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고려 시대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500478
한자 高麗時代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충청남도 천안시
시대 고려/고려
집필자 문철영

[정의]

918년 고려 개국 때부터 1392년 고려 멸망 때까지 지금의 충청남도 천안시의 역사.

[개설]

918년 궁예(弓裔)를 축출한 여러 장수들의 추대를 받아 왕위에 오른 왕건(王建)은 국호를 고려(高麗)로 바꾸고 연호를 천수(天授)로 고쳤으며, 수도를 철원에서 자신의 세력 기반인 송악으로 옮겼다. 이렇게 왕위에 오른 왕건은 후삼국 통일 정책에 박차를 가하여 936년 드디어 후삼국 통일의 대업을 완수하였다. 이렇게 1대 왕건으로부터 34대 공양왕 때까지 475년간을 고려 시대라고 한다. 고려 건국 이후에 천안이라는 새로운 행정 구역이 만들어졌다.

[행정 구역]

천안의 북쪽에 위치한 직산은 예로부터 백제 온조왕의 치소, 위례성으로 기록되어 있는 지역으로서, 고려 초에 직산이라는 이름을 갖게 되었다. 동쪽에 위치한 목천은 백제 때 대목악군(大木岳郡)이었고, 고려 때 목주(木州)라는 이름을 갖게 되었으며, 조선 태종 13년 목천이라 하게 되었다. 백제에 기원을 두고 있는 직산·목천과는 달리 천안군의 출발은 고려 건국 이후였다. 태조 왕건이 후백제 공략을 위한 군사적 거점 도시로서 930년(태조 13) 천안 도독부를 설치한 것이 그 출발이기 때문이다. 이때 태조탕정[지금의 아산시]·대목악[지금의 목천]·사산[지금의 직산] 등 주변 지역의 땅을 각각 분할하여 천안이라는 새로운 행정 구역을 만들었다.

[태조 왕건 시기의 천안]

태조는 천안을 중시하여 자주 들렀다. 그리고 절에 들러 후삼국 통일을 부처님께 빌었다. 또 산신령에게 제사하여 천안 지역 백성들의 마음을 수렴하려 하였다. 후삼국 통일을 위한 정신적 안식처를 마련하고 백성들을 위무하려 한 것이다.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천안 불우(佛宇) 조에 의하면 고려의 태조 왕건이 머물렀던 인연이 있는 유려왕사(留麗王寺)와 마점사(馬占寺)라는 사찰이 있었다 한다. 유려왕사는 곧 고려 태조가 유숙하였으므로 유령왕사라는 이름이 붙었고, 마점사 또한 고려 태조의 말이 머물었기 때문에 이름을 마점이라 하였다는 것이다.

특히 태조성거산(聖居山)천흥사(天興寺)를 창건하여 산신과 부처의 음조를 바랬다. 성거산은 이 산 위에 오색구름이 있어 성스러운 산신이 머무는 산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었다. 즉 천신과 산신, 그리고 부처님의 음조를 바라는 의미에서 탄생한 것이었다. 천안(天安)이란 지명도 하늘이 편안하게 해줄 수 있는 땅이라는 의미에서 붙여진 것이었다. 후백제 신검의 항복을 받은 지역에 개태사를 세우고 산 이름을 천호산(天護山)이라 이름한 것과 맥을 같이 하는 것이었다. 또 천흥사에는 부처님과 승려들의 도움으로 왕이 되었던 현종(顯宗)[992~1031] 대에 동종[국보 제280호 성거산 천흥사 동종]이 조성되어 봉안되었다. 그것은 불교와 인연이 깊어 불교를 장려했던 현종 대의 분위기 속에서 행해진 것이었다. 또 태조의 손자였던 현종태조의 유업을 계승하고 왕실을 부흥하고자 했던 의도와 일치하는 것이었다.

[현종 시기의 천안]

현종은 특이한 이력을 가진 왕이었다. 어머니 헌정 왕후(獻貞王后)경종의 비였는데, 경종이 세상을 떠난 이후 왕실의 안종(安宗) 욱(郁)과 관계해서 현종[대량원군]을 낳았다. 그 사실을 알게 된 성종안종을 사수(泗水)로 보냈으며, 헌정 왕후현종을 낳은 직후 세상을 떠났다. 현종은 2살 때 개경에서 안종이 있는 사수로 보내져 생활하다 안종이 사망한 뒤 다시 개경으로 올라왔다. 그 후 경종의 비이자, 목종의 어머니이며, 자신의 이모인 헌애 왕후(獻哀王后)[천추 태후]와 김치양 사이에서 아들이 출생하자 두 사람은 현종을 승려로 만들어 숭교사(崇敎寺)에 보냈다. 목종에게 아들이 없자 두 사람이 자신의 소생에게 왕위를 이어주기 위해서였다. 현종은 다시 삼각산의 신혈사(神穴寺)에 옮겨졌다. 당시 왕위 계승의 정당성은 대량원군현종이 갖고 있었으므로 헌애 왕후김치양현종을 제거하기 위해 온갖 술수를 동원하였다. 현종은 승려들의 도움을 받아 죽음을 면하였으며, 강조의 정변을 거친 후 1009년에 왕위에 오를 수 있었다.

이처럼 현종과 불교와는 깊은 인연을 가지고 있다. 현종의 즉위에는 사원과 승려들의 도움이 컸다고 하겠다. 현종이 즉위하자마자 불교가 융성하기 시작하였다. 현종 자신도 불교를 적극 장려하였다. 이는 현종이 즉위하자마자 취한 정책에서 엿볼 수 있다. 즉위 직후 시급한 인사 조치와 교서를 반포한 후 성종 대에 폐지되었던 불교 행사인 연등회와 팔관회를 부활시켰다. 거란이 침입하자 나주까지 피난갔던 현종은 피난처에서도 팔관회를 거행하였다. 거란이 침입했다 물러간 1012년(현종 3)에는 승려들을 내전에 모아 『인왕반야경』을 강론하게 하기도 하였다. 현종 9년(1018) 죽은 부모의 명복을 빌기 위해 현화사를 창건케 한 것은 불교에 대한 현종의 관심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이러한 현종 대의 시대적 분위기 속에서 1010년에 천안 지역의 천흥사에 동종이 봉안되었고, 또한 1021년에 천안 지역에 홍경사(弘慶寺)가 창건되었다.

홍경사현종이 불행하게 세상을 떠난 아버지 안종 을 기념하여 지은 사찰로, 큰 절을 지어 나그네들에게 편의를 제공하고자 했던 안종의 뜻을 달성하고자 한 것이다. 홍경사가 세워진 곳은 직산현(稷山縣) 성환역(成歡驛) 근처였는데, 그곳은 사람들의 통행이 많았지만 여행자들의 숙소가 없고 강도들이 출몰하였다. 홍경사는 불교 신앙과 함께 여행자들에게 편의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였는데, 현종은 이러한 목적의 달성을 위하여 특별히 사찰 옆에 광연통화원(廣緣通化院)이라는 객관(客館)을 함께 짓도록 하였다.

홍경사 건립은 1016년(현종 7)에 시작되어 1021년(현종 12)에 완성되었고, 비문은 1026년(현종 17)에 왕명으로 최충(崔冲)[984~1068]이 찬술하였으며 백현례(白玄禮)가 글씨를 썼다. 홍경사는 조선 초기에 철폐되고 원(院)만이 남아 홍경원이라고 불리었다. 현재 그 터에는 국보 제7호로 지정된 봉선 홍경사 사적 갈비(奉先弘慶寺事蹟碣碑)만이 남아 있다. 갈비는 머릿돌이나 지붕돌을 따로 얹지 않고 비 몸의 끝 부분을 동그랗게 처리한 비를 말한다. 홍경사 갈비는 거북받침돌과 머릿돌을 모두 갖추고 있다. 봉선(奉先)은 선(先)을 받든다는 뜻이다. 이는 곧 안종의 뜻을 받들어 사찰을 조성했다는 것을 지칭한 것이다. 사적이란 오랜 기간에 걸쳐 있었던 일의 자취라는 뜻이니, 국보 명칭은 안종의 뜻을 받들어 지은 홍경사의 창건 내력을 기록한 갈비라는 뜻이 된다.

[고려 후기 사원의 중수·중창과 천안 광덕사]

광덕사(廣德寺)천안시 광덕면 광덕리 640번지 광덕산 중턱에 있는 대한 불교 조계종 제6교구 본사 마곡사의 말사이다. 천안의 중심부에서 서남쪽으로 약 16㎞ 쯤에 있다. 광덕사는 이 지역에서 가장 큰 산인 광덕산[699m]에 있는 사찰 가운데 가장 규모가 크다.

이 절에 1680년(숙종 6)에 안명로(安命老)가 찬술한 「광덕사 사적기」가 전해지고 있다. 이를 보면 신라 때인 832년(흥덕왕 7)에 진산 화상(珍山和尙)에 의해 창건된 것으로 전해진다. 진산 화상은 자장 법사가 중국으로부터 전하였다는 부처 치아 1매, 사리 10매, 승가리(僧伽梨) 1령, 불진(拂塵) 1병, 『금은자 화엄 법화경(金銀字華嚴法華經)』, 『은중경(恩重經)』 등을 얻어서 절을 일으켰다고 한다.

이때의 가람을 보면 8종루(鍾樓), 9승당(僧堂), 9층 범각(梵閣), 3층 법전이 있었다. 그리고 광덕산 동남쪽 기슭에는 석가의 진신 사리와 세 폭의 불화를 모셨던 천불전(千佛殿)이 세워졌고, 불경 판목을 소장하던 80여 칸의 만세각이 있었다. 이로써 절에는 이채로운 기운과 신령스런 빛이 상서롭게 빛나서 하늘에 솟아 새들도 감히 그 위를 날지 못하였다고 한다.

절의 부속 암자들도 많았다고 한다. 역시 「광덕사 사적기」에는 절의 북쪽에 환희암(歡喜庵), 동쪽에 은수암(隱水庵)·수월암(水月庵), 서쪽에 문수대(文殊臺), 그 아래 한산사(寒山寺), 문수대 위에 보현암(普賢庵)·영선암(迎仙庵)·금선암(金仙庵)·사자암(獅子庵)·하선암(下禪庵)·선정암(禪定庵)·봉두암(鳳頭庵)·영주암(靈珠庵) 등의 여덟 암자가 있었으며, 모두 조사(祖師)들이 선(禪)을 이룬 곳이라고 한다. 특히 영주암은 불계(佛界)의 가장 뛰어난 곳이었다. 그 밖에 이 절을 창건할 때 쉬던 곳으로 만든 신암(新菴)도 있었다.

한편 이 절의 동쪽 고개 밖에 만복사(萬福寺)가, 북쪽 고개 아래에 개천사(開天寺)가 있었다. 그리하여 광덕사와 더불어 산내의 큰절들이 바둑알처럼 펼쳐져 28방 89암자가 있었다고 한다. 만복사나 개천사는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서 이름을 확인할 수 있으며, 진산 화상이 창건한 개천사에 관한 비문이 고려 후기의 대문장가 이규보(李奎報)가 지은 『동문선(東文選)』에 전하고 있어 「광덕사 사적기」의 기록을 뒷받침하고 있다.

그런데 창건 이후 고려 후기의 광덕사와 관련된 동향이 지금의 호두과자와 관련이 있어 흥미를 끌고 있다. 유청신(柳淸臣)[?~1329]이 호도나무를 가져와 광덕사 경내에 심었다는 것이 그 내용이다.

고려 후기 사원이 국내외 격변 속에서 퇴락하자 이의 중수·중창이 활발하였다. 이러한 고려 후기 사원의 중수·중창에는 다양한 부류가 참여하였다. 기록에 보이는 후원자들은 대개 대단한 권세가의 인물들이었다. 소액의 시주를 해서 도운 경우는 이름을 전하지 않는 것이 보통이다. 고려 후기 사원의 중수·중창을 지원한 개인 가운데 원에서 활약한 인물들이 여럿 보인다. 그들은 먼 이국 땅에서 생활하면서 본국 고향 사원의 중수·중창에 기여하였으며, 연고가 없는 지역의 사원에도 아낌없이 시주를 하였다. 자신의 출신지 사원의 중수·중창에 크게 도움을 준 이는 원의 환관인 고용봉과 박쇄노올대가 있다. 전주 출신의 자정원사 고용봉은 보광사의 중수를 도왔다. 경주의 신복선사는 박쇄노올대와 그의 아버지 박견에 의해 중수되었다.

고려 후기 광덕사의 모습에 대하여 유청신이 중국 원(元)에서 호도나무(胡桃나무)를 가져와 경내에 심었다는 사실이 전하고 있다. 요컨대, 연고가 없는 지역의 사원에도 아낌없이 시주를 했던 원에서 활동하던 인사에 해당하는 것이었다. 그런데 광덕사에 시주한 덕택일까, 유청신의 후손들이 천안에서 크게 번창하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