성격도 짙다. 이는 정월 대보름의 산신제보다 추수를 마친 뒤인 시월상달의 산신제에서 좀 더 두드러진다. 상달의 산신제는 따로 날을 정하는 것이 보통이고, 마을에서도 산제일이 매우 길한 날로 인식하여 집집이 햇곡식으로 마중시루와 고사시루를 마련하고 터주나 성주신에게 감사의 치성을 드리는 것이다.

현재는 시대의 변화와 더불어 산신제 대부분이 중단되면서 마짐시루도 중단되었고, 설령 산신제를 지내는 마을이라 할지라도 더는 마짐시루를 올리지 않는다. 천안 지역의 마짐시루는 이전에 동남구병천면·광덕면·풍세면·목천읍, 서북구성성동 등에서 그 전승 사례가 보고된 바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